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소셜미디어와 숙의민주주의의 가능성 : Social Media and Deliberative Democrac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상신

Issue Date
2015
Publisher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Citation
한국정치연구, Vol.24 No.1, pp. 169-199
Keywords
SNS 효능감소셜미디어숙의 민주주의네트워크 교차성동종선호온라인 정치참여SNS efficacysocial mediadeliberative democrarcycross-cutting networkhomophilyon-line participation
Abstract
머츠(Mutz 2006)는 숙의민주주의와 참여민주주의 사이에 딜레마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는 머츠의 논의가 갖는 두 측면을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검증했다. 첫째, 머츠가 주장한 것과 같이 온라인 상에서의 숙의 수준 또한 네트워크 교차성이 커질수록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했다. 즉, 온라인 상에서 새로운 사람들과 네트워크 관계를 맺고 이에 따라 다른 건해에 자신을 노출시킬 확률이 높을수록 숙의의 수준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둘째, 네트워크 교차성이 클수록 정치참여의 수준은 낮아진다는 가설 또한 검증했다. 2012년 총선 당시 소셜미디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소셜미디어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교차성이 숙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음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머츠의 주장과는 달리 네트워크 교차성이 오히려 온라인 정치참여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효과가 있음도 발견되었다.
Mutz (2006) maintains that there exists a dilemma between deliberative democracy and participatory democracy. This study examines two aspects of Mutzs theory with the environment of social media. First, this study tests the hypothesis that, as Mutz expects, the levels of deliberation on social media network will be enhanced as the levels of cross-cutting network increase. Second, it also examines the hypothesis that individuals with cross-cutting networks are less likely to engage in political participation. Analysis of survey data from 2012 General Election in South Korea shows that cross-cutting networks d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deliberation. Contrary to Mutzs expectation. however, the social media users with cross-cutting networks are more likely to take part in various forms of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ISSN
1738-747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500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