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ual Community Policy : Women, Qumran, and Marriage : 이중 공동체 정책: 여성, 쿰란, 그리고 결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Kim, David William

Issue Date
2013
Publisher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Citation
종교와 문화, Vol.24, pp. 199-228
Keywords
쿰란공동체에세네파금욕주의자여성사해문서
Abstract
The gender issue of the community was not the major concern with Qumran scholarship from the time of its discovery (DSS; Dead Sea Scrolls) used to focus on the provenance of the 850 documents in relation to the unique life of the Essene sect. The general evaluation that the authors of the Cave 1 scrolls were commonly connected with the male celibate Essenes, drew the initial picture of the community identity in the context of the social gender. While one of the first manuscripts (1QS) describes no feminized terms of sexual relations, marriages or family, there is no specific account about the nature of women. Also the entire manuscripts were not published together soon after the discovery, rather it took such a long time (five decades) to be individually available to scholars. The partial availability of the ancient texts spontaneously affected contemporary readers, not able to draw a certain image of the community life sooner. Less interest of the initial archeologists on women additionally encouraged the socio-religious structure of a masculine community. However, since most of the texts have been published, it is newly reviewed that there are textual traces of women. If one also re-considers the updated results of the Qumran cemeteries, the single gender perspective is no longer the definite conclusion.
사해문서 발견 초기(1940-50년대)부터 쿰란공동체는 학자들 사이에서 남성금욕주의자들의 종교집단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전통적인 고정관념은 최근 20년 사이에 여성의 존재가능성이 부각되면서 도전받게 되었다. 만약 그 고대 유대공동체에 여성이 포함되었다면 어떻게 그 사실을 증명할 수 있을까? 그 종말론적인 종교단체에서 여성들의 역할이나 사회적 위치는 어떠했을까? 어떻게 그 남성중심적인 공동체가 성적인 순결을 유지하면서 여성의 거주를 허락했을까? 쿰란 연구에서 이러한 에세네파(Essene)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는 항상 연구자들 가운데 논쟁의 중심이 되어 왔다. 이전에는 그 종교공동체의 여성적인 특성을 이야기할 때 불확실성과 부정적인 시각이 지배적이었으나, 이 논문에서는 쿰란 내의 여성에 대한 연구의 현재 위치(1990-2010년대)를 진단해 볼 뿐 아니라 다차원적 방법론(역사적문헌, 사해문서, 인류-고고학)을 적용하여 쿰란공동체의 이중공동체 정책이라는 새로운 가설을 주장할 것이다. 이는 그 남성중심의 고대 종교운동에 어떻게 여성 구성원이 포함되었는가를 이해하는 데 더 나은 논리적 이론이 될 것이다.
ISSN
1976-7900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934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