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달성 서씨를 통해 본 조선후기 신분변화의 장기 추세와 그 의미 - 『달성서씨족보』와 『대구부호적대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ong-Term Trend and Significance of Status Change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through the Dalseong Seo Family - With a focus on Genealogy of Dalseong Seo Family and Family Register of Daegu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기중

Issue Date
2014-09
Publisher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Citation
한국문화, Vol.67, pp. 61-79
Keywords
Family Register of DaegugenealogyDalseong Seo familyjobstatusYuhakHyangri
Abstract
한국학계에서 조선후기 신분 변동에 관한 연구는 1960년대에 와서 본격화되었다. 1960년대 초반부터 식민사관 특히 정체성론 극복을 위한 새로운 한국사연구의 움직임이 전개되었다.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조선후기사회가 내재적 발전을 통해 부단히 중세사회를 해체하고 있다는 논리가 제시되었다. 신분 변동은 그 하나의 분야로 주목받았는데, 김용섭, 정석종 등에 의해 체계화되었다. 이는 현재 조선후기 신분제의 대표적인 견해로서 양반층의 증가, 평·천민층의 감소 또는 소멸이라는 현상에 기초한 신분 변동의 해체 혹은 붕괴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의 근거는 시카다 히로시의 대구부 호적대장의 분석 이래 상식화되어있는 19세기의 인구현상 즉 양반호의 著增, 노비호의 激減, 상민호의 急減현상이었다. 이후 이준구 등 많은 연구자들에 의한 수정 보완되면서 신분변동론은 대세로 굳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신분변동론에 관해서 다른 견해를 제시하는 학자 그룹도 있다. 이 가운데 송준호는 신분의 지속성에 초점을 맞춰 일반민이 양반신분을 획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역설하였으며, 이와 함께 Susan Shin, Edward W Wagner 등도 일반민의 신분 상승에 회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2000년도에 들어와서는 호적대장의 전산화에 힘입어 양반신분 판별의 기준이 되었던 유학 직역에 대한 보다 정밀한 작업들이 진행되고 있다. 사족지배체제와 신분직역질서 사이의 변화 양상을 시기에 따라 달리 보는 견해, 19세기 신분변동을 상징하는 평천민의 직역을 가진 가계가 점진적으로 상위직역을 획득하는 현상이 지극해 예외적임을 밝힌 연구 등이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연구 성과를 염두에 두고 족보와 호적대장에 모두 기재된 인물들을 대상으로 조선후기 장기간에 걸친 신분변화의 의미를 되짚어보고자 한다. 족보는 한 명의 인물(二始祖)을 기점으로 해서 편찬 당시까지의 그 자손들의 계보를 망라한 기록이다. 따라서 우리는 족보를 통해 종적으로는 시조에서 당대의 동족까지 世系를 파악할 수 있고, 횡적으로는 동족 상호간의 혈연적 원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족보는 개별 인구의 거주지와 관계없이 혈연 및 양자로 이어지는 계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거주지를 명확히 알 수 없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약점은 호적대장을 통해 보완이 가능하다. 호적대장은 현거주지를 중심으로 인구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또한 호적대장은 족보와는 달리 생존 당시의 신분 직역이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족보에 기재된 인물들의 신분 위상을 파악하는데 유효하다. 두 자료를 함께 이용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long-term trend in changes to the jobs of Dalseong Seo family, who used to live in the Degubu district, with Family Register of Degu and Genealogy of Dalseong Seo Family. Recorded in the two documents, 243 people showed various job distribution patterns. Many(64.61%) of them used the records of Family Register of Daegu even including eclipse years and lastly the job titles first documented in it, whereas 27.16% changed their jobs. It was interesting that job changes happened in the duties and ranks more than twice in Yuhak, a job for noblemen with the former lower by a class than the latter. The findings show that even one of the most powerful families in the Daegubu district could not take the title of Yuhak thoughtlessly. It was the same with the Hyangri members of Dalseong Seo family that had the highest possibility of job changes. The study then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jobs by the households. First, whether the title of Yuhak was obtained or not wad decided according to the legitimate and bastard son households. In the latter households, the mainstream was comprised of those who were in the Hyangri class or changed their jobs from Hyangri to duties. There were households with a similar percentage of Yuhak title regardless of legitimate and bastard son household, but the latter were more active to change their jobs to the title of Yuhak. Those households hardly included those who had a Hyangri title and seemed to have nothing to do with the Hyangri clas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till households with a combination of Yuhak and Hyangri class. They exhibited various job differentiation patterns starting in the 15th generation including the households with no Yuhak, those with no Hyangri class, and those with a combination of Hyangri class and Yuhak. However, households started to emerge that only referred to Yuhak such as the household of Seo Cheon-ro, a descendant of Seo Maeng-won. Those findings suggest that status change or upgrade was rare through job changes. It was a more general case that Hyangri remained as Hyangri and Yuhak remained as Yuhak even those who were recorded in the genealogy, a symbol of union among the same family. It might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fact that there was no increase of Yuhak class in the Degubu district even in the 19th century unlike its outskirts.
ISSN
1226-8356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5096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