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8-19세기 복식의 검은색 염색에 관한 연구 : Coloring Textiles Black in 1700-1900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효선-
dc.contributor.author이보영-
dc.date.accessioned2017-07-13T16:47:53Z-
dc.date.available2017-07-13T16:47:53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other00000002226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279-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4. 8. 유효선.-
dc.description.abstract18-19세기에는 자연과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염색이 과학의 한 분야로써 크게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전통 방식의 염색 기술이 체계적으로 문서화되고 지식으로 보급되었다. 특히 검은색의 염색은 서양 복식에서의 검은색에 대한 높은 선호도와 식민지 무역을 통한 다양한 염색 재료의 공급으로 인해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기의 검은색의 염색 기술을 비교 고찰하고, 실물로 재현하여 그 특징과 전시환경에서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오늘날 남아있는 많은 검은색 근대 복식 유물의 보존처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18-19세기의 다양한 문헌자료를 통해 합성염료가 보편화 되기 이전의 검은색 염색의 다양한 방법과 특징을 밝히고 이를 분류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1. 근대의 검은색의 염색법은 섬유의 종류 및 시대적 요인에 따라 다양한 재료와 과정을 사용하고 있으나, compound color로써의 기본적인 원리는 공통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ground를 사용하여 진하게 염색한 천 위에 iron-tannate 염색을 하는 방식이 가장 보편적으로 좋은 결과를 낸다고 하였다. 견과 면에서는 로그우드의 사용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단, 로그우드 단일로는 foxy, reddish 할 수 있으므로 다른 색상의 염재와 혼합 사용하여 보완하도록 하고 있었다. 반면, Fawn ground의 검은색은 저급 직물에 적합하고 색상이 좋지 않은 단점이 보고되었다.
2. iron-tannate를 적용하지 않고 검은색을 만드는 다른 방법은 삼원색의 혼합을 통한 감산혼합법으로, 이 경우에는 철 대신 알루미늄 매염제를 사용하였다.
3. 양모에 비해 견과 면의 염색법은 산업의 지역적 특수성이 염색법 명칭에 반영되어 있으며, 유연처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4. 검은색의 염색법에서 fine, good의 의미는 색상의 견뢰한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색조에 관한 표현은 jet, deep 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견의 검은색 염색에서의 light 와 heavy black은 및 증량 정도에 관한 설명이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검은색의 염색법을 기본적인 재료 및 원리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실물로 재현해 보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였다. 다양한 조합에 따른 검은색 양모, 견 및 면의 염직물의 색상 및 염색성을 분석하고, 박물관 전시 환경에서의 광 조사에 대한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디고 ground를 사용한 검은색 직물은 양모, 견, 면 모두에서 낮은 L*값, 높은 염색성, 4/4분면에 분포하는 a*, b*값을 보여 검은색의 염색에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Logwood black은 견과 면에서는 인디고ground와 유사한 수준의 결과를 나타냈으나, 양모의 염색에서는 a*, b*값이 +영역에 머물러 redness와 yellowness가 강한 결과를 보였다. 오리나무(alder)를 이용한 Fawn ground의 사용 역시 blue ground에 비해 검은색이 효과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2. 반복염색은 감산혼합법을 제외한 모든 염색법에서 염색성 증가에 효과적이었으며, 감산혼합의 경우 알루미늄 매염제의 사용은 명도를 밝게 하므로 가급적 염색 횟수를 줄이고 진한 염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 직 할 것이다.
3. 광 조사에 의한 UV노출은 모든 직물의 색에 약간의 변화를 야기하였으나 유의한 정도로 보기 어려웠다. 단, 감산혼합 또는 ground위에 매염처리 없이 중복염색을 하는 경우에는 표면 색의 변화가 먼저 일어나는 경향이 나타났다.
4. 염색과 광 조사로 인한 인장강도의 감소는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양모에 비해 견과 면의 인장강도 감소율이 전반적으로 높아 손상 정도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검은색 염직물의 전시 환경에서의 문제점은 변색보다는 섬유의 손상에 따른 불안정성의 증가에 있다.
결과적으로, 일반 전시 조도 기준에 부합하는 조명에 노출시켰을 때, 검은색 염직물의 표면 색은 안정한 결과를 보였으나, 직물의 인장강도의 손실은 뚜렷이 나타났다. 그러나 실용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 부분에 주의를 기울이고 uv 노출 이외의 기타 노화 요인의 작용을 배제할 경우 약 60년의 전시 및 보관에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방법 7
II. 문헌 연구 10
1. 18-19세기의 염색과 이론적 배경 10
2. 18-19세기의 검은색 염색법 20
2.1. Iron-tannate Black 24
2.2. Black on Blue ground 28
2.3. Black on Fawn ground 31
2.4. Logwood Black 32
3. 18-19세기 검은색 염색의 재료 33
3.1. 염재 33
3.2. 매염제 48
4. 검은색 염색법의 용어 59
4.1. 색의 표현 59
4.2. 관련 용어 63
III. 실험 연구 77
1. 재료 및 시약 79
1.1. 직물 79
1.2. 염재 80
1.3. 매염제 및 시약 81
2. 실험 방법 82
2.1. 염색 82
2.2. 분석 및 평가 항목 93
IV. 결과 및 고찰 97
1. 색상 및 염색성 97
1.1. 염색에 의한 색상 변화 97
1.2. 염색성 119
1.3. 유연처리가 색상에 미치는 영향 125
2. 광 조사에 의한 변화 137
2.1. 색상 변화 137
2.2. 인장강도의 변화 143
V. 결론 158
참고문헌 164
Abstract 175
APPENDIX 178
Appendix 1. Additional figures for Chapter II. 179
Appendix 2. Dyeing recipes for black, 1700-1899 182
Appendix 3. Edward Bancrofts Explanation of Dyeing Terms 200
Appendix 4. Summary of experimental data 204
Appendix 5. Summary of color change induced by UV radiation in CIE a*, b* coordination 20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0855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검은색 염색-
dc.subject18-19세기-
dc.subjectlogwood black-
dc.subjectiron-tannate-
dc.subject광조사-
dc.subject.ddc646-
dc.title18-19세기 복식의 검은색 염색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Coloring Textiles Black in 1700-1900-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x, 208-
dc.contributor.affiliation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4-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