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구 철학사상의 유입과 그 평가 : 한국철학 근 백년의 회고와 전망 - 제 1 부 서양철학수용에 따른 전통철학의 대응 및 전개 : How did Traditional Philosophers receive Western Philosoph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허남진-
dc.contributor.author백종현-
dc.contributor.author차인석-
dc.contributor.author김남두-
dc.contributor.author성태용-
dc.date.accessioned2009-11-02T07:03:05Z-
dc.date.available2009-11-02T07:03:05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citation철학사상, Vol.08, pp. 67-107-
dc.identifier.issn1226-700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1023-
dc.description.abstract사회의 전반적인 서구화라는 대세가 바뀐 것은 아니지만 맹목적인 서구지향이 반드시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라는 반성이 일면서 한국적이라는 말의 전반적인 유행과 더불어 한국사상도 약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현재 한국에서 사상으로 기능하고 있으면 모두 한국사상이지 한국사상이라는 카테고리가 따로 있는 것도 아닌데 한국사상이라는 말 자체가 새삼 강조되고 있는 것은 서구로부터 도입된 현대의 여러 사상조류가 한국의 현실과 사상적 전통에 아직 완전히 접목되지 못했기 때문이며 한국의 전통사상 역시 오늘날의 한국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같은 사상적 전통의 단절로 말미암아 한국사상이란 과연 무엇이며 이제 와서 그것이 무슨 의미를 가지는가에 대한 물음이 학계에 반복해서 던져지게 되었다. 여기에 대한 답으로 한민족의 고유하고 독자적인 사상만이 진정한 한국사상이라는 국수주의적인 견해에서부터 한국사상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는 보편주의까지 여러 입장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므로 우선 한국사상의 정체성 문제부터 살펴보고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사적인 보편성을 획득해 가고 있는 서양철학을 받아들이는 전통철학자들의 자세를 아울러 검토해 보기로 하자.-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dc.subject성리학-
dc.subject천주교-
dc.subject이정직-
dc.subject이인재-
dc.subject박종홍-
dc.subject북한 철학계-
dc.title서구 철학사상의 유입과 그 평가 : 한국철학 근 백년의 회고와 전망 - 제 1 부 서양철학수용에 따른 전통철학의 대응 및 전개-
dc.title.alternativeHow did Traditional Philosophers receive Western Philosophy?-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ur, Nam Ji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ek, Chong Hy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a, In Suk-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Nam Duh-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ung, Tae Yong-
dc.citation.journaltitle철학사상-
dc.citation.endpage107-
dc.citation.pages67-107-
dc.citation.startpage67-
dc.citation.volume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