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건축물 생산과정에서 토론장과 작업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alkshop and Workshop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Public Building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광현-
dc.contributor.author김승범-
dc.date.accessioned2017-07-13T06:31:46Z-
dc.date.available2017-07-13T06:31:46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504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18624-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2. 8. 김광현.-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대중담론과 건물을 만드는 작업 간에 긴밀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 관계의 안팎에서 발생하는 구체적 현상을 규명하고 의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우선, 물리적 건물을 만드는 작업의 영역을 작업장(作業場)이라 이름 짓고, 말과 행위가 오고가는 담론의 영역을 토론장(討論場)이라 명명한 후 토론장과 작업장이라는 두 개의 틀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여러 가지 문제들로 인하여 널리 알려진 국내외의 대규모 공공건축물로서, 시애틀공공도서관, 동대문디자인플라자, 그라운드제로의 세 가지를 선정하였다. 각 사례에서 건물이 지어지기까지의 생산과정을 따라가면서 작업장의 상황이 토론장의 어떠한 담론을 유발했는지, 그리고 토론장의 담론이 작업장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분석과정의 하나로서 신문기사를 대상으로 하여 연결망 분석의 방법을 보조적으로 사용하였다.
시애틀공공도서관의 토론장에서는 어떠한 모습의 도서관을 만들 것인가가 주요한 논의 주제였으며 디자인뿐만 아니라 이국의 스타건축가, 지역성, 책 읽는 공간의 환경, 공사비와 기부 등의 문제로 담론이 확장되어 갔다. 워크그룹, 공개설명회, 실물크기 모형의 체험, 미디어를 통한 논쟁, 전화와 이메일 등의 수단을 통해 토론장과 작업장이 만났으며, 토론장에서 거론된 많은 내용들은 건물에 반영되어 수정되었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토론장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운동장의 보존, 역사 복원, 과도한 토건사업비가 차례로 크게 문제되었다. 작업장 역시 유사한 내용을 다루었으나 역사의 문제를 제외한다면 두 영역은 크게 연관되지 않은 채로 진행되었다.
그라운드제로의 토론장에서는 사업에 대한 방향성에서부터 마스터플랜과 추모공원에 대한 결정, 공사비와 디자인, 계단의 보존, 보안, 성역과 같이 물리적이면서 사회적 주제들이 폭넓게 다루어졌다. 미디어를 통한 상세한 보도, 대규모 담론 수렴 이벤트, 시위 등의 방법으로 토론장과 작업장이 연결되었다. 이에 따라 토론장은 전체 부지에 들어가는 시설, 건물의 배치, 개발의 규모, 비용결정에 따른 디자인변경, 나아가서는 부지 주변의 건물 입지까지 작업장에 영향을 끼쳤다.
사례에서 토론장과 작업장이 영향을 주고받는 방식은, 워크그룹과 같은 직접 참여, 워크샵 및 공청회와 같은 단기간 담론 수렴, 미디어를 통한 정보공개와 감시, 단체행동을 통한 직접개입이 있었다. 그 과정에서 자존감이나 조화와 같은 토론장의 일부 추상적 언어는 전문가를 거쳐 작업장의 구체적 요소들로 해석되었다.
그리고 각 생산공간은 세계 시장에서 도시가 지니는 위상, 미디어에서 건조환경을 다루는 정도, 각 사업이 대중의 이목을 폭넓게 끄는 정도, 대상 부지가 위치한 지리적 조건들에서 모두 차이점을 드러냈다. 동시에 이런 조건 하에서 발주처, 건축가와 전문가, 미디어, 대중은 생산조건의 한계를 극복하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생산공간 안에 만들어지는 개별 토론장에서 관련 주체들은 직접 대면하거나 미디어를 통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접촉하여 갈등관계를 해소한다. 그리고 사람들은 건물을 만드는 작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을 주고받음으로써 건물에 대한 복합적 이해의 틀을 갖추게 되고, 건물은 사람들이 투사하는 여러 가지 사회적 의미들이 누적됨으로써 모두에게 의미 있는 장소가 된다. 그 과정에서 두 영역 사이에 이루어지는 민주적 의사소통은 전체 세계의 공공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 모든 것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토론장이 풍성하게 만들어지고 생산과정의 초기에 작업장과 연결 되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구성원 모두가 의견일치에 도달하거나, 토론장의 의견이 작업장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추상적 담론과 구체적 건물에 대해 서로의 견해 차이를 확인하고 의견을 주고받음으로써 서로가 서로에게 배워나가는 과정이다. 그 과정에서 항상 염두에 둘 것은 토론장과 작업장 그리고 그 사이에서 각자 맡은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eal possibility of close interaction between public discourse and the work involved in constructing a building. A concurrent purpose is to investigate concrete phenomenon with and without interaction and to draw implications from the interaction. To begi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wo terminologies that will form the main framework of the study. One is workshop, which denotes the work area in which people create physical buildings. The other is talkshop, which refers to the discourse area in which people talk to each other about buildings and related matters.
The three cases used in this study are the Seattle Public Library, Dongdaemun Design Plaza, and Ground Zero in New York City. They were selected due to their publicity and for several other reasons. The case studies examined what workshop triggers in the discourse of talkshop and how talkshop affects the work of workshop. As an ancillary method of analysis, this study used a network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The primary issue pertaining to talkshop for the Seattle Public Library was how they designed the library building. The issue was expanded to the problems known of an alien starchitect, regionality, the environment of the reading area, the construction cost and donations. Talkshop and workshop met through workgroups, public presentations, mock-up displays, debate in the media, telephones, and emails. As a result, numerous issues on talkshop were fed into workshop, with the result being that the building design was changed in many parts.
The issues related to talkshop for the Dongdaemun Design Plaza centered on the preservation of the old stadium, the restoration of historical remains, and excess expenditures for municipal construction works, which had been successive primary issues as time passed. Although the workshop issues were similar with those on talkshop, the two areas proceeded without close interaction, except for the historical issue.
The talkshop issues for Ground Zero covered a wide range, from the physical matters such as the direction of the project, the master plan, the Memorial design and the preservation of a ruined stairway, to the social issues such as security, sacred ground, and religion. Talkshop and workshop met through large public meetings, protests, and detailed reports by the media. As a result, talkshop affected workshop in many areas, such as the types of institutions, the building arrangement, the size of the office floor area, design changes and related costs, and the location requirements of buildings outside the site.
Taken together, methods of interaction between talkshop and workshop included direct participation events such as workgroups, short-period discourse events such as workshops or public meetings, the opening of information and surveillance through the media, and intervention with collective action. In the process, specialists interpreted abstract ideas of talkshop, such as dignity or harmony, into the physical elements of a building.
During this process, each production space revealed differences from each other in their respective contexts, such as the status of the city in the global market, media coverage of the built environment, the publicity of the project, and the geographical condition of the site. However, at the same time under such conditions, the subjects of production, such as the ordering agencies, the architects and specialists, the media, and the public, all had important roles for overcoming the conditions and for leading the project to success.
Within each talkshop generated in the production space, the subjects of production settled any related conflicts by direct interaction in face-to-face meeting or by indirect interaction via the media. The public had diverse viewpoints about the building by exchanging their opinions regarding the building design. Meanwhile, the building would become a meaningful place for all people by being layered with social meaning projected by the people. In the process, democratic and concrete communication between talkshop and workshop can raise the publicness of the entire world in which there are numerous buildings and people.
In order to realize all of this, talkshop has to be created first and then should be connected with workshop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cess. However, it is not necessary for all the subjects to concur in their opinions or for all the ideas of talkshop to be fed into the work of workshop.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process itself, in which people can identify their differences of opinion regarding abstract discourse and an actual building and exchange their opinions and in this way learn from one another. What one has to keep in mind regarding the entire process i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each subject in talkshop, workshop, and the subject roles between the two as well.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4
1.2.1. 용어와 전제의 도입 4
1.2.2. 연구의 목적 및 세부 목표 7
1.3. 연구의 대상 및 분석 자료 10
1.3.1. 연구의 대상 10
(1) 설정 기준 10
(2) 연구의 대상 12
1.3.2. 분석 자료 14
1.4. 연구의 흐름 15
1.5. 주요한 선행 연구 17
1.6. 용어의 정의 20

제 2 장 분석 틀의 구축 : 토론장과 작업장 25
2.1. 토론장과 작업장의 현대적 위상 26
2.1.1. 과거 생산과정에서의 토론장과 작업장 26
(1) 표현과 수용의 문제를 다룬 토론장 26
(2) 이론적 논의 31
2.1.2. 변화된 생산조건 속의 토론장과 작업장의 관계 35
(1) 세계화와 복잡해진 생산의 조건 35
(2) 이론적 논의 41
2.1.3. 생산과정에서 연관되는 토론장과 작업장 47
2.2. 토론장의 구조 49
2.2.1. 포괄적 의미로서의 담론 49
(1) 참여와 본 연구에서의 담론과의 차이점 49
(2) 조직적 담론 수렴 장치 52
2.2.2. 미디어의 작용 54
(1) 정보의 습득과 담론의 형성, 그리고 피드백 54
(2) 담론의 증폭 59
(3) 담론의 유도와 왜곡 61
2.2.3. 전문가의 역할 65
2.3. 소결 66

제 3 장 개별 생산과정에서 토론장과 작업장의 관계 69
3.1. 사례 1 : 시애틀공공도서관 71
3.1.1. 프로젝트 개괄 74
(1) 프로젝트 진행 과정 74
(2) 관련 주체 79
(3) 전체 기간 동안의 미디어 보도 추이 81
3.1.2. 토론장과 작업장의 전개 양상 86
(1) 공개설명회와 설계개념설명서 (1999.12) 86
(2) 공식·비공식적 조직의 구성과 요구사항 (2000.1) 90
(3) 토론장에서의 논쟁 (1999.5~2000.05) 95
(4) 작업장으로의 피드백 : 100% Schematic Design 납품 (2000.05) 100
(5) 작업장으로의 피드백 : 100% Design Development 납품 (2001.03) 102
3.1.3. 토론장에서 다루어진 디자인에 관한 담론 108
(1) 주요 쟁점 1 : 건물의 외관 108
(2) 주요 쟁점 2 : 북 스파이럴(Book Spiral) 114
(3) 디자인을 다룬 기사의 연결망 분석 116
3.1.4. 정리 및 분석 120
3.2. 사례 2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127
3.2.1. 프로젝트 개괄 129
(1) 프로젝트 진행 과정 129
(2) 관련 주체 134
(3) 전체 기간동안의 미디어 보도 추이 138
3.2.2. 토론장과 작업장의 전개 양상 147
(1) 시민아이디어공모전 및 국제지명초청설계경기 147
(2) 피크 1 : 보존-개발(2007.08~2008.07) 157
(3) 피크 2 : 역사(2008.12~2009.10) 162
(4) 피크 3 : 토건-복지(2011.03~2012.02) 172
(5) 내부 컨텐츠 변경 180
3.2.3. 토론장에서 다루어진 디자인에 관한 담론 188
(1) DDP를 주제로 다루면서 건축 디자인에 대해 언급한 기사 189
(2) 디자인에 대한 대중의 인식 195
(3) 담론 그룹을 이어주는 연결 고리 197
3.2.4. 정리 및 분석 201
3.3. 사례 3 : 그라운드제로 207
3.3.1. 프로젝트 개괄 209
(1) 프로젝트 진행 과정 209
(2) 관련 주체 213
(3) 주요 건물 222
(4) 전체 기간 동안의 미디어 보도 추이 227
3.3.2. 토론장과 작업장의 전개 양상 233
(1) 재건에 대한 사회적 합의 (2001.09~2002.06) 233
(2) 여론의 수렴을 통한 마스터플랜 결정 (2002.04~2003.03) 241
(3) 추모공원 설계경기 (2003.04~2004.04) 253
(4) 뮤지엄 입주업체 반대 (2004.05~2005.10) 261
(5) 보안문제로 인한 1WTC의 설계변경 (2005.04~2006.06) 265
(6) 공사비 절감을 위한 추모공원 설계 변경 (2006.05~2006.06) 269
(7) 추모공원의 희생자 이름 배열 (2003.05~2006.12) 275
(8) 생존자 계단의 보존 (2006.05~2007.08) 279
(9) 항만청과 실버스타인의 협상 (2001.10~2010.03) 282
(10) 그라운드제로 주변의 무슬림커뮤니티센터 건설 반대 (2009.12~ ) 291
3.3.3. 토론장에서 다루어진 디자인에 관한 담론 298
(1) 전체 기간 동안 다루어진 디자인에 관한 담론 298
(2) 구체적인 디자인을 다루는 과정에서의 전문가의 역할 299
(3) 담론이 다루어진 방식과 시설의 성격 304
3.3.4. 정리 및 분석 307
3.4. 종합적 분석 314
3.4.1. 토론장과 작업장의 요소별 대응 구조 315
(1) 대응 구조의 개괄 315
(2) 사례에서 드러나는 대응 구조 318
(3) 요소별 대응 구조의 종합 325
3.4.2. 생산공간의 조건과 생산주체의 결정 328
(1) 생산공간의 조건 330
(2) 생산주체의 결정 339
3.5. 소결 347

제 4 장 토론장과 작업장의 역할 356
4.1. 작업장과 관계 맺는 개별 토론장의 역할 357
4.1.1. 기본적 요소의 설정 357
4.1.2. 개별 생산과정의 구조 분석 359
(1) 시애틀공공도서관 360
(2) 동대문디자인플라자 361
(3) 그라운드제로 365
(4) 각 생산구조의 특징 367
4.1.3. 생산구조의 일반화 368
(1) 부분적 관계 369
(2) 생산구조의 4단계 변화 375
(3) 특수한 생산 조건의 반영 377
4.1.4. 사례의 유형화와 주체의 역할 380
(1) 사례의 유형화 380
(2) 생산과정에서 주체의 역할 382
4.2. 생산공간 전체로서의 토론장과 작업장의 역할 384
4.2.1. 토론장과 작업장의 관계가 만드는 장소 384
4.2.2. 생산공간들로 이루어지는 공적(公的) 장소의 공공성 390
4.3. 소결 398

제 5 장 결론 : 토론장과 작업장으로서의 건축생산과정 400
참고문헌 407
부록 : 연결망 분석(network analysis) 방법론 416
ABSTRACT 423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0651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시애틀공공도서관-
dc.subject동대문디자인플라자-
dc.subjectworkshop-
dc.subject그라운드제로-
dc.subject대중담론-
dc.subjectproduction process-
dc.subject공공영역-
dc.subject공공건축물-
dc.subject토론장-
dc.subject작업장-
dc.subject공공성-
dc.subject공론장-
dc.subject생산과정-
dc.subjectSeattle Public Library-
dc.subjectDongdaemun Design Plaza-
dc.subject공공 프로세스-
dc.subjectGround Zero-
dc.subject참여-
dc.subject공론영역-
dc.subject공론화-
dc.subjectpublic process-
dc.subjectpublic discourse-
dc.subjectpublic building-
dc.subjectpublic sphere-
dc.subjectpublic realm-
dc.subjecttalkshop-
dc.title공공건축물 생산과정에서 토론장과 작업장의 관계-
dc.title.alternativeThe Relationship Between Talkshop and Workshop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Public Building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Seungbum-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x, 424-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