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학생의 실수 인식에 대한 잠재적 유형과 주관적 안녕감, 학업적 자기평가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among Error Percep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Achieve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연은모; 신종호; 최효식; 김정아

Issue Date
2015-03-03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1, pp. 137-158
Keywords
Error PerceptionSubjective Well-BeingAcademic AchievementLatent Profile Analysis실수 인식주관적 안녕감학업적 자기평가잠재프로파일분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실수에 대한 인식에 관한 다중 심리적 속성에 접근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학습자의 실수 인식에 대한 잠재적 집단을 도출하여 각 집단에 속해있는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잠재적 집단 분류에 따라 학업적 자기평가와 주관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경북 소재 6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64명을 대상으로 실수에 대한 인식, 주관적 안녕감 및 학업적 자기평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잠재프로파일분석, 다변량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을 활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의 실수에 대한 인식은 실수로부터 학습할 수 있다는 생각, 실수를 도전적으로 받아들이는 태도, 실수의 활용방안에 대한 고찰, 그리고 실수에 대한 긴장의 다중 속성에 의해 (1) 실수 활용 초점 집단, (2) 실수 불안 초점 집단, (3) 실수 예방 초점 집단의 세 개 하위 잠재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실수를 활용하는데 초점을 맞출수록 학습자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학업적 자기평가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 현장에서 미래인재를 양성할 때 평가적인 관점에서 실수의 발생 자체에 관심을 두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수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받아들이고 대처해야하는지를 가르치는 것이 실수를 추후 학습에 활용하는 데 있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atent groups of learners error percep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with academic achievem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latent groups. Survey data from 364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at universities in Seoul and 5 near metropolitan cities were used to analyzed. As a result, three groups were generated regarding students beliefs in learning from errors, preferences for risk-taking, effort for thinking about errors, and strain on errors: (1) error management focused group (2) error strain focused group (3) error prevention focused group. In order to examin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indices of learners error perception,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s a results,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achievem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t patterns among groups. In detail, learner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more likely to focus how to manage their errors and have positive perceptive of err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re is a need to encourage that students could obtain positive perception of errors to display potential of errors in learning.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571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