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교학 이후, 교외별전 이후 : 교외별전의 해석학 : Beyond Scholastic Teaching, After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eaching: the Hermeneutics on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each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변희욱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Citation
철학사상, Vol.55, pp. 33-59
Keywords
Beyond scholastic teachingafter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eachingscholastic teaching (敎學)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eaching, the Reconciliation of Ch’an and Scholastic Teaching (禪敎一致)Zhào-zhōu (趙州)Tsung-mi (宗密)Ta-hui (大慧)Han-am (漢巖)교학 이후교외별전 이후교외별전선교일치조주종밀대혜한암
Abstract
교외별전(敎外別傳)과 교학(敎學)은 양립할 수 없나? 이 글에서는 교학 이후(beyond) 등장한 교외별전의 의미를 묻고, 교외별전 이후(after) 그 개념은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탐구한다. 교학 이후, 교외별전 이후, 교외별전과 교학은 양립할 수 없나?라는 물음에 관련하여 크게 네 가지 노선이 있었다. 교학 이후, 조주는 문자 그대로의 교외별전을 고수했다. 교외별전은 교학 이후를 상징하는 개념이다. 이 경우 교외별전과 교학은 양립할 수 없다. 교학 이후, 종밀은 선교일치 주장하면서 선 수행에 교학을 필수조건으로 요구했다. 종밀의 선교일치론에서 교학은 선의 필수조건이며, 선과 교학은 서로를 요청하는 관계이다. 그의 선교일치론에서 교외별전이라는 개념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교외별전 이후, 대혜는 교외별전의 취지를 전달함에 경론과 문자를 활용했다. 그는 경론과 문자를 활용했지만 교학을 인정했다고 할 수 없다. 대혜의 경우, 교외별전의 함의는 교학과 언어에 매몰되지도 외면하지도 않으면서 그것을 자유롭게 활용함이다. 교외별전 이후, 한암은 교학을 수용하여 교외별전의 의도를 전달하려 했다. 한암에게 교학 수용은 교외별전에 위배되지 않는다. 한암의 경우 교외별전과 교학은 양립가능하다. 임제종 양기파가 사용한 교외별전이라는 용어는 문자에의 속박으로부터 해방, 본성 직접 확인과 관련되었다. 그들은 교외별전의 개념을 불립문자 직지인심 견성성불로 정리했으며, 그들에게 교외별전은 선 자체를 의미한다. 조주, 대혜, 한암의 선을 교외별전이라는 같은 용어를 묘사할 수 있다. 교학 이후, 교외별전과 교학의 관계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Is there any possibility that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eaching (chiao-wai-pieh-chüan 敎外別傳) is compatible with scholastic teaching (chiao-xué 敎學)?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of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eaching as a notion beyond scholastic teaching and investigates how the notion has evolved after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eaching. It was Zhào-zhōu (趙州, 778∼897) who held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eaching in its literal sense beyond scholastic teaching.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eaching is a concept that represents what is beyond scholastic teaching. In this case,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eaching is not compatible with scholastic teaching. Tsung-mi (宗密, 780∼841), whose doctrinal position may also be beyond scholastic teaching, considered scholastic teaching indispensable in Chan (禪) practice while advocating the Reconciliation of Chan and Scholastic Teaching (chan-chiao ichih 禪敎一致). In Tsung-mis doctrinal system of the Reconciliation of Chan and Scholastic Learning, the notion of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eaching itself is not even valid.
ISSN
1226-700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428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