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n Exploratory Inquiry into Music Therapy Assessment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특수아동들을 위한 음악치료 진단평가에 대한 탐색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일-
dc.contributor.author심성용-
dc.date.accessioned2017-07-13T17:04:27Z-
dc.date.available2017-07-13T17:04:27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other00000002176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516-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 2014. 8. 김동일.-
dc.description.abstract국문요약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음악치료 현장에서 특수아동을 대상으로 임상을 하고있는 음악치료사들이 진단평가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를 탐구하기 위하여 최근 심리학 및 상담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질적 연구 방법인 합의적 질적 연구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를 통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임상 현장에서 특수아동들과 함께 일을 하는 음악치료사들이 전반적인 진단평가과정에서 내적 및 외적으로 무엇을 경험하는지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12명의 치료사들에게 초기면접의 실태 (an initial assessment/intake interview), 종합진단평가과정(a full-scale/ongoing assessment), 그리고 평가 기준으로서의 음악사용경험(the experience of using music as assessment criteria)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하여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를 개발하여 연구참여자 전원에 대한 전화인터뷰를 심층적으로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관련 자료는 명확하게 전사되었으며, 이는 세명의 연구자들이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으로 분석하였고, 두명의 감수자가 결과를 감수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로서, 초기면접 및 진단평가 각각에 대한 인식, 절차, 도구, 그리고 쟁점에 대한 주제를 바탕으로 한 분석결과를 알 수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음악적 사정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로, 초기면접에 대한 인식으로는 기본정보를 모으는 과정으로서 라포형성 및 부모상담을 포함하는것이라고 보고되었다. 절차로서는 기관에서 근무하는 경우 다른 전문인들에의해 1차적으로 초기면접이 실시되고 있으며, 2차적으로 음악치료를 위한 초기면접이 다시 실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구로서는 대부분이 음악치료용 접수면접지가 없다고 대답했으며, 다른 전문인들이 수집한 정보가 기입된 면접지에 내용을 추가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면접지 항목구성으로는 크게 음악적 및 비음악적 영역으로 나누어 정보를 수집하였다. 접수면접에 대한 쟁점으로서 어려운점은 충분한 정보습득의 어려움, 기관의 정책으로인해 초기면접을 두번 실시할 수 밖에 없는 부분, 그리고 지속적인 음악치료 교육에 대한 어려움등이 보고되었다. 필요한점으로서는 표준화된 개관적인 접수면접지로 나타났다.
둘째로, 진단평가에 대한 인식으로서는 음악 및 음악활동안에서의 진단을 통하여 치료적 목표 및 목적들을 세우고, 아동들의 현 수준의 기능과 필요한 부분들을 판별하는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진단절차로서는 초기면접의 경우와 같이 크게 음악 및 비음악 영역에서 필요한 정보들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달정도의 시간에 걸쳐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검사도구에 있어서는 다양한 자원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응용해서 만든 도구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 형태로서는 평가내용을 서술하여 기술하는 방식으로서 치료사 개인 선호도에 맞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구성요소로서는 초기면접과 같이 크게 음악적 및 비음악적으로 나누어서 해당내용들을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쟁점부분에서 어려움으로서는 전문적인 음악치료 진단평가도구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서술형으로 기술하는 것, 간학문적 팀 구성원으로 함께 일할 시 객관적인 결과를 공유하는 부분, 장애 각 영역에 맞는 검사도구가 없는 부분, 그리고 각 기관마다 요구되는 형식과 문화가 다른 점들에서오는 불편 및 혼란이 조사되었다. 필요한 부분으로서는 표준화된 진단도구 제작이 강조되었으며, 각 기관의 체계적이고 협력적인 지원이 필요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음악에 대한 진단평가 실시할 경우 경험하게되는 쟁점으로서는 음악을 어떤 진단준거로 사용해야하는가와 음악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 및 반응이 보고되었다. 이후 이러한 결과가 임상현장의 음악치료사와 진단평가에대하여 시사하는 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에서 특수아동들을 대상으로 임상을하는 12명의 음악치료사들이 초기면접부터 종합적 진단평가까지 무엇을 경험하고 있는가에 대한 면접자료를 CQR이라는 분석틀을 통하여 개념화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진단평가가 가지는 의미를 간접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현재 현장에서 특수아동들과 임상을하고 있는 음악치료사들에게는 개념화된 이론적 정보를 통하여 자신들의 진단평가 역량에 대해서 비교, 분석, 그리고 반영의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
dc.description.abstractAbstract

An Exploratory Inquiry into
Music Therapy Assessment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him, Sung-yong
Major in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at music therapists who work with children with special needs experience in the course of assessment in the field. Methods: Through the pilot study, a form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open-ended questions was developed. Interviews were completed with twelve professional music therapists and they were asked about 1) an intake process, 2) a full-scale assessment, and 3) the experience of using music as an assessment criteria. Tele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very participant and each interview was transcribed.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 were analyzed through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s. Results: Overall, the information of recognition, procedure, instrument, and issue of each initial (intake process) and full-scale assessment were discussed. In addition, music assessment issues were also discussed. First, the intake process was considered as the process of collecting basic information while establishing rapport at first sight and during parental counseling. For the procedure, the participants were provided the intake information obtained by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of the institutions. Hence, all participants did a meet-up with parents/guidance after the initial intake interview was done for the upcoming music therapy service. There was no specific music therapy intake form used in the field. Nevertheless, what participants usually did was to add extra information as needed on the intake information collected by other professionals. In the pattern of intake, self-made intake forms were utilized, and professional forms from other disciplines such as special education and psychology were adapted to the forms. For assessment items, there were two major categories to gather the information needed: non-musical and musical. Within intake interview issues, two sub-domains were assigned under the main theme for more concrete classification: difficulties and needs. Second, assessment was considered as establishing therapeutic goals and objectives during this term and identifying the current level of the cli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assessment, it is reported that assessment was categorized into two major areas (musical and non-musical) and that the assessment took approximately a month based on one session per a week. For the assessment tool per se, a variety of resources were utilized. The descriptive approach was the most preferable method for documenting the information observed. There were two major categories to collect information during assessment: musical and non-musical. In the issues of assessment, two sub-domains were also assigned under the main theme for more concrete classification: difficulties and needs. Lastly, there existed some uncertainty in how to deal with music in the context of assessment criteria. In addition, some characteristics of music and subjective experience and response to those elements were reported for the music assessment issue. Discussion: Then, it is discussed based on what the results could offer music therapists in terms of suggestions toward the course of assessmen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Table of Contents


I. CHAPTER 1: INTRODUCTION 1

1. Purpose of Study 1
2. Research Question 9
3. Definition of Terminology 12

II. CHAPTER 2: LITERATURE REVIEW 16

1. Music Education and Music Therapy 16
2.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Music Therapy 19
3.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Music Therapy Assessment 23
4. Music Therapy Assessment Literature 27
5. Music Therapy Assessment Issues 36

III. CHAPTER 3: METHOD 45

1. Participants 45
2. Interview Protocol 48
3. Procedure 49
4. Data Analysis 52

IV. CHAPTER 4: RESULTS 57

1. The Practice of Initial Intake Interview 61
2. Music Therapy Assessment Process 69
3. Experiences in the Use of Music as Test Criteria 81

V. CHAPTER 5: DISCUSSION 85

1. General Discussion 85
1) Initial assessment/intake process 86
2) A full-scale assessment 91
3) Music Assessment issues 109
2. Limitations 111
3. Implications 113

VI. REFERENCES 119

VII. APPENDIX 129

VIII. 국문요약 (Abstract in Korean) 13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728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en-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children with special needs-
dc.subjectmusic therapy-
dc.subjectintake process-
dc.subjectassessment-
dc.subjectqualitative inquiry-
dc.subjectCQR-
dc.subject.ddc371-
dc.titleAn Exploratory Inquiry into Music Therapy Assessment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dc.title.alternative특수아동들을 위한 음악치료 진단평가에 대한 탐색적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viii, 141-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