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국 사회에서 교육과 종교성의 관계 : Relationship of Education and Religiosity in the American Societ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송-
dc.date.accessioned2016-05-09T07:29:48Z-
dc.date.available2016-05-09T07:29:4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citation국제지역연구, Vol.20 No.3, pp. 151-173-
dc.identifier.issn1226-731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96273-
dc.description.abstract미국 사회에서 교육 수준과 종교성 간의 관계를 종교성의 하위 차원에 따라 구분하여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General Social Survey 2000~2008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종교성의 하위 차원에 따라 교육과 맺는 관계가 상이함을 발견하였다. 개인의 종교성을 인지적, 실행적, 체험․감정적 차원으로 구분했을 때, 인지적 및 체험․감정적 측면에서는 종교성과 교육 수준이 반비례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신이나 종교적 교리에 대한 믿음이 약하며 종교적 체험을 하거나 종교적 감정을 느낀 적이 적다. 한편 실행적 측면은 혼자 하는 실행이냐 남과 함께 하는 실행이냐에 따라 교육과 맺는 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혼자 하는 실행의 경우 교육과 반비례 관계를 가지나 남과 함께 하는 실행의 경우 교육과 비례 관계를 갖는다. 즉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일수록 기도를 덜하나 반대로 교회 예배나 종교 활동에는 열성적으로 참여한다. 한편 전반적인 종교성과 교육이 맺는 관계는 매우 약한 수준의 반비례 관계로 나타났다. 종교성의 하위 차원들이 교육과 맺는 관계가 서로 상반되므로 전반적인 종교성이 교육과 맺는 관계는 매우 약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 남과 함께 하는 종교성은 여타 종교성의 차원과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개인 중심의 종교성을 기반으로 하는 기독교 전통에서 이를 어떻게 개념화 할 수 있을지는 추가적 연구를 요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 and religiosity in the case of the Americans. Religiosity is conceptualized into three dimensions, which are cognition, practice and experience-emotion. For the analysis, the 2000~08 General Social Survey dataset is used. The analysis tell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educational attainment varies by the dimension of religiosity. Religiosity is positively related with educational attainment in terms of the cognitive and the experience-emotional dimension of religiosity, respectively. The more educated they are, the less they believe in God and have religious experiences and emotion less frequently. Concerning the dimension of religious practice, the relationship with educational attainment varies by whether the practice is doing it alone or doing it together with others. Doing it alone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ducational attainment while doing it together has positive relationship. The more educated they are, the less they pray but participate more in the worship service and church activities. The overall religiosity has a weak but negative relationship with educational attainment. Since the relation of each dimension of religiosity with educational attainment doesn't coincide with each other, it is inevitable that the overall concept of religiosity has a very weak relationship with educa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religiosity of doing practices with others doesn't belong to the same category as other dimensions of religiosity. How the doing religious practices with others can be conceptualized as an independent concept of religiosity needs to be further studied.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religion-
dc.subjectreligiosity-
dc.subjecteducation-
dc.subjectmultidimension of religiosity-
dc.subjectsecularization-
dc.subjectAmerican society-
dc.subject종교-
dc.subject종교성-
dc.subject교육-
dc.subject종교성의 다차원성-
dc.subject세속화-
dc.subject미국 사회-
dc.title미국 사회에서 교육과 종교성의 관계-
dc.title.alternativeRelationship of Education and Religiosity in the American Society-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Hyun Song-
dc.citation.journaltitle국제지역연구-
dc.citation.endpage173-
dc.citation.number3-
dc.citation.pages151-173-
dc.citation.startpage151-
dc.citation.volume2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