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교에서의 건강교육은 얼마나 건강한가? - 초등체육 건강 활동 지도의 내실화를 위한 교육학적 탐색 : How healthy is the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 pedagogical exploration for the effective teaching of health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미림

Advisor
이옥선
Major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초등체육건강 활동교사 인식학생 인식체육수업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과, 2017. 2. 이옥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교사 및 초등학생이 초등체육 건강 활동을 어떻게 인식하고 실천하는지, 그리고 그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건강교육 내실화를 위하여 어떤 시사점을 찾을 수 있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1) 초등학교 체육의 건강 활동에 대해 교사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 초등학교 체육의 건강 활동에 대해 학생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3) 초등학교 체육에서 건강 활동은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가? 4) 초등학교 체육에서 건강 활동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5) 건강교육 내실화를 위한 초등학교 건강 활동 지도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 패러다임에 입각한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으로 2015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총 24개월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심층면담, 비참여수업관찰, 현지문서, 문헌고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유목적적 표본추출(purposeful sampling)의 방법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Patton, 2008). 연구 참여자는 현직교사 12명과 초등학생 24명이며, 수집된 모든 자료는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나선형 자료 분석의 방법에 따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Creswell, 2007). 질적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 문제에 따른 자료 수집원을 다원화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검토 및 동료들과의 협의를 실시하였으며, 윤리적으로 타당한 절차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소속된 대학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심의를 거쳤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 교사들은 체육교과 밖에서도 존재하는 건강이라는 광대한 개념에 대해, 체육교과 안에 자리하고 있는 건강 활동 영역에 대해, 그리고 실제 건강 활동 수업으로 좁혀가며 조금씩 상이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연구 참여 교사들은 평생 건강의 기반, 의무교육의 궁극적 가치, 생활 속 실천의 영역과 같이 건강이라는 개념 자체는 초등교육과 관련 지으며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하였다. 2) 하지만 건강 활동은 타 영역의 기반, 스포츠교육의 수단적 위치, 지식의 영역으로 인식하며 궁극적인 건강의 개념이 체육 교과 속에서 보조적인 모습으로 축소되어 나타났다. 3) 실제 건강 활동 수업에 대한 교사 인식은 체력, 보건, 안전의 세부 내용에 따라 분리된 형태로 드러났으며 PAPS로 대체되는 체력 수업, 설 자리를 잃은 보건 수업, 현장감 없는 안전 수업으로 교육개선이 필요한 영역임이 입증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 학생들은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남학생과 여학생의 여부에 따라 작은 인식의 차이를 보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대체로 건강이라는 개념 자체에 대해, 체육교과서로 만나는 다섯 가지 신체활동 영역 중의 하나인 건강 활동에 대해, 그리고 실제 건강 활동 수업에 대해 다른 인식을 보였다. 1) 연구 참여 학생들은 건강의 개념을 체격 및 체형이나 스포츠 수행능력 또는 가치덕목처럼 신체‧정신‧사회적 건강 중 하나의 부분에 치중하여 인식하였다. 2) 하지만, 학생들에게 건강 활동은 체육교과의 다른 영역에 비해 소외된 모습으로 무인식, 인지 활동, 필요악의 영역으로 인식되어 건강교육에 대한 중요성에 비해 흥미는 미흡한 불균형한 모습이었다. 3) 이러한 연구 참여 학생들의 인식은 건강 활동 수업에서도 체력, 보건, 안전의 내용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 건강 활동 지도의 내실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초등체육 건강 활동의 실천 양상을 목표, 내용, 방법, 평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목표 측면에서는 현재의 건강과 미래의 건강 또는 정규 교육과정과 정과 외 체육활동 사이에 미합의 목표가 나타났으며, 체력, 보건, 안전의 세부 내용 중 일부만 추구하는 한정적 목표로 건강 활동이 실천되었다. 2) 내용 측면에서는 일상생활 준비용 체력지도라는 긍정적인 내용과 교내행사 대비용 체력지도라는 부정적인 내용이 서로 상충하는 양상이었다. 3) 방법 측면에서는 게임 중심의 체력 지도와 훈련 중심의 체력 지도가 지도 교사나 교육과정 운영 시기에 따라 혼재되어 나타났다. 4) 평가 측면에서는 결과 중심의 평가, 태도 중심의 평가로 건강 활동의 학습 내용은 부분적인 수준에서 평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초등체육 건강 활동 수업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미시, 매개, 거시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미시적 요인으로는 건강 활동 수업의 실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학생과 교사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학생의 교과인식과 교사의 다양성 및 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매개적 요인으로는 미약한 입지의 나열식 교육과정과 학교 관리자 및 학부모의 교육관이 드러났다. 3) 거시적 요인으로는 학교문화와 교육정책이 거론되었으며, 세부적으로는 개인주의 및 성과주의 학교문화와 교사연수 및 아웃소싱 관련 교육정책이 건강 활동 수업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건강교육 내실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방안은 교사교육의 강화, 교육적 정체성의 강화, 교육과 정책의 연계성 강화이다. 1) 교사교육의 강화로는 잘 가르칠 수 있도록 배우는 예비교사교육과 체육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마음을 불러일으키는 신체 활동 가치 중심의 현직교사교육이 모색되었다. 2) 교육적 정체성의 강화로는 건강 활동에 대한 철학과 정체성을 탐색하며 건강 활동의 방향을 정립해나가고 건강 활동의 가치를 명료화하는 개선방안이 탐색되었다. 3) 교육과 정책의 연계성 강화로는 학교교육을 아우르는 건강교육과 학교교육을 고려하는 건강정책이 개선방안으로 도출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첫째, 건강에서 건강 활동 및 건강 활동 수업으로의 교사 인식 변화는 전반적으로 축약의 모습을 띄고 있으며, 국가수준교육과정의 하향식 개발로 인하여 문서적 교육과정의 의도가 교사들에게 제대로 파급되지 못했거나 미흡한 교사교육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건강에서 건강 활동 및 건강 활동 수업으로의 학생 인식 변화 속에서 학생이 건강 활동에 대해 가지는 왜곡이 발견되었으며 건강교육 내실화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오개념은 줄여 나가고, 학생들이 이미 건강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던 것처럼 긍정적인 부분은 더욱 발현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건강 활동의 실천이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측면에서 교육과정에 온전히 충실한 형태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은 교육과정에 고시된 건강 활동의 교육적 의미가 학교 현장으로 잘 전달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초등체육 건강 활동 지도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살펴본 미시적‧매개적‧거시적 차원의 다양한 요인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조율이 전제되어야 한다. 다섯째, 건강 활동 영역에 대한 교육적 정체성을 강화하고, 건강을 잘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역량을 키우는 교사교육을 실천함과 동시에 교육과 정책의 연계성을 높이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동반될 때 초등체육 건강교육의 내실은 현실화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향후 건강교육의 실천을 위한 측면에서 제언하면, 첫째, 건강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사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내에서 건강 활동에 대한 일관성, 통합성, 정체성을 되찾기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 건강교육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정책을 종합적으로 바라보는 안목이 필요하다. 넷째, 건강 활동의 지도가 본래의 교육적 의도대로 실천되어야 한다. 후속 연구를 위한 측면에서 제언하면, 첫째, 건강 활동의 교육과정 운영 및 실행에 관한 장기적,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이 건강 및 건강 활동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오개념은 무엇이며, 어디에서 연유하게 되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건강 활동의 지도와 관련된 교사의 지식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건강 활동을 잘 지도하기 위한 수업모형에 대한 관심이 촉구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57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