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제정치경제의 변화와 미디어 지구화론 : Changing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nd Media Globalization - A Theoretical Discuss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문상현

Issue Date
2013-03
Publisher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Citation
세계정치, Vol.18(커뮤니케이션 세계정치), pp. 189-234
Keywords
지구화글로벌 미디어문화제국주의론공간미디어 클러스터글로벌 소셜미디어Globalizationglobal mediacultural imperialismspacemedia clusterglobal social media
Abstract
종속이론과 마르크스주의의 논의에 기반을 둔 문화제국주의론은 미국을 포함한 서구 선진국의 문화와 미디어 콘텐츠가 제3세계 주변국가의 지역 문화를 말살하고 전 지구적인 문화적 동질화를 결과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현실 국제정치경제의 변환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속에서 문화제국주의론은 문화연구 등으로부터 많은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 과도한 정치적/이데올로기적 해석, 문화이식론적 시각, 문화수용에 대한 무관심, 자본주의 체제의 복잡성과 기술변화에 따른 미디어환경의 변화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문화제국주의론에 제기된 주요한 비판들이었다. 최근 들어 문화제국주의론의 지배와 종속의 문제틀을 벗어나 미디어 지구화 과정을 이해하려는 새로운 이론적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다. 이들의 특징으로는 미디어 지구화에 대한 과도한 이데올로기적 해석이나 지배와 종속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의 배제, 미디어 지구화의 경제적 함의에 대한 긍정적 인식, 문화수용의 조건 등 사회문화적 변인들에 대한 고려, 그리고 미디어 지구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공간 개념의 강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들은 기존 미디어 지구화론들이 노정한 정치적 과잉의 오류나 구조적 결정론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해줄 뿐 아니라, 소셜미디어의 등장 등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생산자와 수용자 사이에 일어나는 미시적 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론적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a new theoretical explanation of media globalization which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cultural imperialism, the long-time dominant theory in international communication. Cultural imperialism criticizes Western hegemony in global flow of cultural products and communication. However, cultural imperialism has been harshly criticized for its underestimation of audience reception and over-simplification of complexities in cultural process by cultural studies and mainstream media research. With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there has been increasing call for a new theoretical explanation of media globalization. The alternative perspective tries to avoid ideological dichotomy and emphasizes the role of space in understanding media globalization. In this sense, the new approach can be named as a spatial theory of media globalization. Most importantly, this spatial approach integrates cultur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he research, leading us to avoid underestimating either of them. This problem has been regarded as the major weakness of the existing theories. In this respect, the spatial approach can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our understanding of media globaliz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ISSN
1738-2440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49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