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ξένος, "순수한 부름": 알렉산드르 블로크의 드라마 「장미와 십자가」에 나타난 예술의 이념 : ξένος, чистый зов: о концепции художника и искусства в драме Александра Блока «Роза и крест» (ξένος, Pure call: On the Conception of Artist and Art in the Drama of Aleksandr Block The Rose and the Cros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차지원

Issue Date
2015-11-30
Publisher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Citation
러시아연구, Vol.25 No.2, pp. 253-289
Keywords
장미와 십자가알렉산드르 블로크상징주의예술가생예술Роза и КрестАлександр Блоксимволизмхудожникжизнетворчество(Rose and Cross, Aleksandr Blok, Symbolism, Artist, Lifecreation)
Abstract
드라마 「장미와 십자가」는 무엇보다 예술에 관한 드라마로서, 이 드라마의 슈제트는 아름다운 부인에 대한 나이든 한 평범한 기사의 사랑에 관한 것이 아니라 삶 속에서 이루어지는 예술에 의한 인간의 행위에 관한 것, 즉 바로 예술에 의한 삶의 변용에 관한 것이다. 자신의 창작 세계는 반성적 성찰을 위해 시작한 드라마투르기의 행보를 통해 블로크는 자신의 오류와 위기를 극복해갔지만, 시 편의 서정 드라마들 (「발라간칙」, 「광장의 왕」, 「낯선 여인」)과 「운명의 노래」는 서정의 푸른 감옥에 갇힌 블로크 예술의 비생명성을 극복하려는 사유의 흔적을 형상화하면서, 다른 한편 그 자체로 상징주의의 미학적 자기비평과 발전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장미와 십자가가」는 무엇보다 삶과 예술의 관계에 대한 문제의식을 미학적 기반으로 하는 블로크의 드라마들을 통해 진행되어 온 예술미학적 사유를 종결하는 드라마이다. (커다란) 세계와 인간의 주제, 그리고 순수한 부름으로서의 예술가의 형상을 통해 이 드라마는 생예술의 문제의식에 관련하여 미학 속에서 공전하던 사유의 침체를 파열하고 나가는 마지막 파성추가 되었던 것이다.

Драма Александра Блока <> посвящена сквозной для символизма теме жизнетворчества. Сюжет ее излагает не историю любви, а действие человека, побуждаемого искусством к жизни. Драма воплощает мысль Блока о преображении жизни искусством, которая оформившуюся в третий период его творчества, в период синтеза. По пути драматургии, которая была зарождена потребностью критической ретроспекции о своем творческом мире, Блок преодолевает ошибки и кризисы своей эстетики. Три лирических драмы и драма «Песня судьбы», с одной стороны, показывают следы размышлений Поэта о жизнетворчестве чтобы преодолеть нежизне-способность его лирики, с другой стороны, сами образуют одну из граней эволюции и самокритики символизма. При этом} «Роза и крест» является завершением эстетических размышлений о соотношении искусства и жизни, волвовашших Блока. Видение Мира, тема простого человека, и образ художника как чистого зова, делает «Розу и к{рест» как посдедним тараном, способным прорвать мертвечину разм}ышлений Поэта о проблем}е жизнетворчества.
ISSN
1229-1056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527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