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가별 신뢰수준 측정에 관한 연구노트 : A Research Note on Measuring Nations Social Trust Level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재한-
dc.date.accessioned2016-05-02T02:23:10Z-
dc.date.available2016-05-02T02:23:10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citation국제지역연구, Vol.13 No.4, pp. 93-116-
dc.identifier.issn1226-731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96131-
dc.description.abstract특정 지역 또는 특정 국가에 대한 이해는 여러 개념으로 접근되어 왔다. 최근에는 여러 개념 가운데에서도 해당 국가의 사회문화적 측면, 특히 사회신뢰에 대한 이해가 강조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문화적 측면은 여러 지역의 비교연구보다 특정 지역 중심의 연구로 접근되어 왔고, 따라서 여타 분야에 비해 계량화가 덜 되어 있다. 전통적 문화적 영역이라고 볼 수 있는 사회신뢰에 대한 연구를 계량적으로 접근해보는 것은 그 희소성 측면에서도 충분한 학문적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국가간 신뢰/불신 수준 비교는 연구자마다 정반대로 언급될 때가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좀더 객관적인 국가별 신뢰 수준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는 분석모델에 따라 국가순위가 뒤바뀌는 구체적 순위표 대신에, 국가순위가 뒤바뀌지 않는 국가분류를 시도하였다. 사회신뢰수준에 관한 가장 대표적인 지표화는 WVS(World Values Survey)의 조사이다. 사람들이 직접 체감하는 신뢰/불신의 수준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직접 설문은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으나, WVS와 같은 기존 자료는 문제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WVS 조사치를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것 대신에 신뢰수준 추정치 모델 구축에 활용하여 개별 국가의 신뢰수준을 계산하였다. 어떠한 주관적 기준을 직접 입력하지 않았고, 오직 제3자에 의해 수집되거나 구축된 변수만을 포함시켰다. 본 연구는 개별국가의 사회신뢰 수준을 아마도 최초로 시도한 작업으로서 전문가마다 다른 국가별 신뢰수준을 일치시키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결측치 문제를 처리하는 새로운 방법을 시도함으로써 아직까지 한국 학계에서 활발하지 않는 방법론적 논쟁을 촉진시켜 계량화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Various concepts have been used in area studies. Recent studies emphasize such cultural concepts as social trust. Since most cultural approaches focus on a specific area instead of comparing multiple areas, they rarely use quantitative data. Therefore some of literatures comparing given nations social trust levels sometimes show that descriptions contradict each other. For example, the order of social trust levels among Korea,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varies by the litera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nations social trust levels more objectively by using some quantitative data. A stable classification table is suggested here instead of a concrete ranking table which is dependent on its specification model. WVS(World Values Survey) seems to be most systematic of the existing studies regarding on social trust. Interview data are necessary, although not sufficient, in measuring how people feel about social trust. Some other variables related to peoples feeling toward social trust should also be considered. This process of modelling may calculate a new level of each nations social trust. With some inconsistent orders of nations social trust levels, any ranking table is not suggested in this study. Some classification tables with broad categorization, however, survive those inconsistent rankings. Including many variables, this study shows how high or low each nations level of social trust is. It may contribute to clarifying some disagreements on the social trust level of each nation. In addition, some methods on dealing with missing values are shown in this study.-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social trust-
dc.subjectnations’ ranking-
dc.subjectWVS(World Values Survey)-
dc.subject신뢰-
dc.subject국가순위-
dc.title국가별 신뢰수준 측정에 관한 연구노트-
dc.title.alternativeA Research Note on Measuring Nations Social Trust Levels-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Chae-Han-
dc.citation.journaltitle국제지역연구-
dc.citation.endpage116-
dc.citation.number4-
dc.citation.pages93-116-
dc.citation.startpage93-
dc.citation.volume1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