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패션에 나타난 우아미의 사회적 규범과 미적취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민자-
dc.contributor.author최재경-
dc.date.accessioned2017-07-13T16:47:36Z-
dc.date.available2017-07-13T16:47:36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00000001870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274-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4. 2. 김민자.-
dc.description.abstract여성의 이상주의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미적 형식으로 보았던 우아미는 당대의 이상적 여성미를 대표하는 스타일로서 오랫동안 복식양식의 주요한 주제로서 존재해왔다. 우아미는 생각, 언행 태도, 복장 등이 어우러질 때 완성되는 것으로 단순히 복식의 조형적 특징만으로 추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규범 또는 미적 취향에 따라 착장자의 태도, 몸짓, 표정, 그리고 배경 등의 요소들이 복식과 조화를 이루며 보여질 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우아미를 고찰함에 있어서 2차원적인 회화와 사진 안에 담긴 기호학적 요소들을 사회기호학적인 관점에서 우아미가 사회문화적 역사적 맥락에서 어떠한 기표와 기의로서 표현되어왔는지를 총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우아미의 개념과 회화와 사진에 표현된 복식의 우아미에 관한 사회문화적 맥락을 밝히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사회기호학적 관점에서 실증적인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첫째, 우아미에 관한 일반적 개념을 바탕으로하여 구축된 복식에서의 우아미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우아미의 일반적 개념은 외모, 매너, 복장에 있어서 매력적이고 기품있는 태도와 예절을 기반으로 한 좋은 취향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미학적으로는 우아는 고대 라틴어 grazia에서 어원을 가지며, 품위, 좋은 취향, 감성과 이성의 조화, 품위, 정교한 기교, 여성적 매력, 섬세, 작은 형식, 경쾌한 움직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개념의 고찰의 결과 종합적으로 우아미의 개념은 품위, 예의범절, 도덕적 의지, 조화와 균형, 차별화된 취향의 사회적 규범에 의한 우아미와 세련미, 순수 쾌감, 감성적, 여성적 매력 형식의 미적취향에 의한 우아미로 살펴 볼 수 있으며 우아미의 미적가치는 품위성, 세련성, 여성성으로 조명될 수 있다.
여기서 우아미는 앞서 일반적인 정의와 미학사적 개념에 따라 우아미는 사회적 규범과 미적 취향에 의한 미적 범주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규범에 의한 우아미와 미적 취향에 의한 우아미는 미학적 논의를 토대로 복식에서 품위, 차별화된 고급취향, 고품질의 품위성과 세련되고 정련된 기교, 도회성, 절제성의 세련성, 가볍고 경쾌함, 부드러움, 곡선적, 장식적, 여성미의 여성성으로 미적가치를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미적 가치들은 범주화되어 논의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복식 안에 이러한 가치들이 함께 내재되어 있을 때 우아미가 결정된다.
복식에 대한 미적 향수는 사물과 인간관계 이외의 맥락적 상황, 즉 복식을 입는 이의 전체적인 외양(신체적 특징 및 복식의 구조적 디자인 등), 입는 이나 보는 이의 속성,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상황의 본질과 이들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역사를 포함한다. 복식에서 우아미는 한정의 완전성, 모순없이 완전, 별다른 노력없이 손쉽게 수행, 감성과 이성의 조화의 의미에서 생각, 언행, 태도 복장등이 어우려져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복식에서의 우아미에서는 다른 어떠한 미적 범주보다도 특히 복식 그 자체보다 맥락적 상황이 중요하다. 우아미는 외모, 매너, 복장에 관한 개념으로서 복식에서 표현되는 우아미의 조형적 특성은 복식이외의 표정, 태도 배경, 시대정신과 많은 연관성을 가지며 표현된다. 따라서 2차원적 시각이미지에 표현되는 외모와 복식을 보고, 포즈와 제스춰, 시선과 태도, 배경과 소품의 요소를 중심으로 우아미의 재현방식을 고찰하는 사회기호학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기호학적 관점에서 회화와 사진에 표현된 복식의 우아미와 사회적 규범과 미적취향의 관계를 사적으로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우아미는 도덕적인 의지와 품위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다른 미적 범주보다도 상징적 가치, 사회적 규범이 중요시되는 미적 범주라 하겠다. 우아미는 궁정 예절을 표출하는 하나의 방식으로서 채택된 양식으로 상징적 가치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부터 출발하여 점차 하나의 미적인 취향으로서 양식으로 확립되고 발전시켜져 온 것이라 할 수 있다. 현대에서는 패션의 민주화와 함께 계층차별과 도덕성, 예의범절의 품위성보다는 세련성을 더 강조하고 있다.
20세기 이전의 시기에서는 동일하게 우아미를 통해 지위와 부, 품위를 표출하였다 것이 공통적이나 르네상스시대와 낭만주의 시대는 사회적 위계질서, 성 이데올로기의 확립, 도덕성과 같은 사회적 규범의 사회구조적 측면에서 우아미가 지배계층의 이상미가 되었다면 로코코시대와 신고전주의 시대는 도덕성의 해이와 쾌락주의, 감성의 추구로 미적 취향의 측면에서 우아미가 복식의 이상미를 드러내는 중심적 미적범주가 되었다. 동일한 시대정신의 요소로서 사회적 규범, 시대 이념과 미적 취향이 시대적 이상미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나 동일선상에서 일치를 이루며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을 확인 할 수 있다.우아미의 미적가치는 품위성, 세련성, 여성성을 나누어질 수 없는 가치이나 시대별로 추구하는 이상미에 따라서 강조되는 미적가치의 중심이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우아미는 관습적으로 품위를 밑바탕으로 하여 매너, 몸가짐을 포함하는 기호로 표현되어 왔다. 회화와 사진에서 우아미의 표현형식은 단순히 옷차림의 외연적 형태와 내적 의미로서만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착장자의 태도, 표정, 포즈가 전체로 합쳐져서 표출된다. 회화에서 표현된 복식의 우아미를 표현하는 요소는 이러한 중심적이 미적가치의 변화를 결정짓는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구체적인 패션 현상으로서 우아미를 고찰하기 위해 2000년 이후 패션전문잡지 Vogue Korea에 실린 기사의 내용분석과 사회기호학적 분석을 하면 다음과 같다. 20세기 후반이후 시대적 보편성의 다원화됨에 따라 남성적 취향의 양성적 여성 이미지가 등장하였으며 우아미에 있어서 세련성의 가치가 중요해졌다. 복식사적으로는 여성패션에서 우아미로 간주되지 않았던 매니시 룩이 세련된, 엘리건트한, 기품있는, 절제된, 도회적인과 같은 우아를 대표하는 어휘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정련된 기교의 세련성은 장식의 절제를 통한 20세기이후에서는 남성적 취향의 형태로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사회적 가치로 집합적 동의의 취향, 사회적 인정보다 개인적 미적 취향에 의해 패션 선택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우아미를 결정짓는데 여전히 포즈와 제스처, 복식과 이들이 조화를 이루며 만들어내는 애티튜드가 중요하다. 이의 예시로 남성적 복식과 여성적 포즈의 조화가 우아미의 세련성을 표출한다. 20세기 이전 시선의 회피나 부드러운 시선과 여성적 자태, 단정함, 화려한 고품질의 복식으로 품위와 여성성을 드러냈다면 2000년대 이후에는 당당한 포즈와 표정으로 우아미의 현대적 세련미를 강조하고 있다.
우아미에 있어서 세련성과 품위성은 불변하는 미적 가치이나 여성성의 개념은 변화하여 남성적 스타일까지 확장되었다.
복식사적으로는 르네상스, 낭만주의 시대의 복식은 사회적 규범의 , 즉 사회적 지위나 역할, 또는 도덕적 규범에 의해 요구되는 미적가치에 의해 우아미를 추구하는 사회적 규범으로서의 품위성에 해당하는 스타일이었다. 그러나 현재 잡지의 어휘분석에 의하면 르네상스 로코코 낭만주의 시대의 복식은 현대에서 있어 과거의 향수를 간직하고 있는 장식적이고 로맨틱한 감성적인 복식으로서 표현되고 있다. 이는 현대에 이르러 르네상스 낭만주의 시대의 복식은 더 이상 도덕적 규범과 사회적 품위를 표현하기 위한 우아미의 복식이 아닌 하나의 미적취향으로서 여성성의 우아미로 조형적 특징은 변화하지 않았으나 미적 가치가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우아미를 시각적 이미지로 재현하고 있는 방식들과 함께 살펴보면, 우아미를 표현하는데 사용되었던 기표/도상들이 관습적으로 재현되고 있다. 우아미의 영속적 가치는 변함없이 지속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조형적 특성과 내용적 의미가 다층적으로, 유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점들은 현대사회에서 이상적인 여성상의 변화와 맥락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전통적 여성성, 양성적 여성성, 관능적 여성성, 미성숙 여성성과 같이 다양한 여성성이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8

제 2 장 복식에 표현된 우아미에 관한 이론적 고찰 12
제 1 절 우아미의 일반적 개념 12
1. 우아미의 용어적 정의 12
2. 미학적 측면에서의 우아미 19
제 2 절 복식에서 우아미를 보는 시각 31
1. 미학적 관점에서의 우아미의 특성 35
1) 사회적규범 35
2) 미적취향 38
2. 우아미의 미적가치 42
1) 품위성 42
2) 세련성 46
3) 여성성 50
3. 종합적 논의 56
제 3 절 본 연구에서 복식의 우아미를 보는 분석의 틀 59
1. 회화와 사진 이미지에 대한 사회기호학적 분석 60
2. 복식의 우아미를 보는 분석의 틀 개발 67

제 3 장 복식에 표현된 우아미에 대한 사적고찰 72
제 1 절 20세기이전 회화에 표현된 복식의 우아미 73
1. 르네상스 73
2. 로코코 80
3. 신고전주의 86
4. 낭만주의 90
제 2 절 20세기 사진에 표현된 복식의 우아미 95
1. 1920년대 95
2. 1930년대 101
3. 1940년대 말-1950년대 107
제 3 절 종합적 논의 113
1. 우아미의 특성 113
2. 우아미의 미적가치 115

제 4 장 2000년대 이후 패션에 표현된 우아미의 특성과 미적가치 117
제 1 절 패션잡지에 나타나 우아미에 관한 어휘분석 117
제 2 절 패션사진에 나타난 우아미에 관한 사회기호학적 분석 121
1. 우아미의 특성 121
1) 사회적규범 122
2) 미적취향 129
2. 우아미의 미적가치 135
1) 품위성 135
2) 세련성 139
3) 여성성 144
제 3 절 종합적 논의 150

제 5 장 결 론 152

참고문헌 155
Abstract 15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88711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우아미-
dc.subject사회적규범-
dc.subject미적취향-
dc.subject품위성-
dc.subject세련성-
dc.subject여성성-
dc.subject.ddc646-
dc.title패션에 나타난 우아미의 사회적 규범과 미적취향-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161-
dc.contributor.affiliation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4-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