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년 구직자의 취업 달성 요인에 관한 연구: 공공 고용서비스 알선대상자를 중심으로 : A Study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Youth Employ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지윤; 정희정; 최석현

Issue Date
2016-09
Publishe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행정논총, Vol. 54 No. 3, pp. 199-224
Keywords
청년고용공공 고용서비스 전달체계거버넌스Youth EmploymentPublic Employment ServiceJob Placement
Abstract
이 연구는 공공 고용서비스를 이용하여 구직 활동을 한 청년의 취업 달성 요인을 탐색하기 위 해 2015년에 고용센터, 지방정부 일자리지원기관, 새일센터와 같은 공공 고용서비스 기관의 취업 알선 서비스를 받은 청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취업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인구통계학적 요인으로는 남성, 학력이 낮은 집단, 구직자의 거주지와 희망 근무지가 일치하는 집단일수록 취업에 성공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 특성 요인으로는 구직 등록 목적이 순수취업인 구직자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취업 성공 확률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경력직보다는 신규 입사를 희망하는 구직자, 희망임금이 낮은 구직자가 취업이 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고용센터를 이용하여 구직활동을 한 청년이 지방정부 일자리기관을 이용한 청년보다 취업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공공 고용서비스가 여전히 저임금・저숙련 일자리에 집중되어서 갈수록 확대되는 청년의 공공고용서비스 수요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지방정부의 청년 고용지원 확대에도 불구하고 중앙정부의 고용서비스보다 취업지원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함의는 청년이 선호하는 지역사회의 양질의 일자리 발굴에 강점을 가진 지방정부 일자리기관과 고용서비스 분야의 전문성이 높은 고용센터가 민간기관과의 기능을 분 담하고 프로그램 연계를 통한 청년 공공 고용서비스 전달체계의 필요성을 제기한다는 점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youth employment,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public system for delivering youth employment services.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parts. Firstly, the authors conduct a study of 176,534 youth looking for a job through a public employment service center. Secondly, the authors construct the determinants of youth employment based on theories of employment. In the last place, the authors analyze the determinants through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two main results from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youth employment. First,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sex,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region increase the probability of youth employment. Secondly, variables related to job-seeking characteristics such as public employment centers, employment type (experienced/new), expected working area, and desired salary increase the probability of youth employment. It can be conclud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at public employment services need to be expanded for the youth job-seekers. A linkage is needed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s of youth job-seekers.
ISSN
1229-6694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86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