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본의 초기 근대 건축의 양상과 변모: 식민지 연구를 위한 전제로서의 식민모국 연구 : Interpreting Changes in the Japanese Early Modern Architecture: Focusing on Japan as Heterogeneous Colonial Motherlan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효진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Citation
일본비평, Vol.15, pp. 248-281
Keywords
Colonial MotherlandJapanJapanese Early Modern Architecturebuilt environmentColonialismWesternizationPseudo Western-style architectureJapanese hybrid-style ArchitectureOrientalism식민모국일본초기 근대 건축건축환경식민주의서구화의양풍화양절충오리엔탈리즘
Abstract
이 글은 한국을 식민지화한 식민모국으로서 일본이 지닌 모순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근대건축 도입초기를 중심으로 그를 둘러싼 갈등과 경합, 타협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식민모국으로서 일본을 고찰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서구의 영향에 대한 고려를 동반하며, 일본이 서구와 맺었던 특수한 관계 또한 식민지적 상황이라는 맥락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목조로 지어져 화재에 약했던 전통건축물의 특성으로 인해 근대 건축은 큰 저항 없이 일본의 경관 속에 등장할 수 있었고, 평범한 일본인이 문명개화라는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수단이었다. 초기 근대 건축은 1) 의양풍 건축, 2) 중간단계, 3) 외국인 건축가에 의한 오리엔탈리즘적 건축의 세 가지로 나뉘는데 각각 그 대표적인 건축물로 제일국립은행, 긴자 렌가가이, 로쿠메이칸을 분석한다. 의양풍 건축은 일본의 전통식 장인이 서양의 건물을 흉내내 만든 것으로 화양절충이긴 했으나 근대 초기 일본인들에게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질 정도로 일본적이었다. 이후 등장한 긴자 렌가가이는 최초의 근대식 도시계획으로 외국인이 설계, 기획했으나 벽돌로 만들어진 동남아의 식민지 스타일에 대해 일본인들은 이를 일본화하는 방식으로 적응하였다. 로쿠메이칸은 구화주의를 신봉하던 메이지 정부에 의해 외국인 건축가에 의한 본격적인 서양식 건축물로 지어졌으나 그 내부를 살펴보면 오리엔탈리즘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난 혼성적 건축물이다. 이런 관점에서 일본 초기 근대 건축의 영향을 받아 지어진 식민지 시기 한국 근대 건축은 일본이 지은 것임에는 틀림없으나 건축 양식 자체가 이미 일본의 서구화라는 일종의 식민주의적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서구화의 영향을 받은 혼성적인 식민모국으로서 일본의 위치가 지닌 불안정성을 이해함으로써 한국의 식민지적 상황에 대한 연구도 좀더 구체적이고 엄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process of conflicts, contests, and compromises around the Japanese early modern architecture as the case symbolizing the paradoxes inherent in Japan as the only colonial motherland in Asia. I argue that the unique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the West has an aspect of colonial situation in terms of modernization, because Japan as colonial motherland cannot be explained without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he West. Since Japanese traditional architecture that are made of wood are prone to fire, Westernstyle modern architecture was introduced into Japanese landscape relatively easily, and it helped commoners to experience the transformation of Japan, named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Movement. The Japanese early modern architectures are classified into three periodical categories: 1) peudo-Western architecture, 2) intermediate style, and 3) orientalistic architecture by foreign architects. I examined 1) the First National Bank, 2) Ginza Rengagai, and 3) Rokumeikan as examples of each category respectively. Pseudo-Western architecture, the mimicked westernstyle architecture by Japanese traditional carpenters, was inherently the Japanese Hybrid-Style, which commoners readily embraced. After that, Ginza Rengagai (Brick Town) appeared as the result of the first modernized urban planning in Japan, designed and created by the Western architect. However, Ginza Rengagai followed the early colonial architectural style of Southeast Asia, and the Japanese people adapted themselves into the brick building by changing them in various Japanese ways. While it is Rokumeikan that was the first genuine modern architecture by Josiah Condor, officially invited by the Meiji government aspiring to Europianism, the details and the style of Rokumeikan show its hybridity, which strongly influenced by orientalism. The fact that Japan as colonial motherland faced its own colonial situation regarding modernization implies the necessity of reinterpreting Korean modern architec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By incorporating the instability of Japan as hybrid colonial motherland into colonial modernity in Korea, we can expect more detailed and objective perspectives on colonial Korea.
ISSN
2092-6863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69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