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예비 물리 교사의 관 내 정상파 모형 발달에서 간섭무늬영상에 대한 시각적 지각과 해석의 역할 : The Roles of Visual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Interference Fringe Image in Pre-service Teachers Model Development of Standing Waves in a Pip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준희-
dc.contributor.author박정우-
dc.date.accessioned2017-07-13T17:20:58Z-
dc.date.available2017-07-13T17:20:58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00000001880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766-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과학교육과(물리전공), 2014. 2. 유준희.-
dc.description.abstract관 내 정상파의 네 가지 모형유형 중에 예비교사는 미시·추상 모형만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현상과 연계해 설명하지 못한다. 이에 예비교사의 구체·추상 모형을 발달시키고 이를 통해 전체 모형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관내 정상파는 사실상 시각적으로 관찰 불가능하기 때문에 예비교사는 초기 모형을 통해 예상한 결과를 현상과 비교할 수가 없고, 따라서 모형을 발달시키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리 관련 현상을 시각적 지각 가능하도록 하는 가시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전자 광반점 간섭계(ESPI: 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er)는 정상파의 압력변화 현상을 거시적인 영역에서 가시화 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거시·구체 모형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전자 광반점 간섭계는 일반 물리 실험에서 사용되는 광학 기기들을 이용하여 연구자가 구성하였다. 영상처리는 연구자가 LabVIEW 2009로 제작한 영상감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거의 실시간으로 수행하였다. 활동은 4시간동안 진행되었으며, 서울 소재 대학의 물리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물리교사 29명이 참여하였다. 활동 전과 후에 예비교사가 가지고 있는 모형유형과 모형전환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파 관련 삽화요소의 의미와 각 표상에 대한 이해를 묻는 검사지를 수정 적용하였다. 예비교사가 작성한 활동지를 수집하였으며, 예비교사의 활동은 모두 녹화, 녹음하였다. 검사지와 활동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모형유형, 모형조직화, 모형구조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모형유형은 전체 모형을 구성하는 네 가지의 부분 모형을 유형화 한 것으로 미시·구체, 미시·추상, 거시·구체, 거시·추상 등이 있다. 활동 전에 과학적인 거시·구체 모형을 가진 예비교사는 2명(6.9%)에 불과했다. 하지만, 9명(31.0%)의 예비교사가 활동 전의 거시·구체 모형에 비해 활동 후의 거시·구체 모형을 발달시켰다. 9명 중에 7명(77.8%)은 제공한 전자 광반점 간섭계의 간단한 설명을 이용해 간섭무늬영상을 해석하였다. 2명(22.2%)은 직관으로 간섭무늬영상을 해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예비교사는 과학적 거시·구체 모형을 갖기는 어려워했지만, 간섭무늬영상의 시각적 지각과 해석 활동을 통하여 거시·구체 모형유형을 발달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조직화는 네 가지 모형유형사이의 전환을 통하여 상위모형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모형전환을 통한 과학적인 모형유형 수의 증가로 모형조직화의 발달을 판단하였다. 활동 전에 예비교사가 사용한 과학적 모형유형의 수는 평균 0.76개였지만, 활동 후에는 1.31개로 증가하였다. 또한 활동 전에는 0개의 과학적 모형유형을 사용한 경우가 17명(58.6%)으로 제일 많았지만, 활동 후에는 2개의 과학적 모형유형을 사용한 경우가 10명(34.5%)으로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조직화의 발달을 위한 활동으로 두 가지 순서로 모형전환을 적용하였다. 미시·추상, 거시·추상, 미시·구체, 거시·구체의 순서로 모형전환 활동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8명이었고, 이 중 네 가지 모형유형이 모두 과학적인 경우는 1명(12.5%)이었으며 모든 과정에서 과학적으로 모형전환을 한 예비교사는 3명(37.5%)이었다. 거시·구체, 미시·구체, 미시·추상, 거시·추상의 순서로 모형전환 활동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11명이었으며, 이 중 네 가지 모형이 모두 과학적인 경우는 8명(72.7%)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모든 과정에서 과학적으로 모형전환을 하였다. 이처럼 과학적으로 모형전환을 할 수 있는 경우는 모형조직화를 성공적으로 발달시킨다고 할 수 있다. 구체와 추상 사이의 모형전환은 미시와 거시 사이의 모형전환에 비해 비과학적이었는데, 특히 구체에서 추상으로의 전환보다 추상에서 구체로의 전환에서 비과학적인 전환이 많이 나타났다. 이는 정상파에서는 구체에서 추상으로의 모형전환이 모형조직화의 발달에 효과적이며, 구체적인 모형유형의 발달이 모형조직화의 발달을 위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모형구조는 변인에 따른 각 모형유형의 변화를 의미하며, 네 가지 모형유형사이의 전환을 통하여 얻은 상위모형이 변인의 변화에도 얼마나 일관적인지로 모형구조의 발달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구조의 발달을 판단하기 위해 진동수와 진폭, 두 변인의 변화에도 일관적인 모형전환을 사용하는 지를 평가하였다. 거시·구체, 미시·구체, 미시·추상, 거시·추상의 모든 전환 과정에서 과학적으로 모형전환을 하여 모형조직화를 발달시켰던 8명은 진동수의 변화에서도 모두 과학적인 모형전환을 하였지만, 진폭의 변화에서 모두 과학적인 모형전환을 한 경우는 단 2명뿐이었다. 즉 예비교사의 모형구조는 진폭의 변화보다 진동수의 변화에서 더 발달하였다. 진동수의 변화에 따른 간섭무늬영상의 변화를 바르게 시각적으로 지각한 예비교사는 25명(86.2%)이었고, 간섭무늬영상의 해석을 통해 거시·구체 모형유형의 변화를 설명한 14명 모두 밀한 부분과 소한 부분의 간격이 줄어든다.고 과학적으로 설명하였다. 반면 진폭의 변화에 따른 간섭무늬영상의 변화를 바르게 시각적으로 지각한 경우는 6명(20.7%)이었고, 간섭무늬영상의 해석을 통해 거시·구체 모형의 변화를 설명한 14명 중에 6명(42.9%)만이 소밀 차이 크다.고 과학적으로 설명하였다. 예비교사는 변인의 변화에 따른 간섭무늬영상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잘 지각하지 못하는 경우, 거시·구체 모형유형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거시·구체 모형유형의 모형전환을 통해 획득한 미시·구체, 미시·추상 및 거시·추상 모형유형의 변화가 기존에 알고 있던 모형유형의 변화와 다를 때, 예비교사는 모형전환을 통해 획득한 모형유형의 변화를 쉽게 포기하고 기존에 알던 모형유형의 변화를 기록한다. 그 결과 모형전환은 비과학적으로 나타나며, 이는 모형구조의 발달을 저해한다. 따라서 간섭무늬영상의 변화를 쉽게 시각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모형구조의 발달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정상파 관련 모형구조와 모형조직화의 발달을 위해 예비교사의 거시·구체 모형을 발달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며, 가시화된 현상의 시각적 지각과 해석을 통해 거시·구체 모형유형의 발달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정상파 관련 모형 발달에서 구체적 모형 발달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추상적인 영역에 편중되어 현상과 이론을 연결하지 못하는 현재의 정상파 관련 수업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초 록 ⅰ
목 차 ⅳ
표 목차 ⅷ
그림 목차 ⅹ

1. 서 론 1
1.1. 연구의 동기 1
1.2. 연구의 목적 5
1.3. 연구 과정의 개요 6
1.4. 용어의 정의 8
1.5. 연구의 한계 15

2. 선행 연구와 이론적 논의 16
2.1. 국내 교과서와 교사의 정상파 관련 설명 16
2.1.1. 국내 교과서의 정상파 관련 설명 16
2.1.2. 교사의 정상파 관련 설명 20
2.2. 학생의 소리 및 정상파 관련 이해 24
2.2.1. 학생의 소리에 대한 이해 24
2.2.2. 학생의 정상파 관련 이해와 어려움 27
2.3. 표상, 모형 및 모형발달 35
2.3.1. 모형 35
2.3.2. 표상 36
2.3.3. 모형유형 43
2.3.4. 모형조직화 45
2.3.5. 모형구조 47
2.3.6. 모형발달 49
2.4. 자료 해석과 모형발달 51
2.4.1. 자료 해석 51
2.4.2. 자료 해석과 모형발달 52
2.4.3. 가시화와 모형발달 53
2.5. 가시화와 시각적 지각 55
2.5.1. 가시화 55
2.5.2. 시각적 지각 56
2.6. 전자 광반점 간섭계를 통한 기주 진동의 가시화 57
2.6.1. 저가형 전자 광반점 간섭계 57
2.6.2. 전자 광반점 간섭계의 구조 58
2.6.3. 기주 진동의 이론적 계산 59
2.6.4. 영상 처리 60
2.7. 가시화 영상의 시각적 지각과 해석 및 모형전환을 통한 모형발달 62

3. 연구 방법 66
3.1. 연구 대상 66
3.2. 전자 광반점 간섭계 장치 구성 66
3.2.1. 저가형 전자 광반점 간섭계 장치 구성 66
3.2.2. 실험 장치의 개선 67
3.2.3. 영상 감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69
3.2.4. 관 제작 및 관의 특성 확인 71
3.2.5. 모드별 간섭무늬영상 74
3.2.6. 획득한 영상이 압력변화에 의함을 확인 76
3.2.7. 영상의 개선 82
3.3. 모형발달을 위한 활동의 구성 84
3.4. 자료 수집 88
3.5. 분석 방법 89

4. 결과 및 논의 92
4.1. 거시·구체 모형유형 발달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지각과 해석의 역할 92
4.1.1. 간섭무늬영상에 대한 시각적 지각 92
4.1.2. 간섭무늬영상에 대한 해석 99
4.1.3. 거시·구체 모형의 발달 103
4.1.4. 시각적 지각 및 해석과 거시·구체 모형의 발달 109
4.2. 모형조직화의 발달에 효과적인 모형전환의 순서 115
4.2.1. 모형조직화의 발달 115
4.2.2. 모형전환의 순서와 모형조직화의 발달 137
4.3. 모형구조의 발달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지각과 해석 145
4.3.1. 간섭무늬영상의 변화에 대한 시각적 지각과 해석 145
4.3.2. 변인의 변화에 따른 모형유형의 변화 148
4.3.3. 변인의 변화에 따른 모형구조의 발달 160

5. 요약 및 결론 165
5.1. 요약 165
5.2. 결론 및 시사점 170

참고문헌 172
Abstract 204
표 목 차

[표 2-1] 고등학교 물리1 교과서의 삽화 요소(박정우, 유준희, 2010) 17
[표 2-2] 교과서의 그림과 설명에서 나타난 표상의 수준(박정우, 유준희, 2010) 19
[표 2-3] 교사가 설명에 사용한 표상(박정우, 유준희, 2010) 20
[표 2-4] 교사의 설명과 그림에서 나타난 표상(박정우, 유준희, 2010) 22
[표 2-5] 소리에 대한 미시적 이해에 관한 선행 연구(박정우, 유준희, 2009) 26
[표 2-6] 공동구성에 의한 모형의 발달(Yoo & Park, 2013) 26
[표 2-7] 미시·구체 표상과 추상적 표상을 같이 사용한 학생의 설명(박정우, 유준희, 2009) 29
[표 2-8] 각 점에서의 공기 입자 하나의 움직임에 대한 학생의 설명(n=73)(박정우, 유준희, 2011) 30
[표 2-9] 학생의 MiC 설명 모형(박정우, 유준희, 2011) 32
[표 2-10] MiC 종진동 모형을 가진 학생의 정상파 삽화에 대한 설명(박정우, 유준희, 2011) 33
[표 2-11] 구체적 표상과 추상적 표상의 정의(박정우, 유준희, 2010) 39
[표 2-12] 미시적 수준과 거시적 수준 표상의 정의(박정우, 유준희, 2010) 41
[표 2-13] 정상파 관련 표상의 분류 틀(박정우, 유준희, 2010) 42
[표 2-14] 소리의 모형유형 45
[표 2-15] 소리의 모형구조 48
[표 2-16] 모형의 구성의 차원(Yoo & Park, 2013) 50
[표 3-1] 측정된 관 내 기주의 모드별 고유 진동수 74
[표 3-2] 교수 학습 활동의 단계와 연구의 진행 84
[표 3-3] 모형의 발달 분석틀 89
[표 3-4] 정상파의 모형유형 90
[표 3-5] 정상파의 모형구조 91
[표 4-1] 간섭무늬영상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에 대한 시각적 지각 94
[표 4-2] 간섭무늬영상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모양 대한 시각적 지각 95
[표 4-3] 간섭무늬영상에서 시각적 지각하는 부분과 시각적 지각한 부분의 모양에 대한 시각적 지각의 관계 98
[표 4-4] 간섭무늬영상의 해석 101
[표 4-5] MaC 모형의 변화 104
[표 4-6] 비교적 과학적인 MaC 모형의 변화에 대한 상세 분류 105
[표 4-7] 사전 MaC 모형의 유지와 변화 106
[표 4-8] MaC 모형이 변화한 예비교사의 모형유형 발달 107
[표 4-9] 간섭무늬영상의 해석 유형과 활동 후 MaC 모형 110
[표 4-10] MaC 모형이 변화한 예비교사의 간섭무늬영상의 해석 111
[표 4-11] 과학적 모형유형의 사용 수 115
[표 4-12] 예비교사가 사용한 과학적 모형의 유형 117
[표 4-13] 각 유형별 학생의 과학적 모형유형의 변화 118
[표 4-14] 학생의 MiC 모형의 변화 120
[표 4-15] 비교적 과학적인 MiC 모형인 종진동 모형의 변화 122
[표 4-16] 학생의 MiC 모형의 유지와 변화 123
[표 4-17] MiC 모형 변화한 예비교사의 사전, 사후 MiC 모형 124
[표 4-18] 학생의 MiA 모형의 변화 126
[표 4-19] 학생의 MaA 모형의 변화 127
[표 4-20] 진동수 변화에 따른 간섭무늬영상 변화에 대한 시각적 지각 146
[표 4-21] 진폭 변화에 따른 간섭무늬영상 변화에 대한 시각적 지각 146
[표 4-22] 진동수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간섭무늬영상의 해석을 통한 MaC 모형의 변화(MaC-f) 149
[표 4-23] 진폭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간섭무늬영상의 해석을 통한 MaC 모형의 변화(MaC-l) 150
[표 4-24] 진동수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간섭무늬영상의 해석을 통한 MiC 모형의 변화(MiC-f) 152
[표 4-25] 진폭에 따른 MiC 모형의 변화(MiC-l) 154
[표 4-26] 진동수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간섭무늬영상의 해석을 통한 MiA 모형의 변화(MiA-f) 156
[표 4-27] 진동수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간섭무늬영상의 해석을 통한 MaA 모형의 변화(MaA-f) 157
[표 4-28] 진폭에 따른 MiA 모형의 변화(MiA-l) 157
[표 4-29] 진폭에 따른 MaA 모형의 변화(MaA-l) 158



그 림 목 차

[그림 1-1] 연구 과정의 개요 7
[그림 2-1] 각 점의 운동에 대한 학생의 설명 중 가장 많은 설명(박정우, 유준희, 2011) 31
[그림 2-2] 모형의 전환 46
[그림 2-3] 외적으로 표현된 자료를 훑어보는 것은 내적 모형에 이르게 한다(Spence, 2001). 52
[그림 2-4] 특정한 과제와 관련된 모형은 존재하는 모형을 참조하여 형성된다(Spence, 2001). 53
[그림 2-5] 내적 모형과 외적으로 표현된 자료의 해석(Spence, 2001). 53
[그림 2-6] 수정 GEM cycle(유희원 등, 2012) 54
[그림 2-7] 전자 광반점 간섭계의 구조 58
[그림 2-8]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가시화와 모형발달의 관계 63
[그림 3-1] LabVieW로 개발한 영상 처리 장치의 개요 70
[그림 3-2] 실험에 사용 된 관 71
[그림 3-3] 관 내 기주의 FFT 분석 결과 73
[그림 3-4] 측정된 관의 모드별 고유 진동수 73
[그림 3-5] 관 내 기주 진동의 모드별 간섭무늬영상과 압력 위치 그래프 75
[그림 3-6] 클램프로 관을 잡았을 때, 진동하는 기주의 간섭무늬영상 76
[그림 3-7] 관의 진동을 마이켈슨 간섭계로 확인 77
[그림 3-8] 관 내 공기가 정상 진동할 때와 진동하지 않을 때, 압력의 배와 압력의 마디 부분의 마이켈슨 간섭무늬 79
[그림 3-9] 압력 배 부분의 압력에 따른 관의 휘어짐 80
[그림 3-10] 관의 원형 간섭무늬 81
[그림 3-11] 높은 음압에서 얻은 관의 원형 간섭무늬 81
[그림 3-12] 개선된 간섭무늬영상 83
[그림 3-13] 개선 된 관에서 얻은 높은 음압의 간섭무늬영상 83
[그림 4-1] 활동 2의 사전/사후 검사에 학생에게 제공한 간섭무늬영상 92
[그림 4-2] 영상의 어두운 부분을 사각 띠로 시각적 지각한 경우 96
[그림 4-3] 영상의 밝은 부분을 정상파의 변위-위치 그래프와 같은 모양으로 지각한 경우 97
[그림 4-4] 활동 2의 사전검사 이전에 제공한 전자 광반점 간섭계의 간략한 설명 99
[그림 4-5] 어두운 곳이 밀하다고 간섭무늬영상을 해석한 경우 102
[그림 4-6] 과학적인 간섭무늬영상의 해석을 통하여 MaC 모형을 발달시킨 경우 112
[그림 4-7] 간섭무늬영상, 비과학적인 간섭무늬영상 해석을 통하여 사전 MaC 모형을 상대적으로 과학적으로 변화시킨 예비교사가 시각적 지각한 간섭무늬영상 및 사전, 사후 MaC 모형 113
[그림 4-8] 과학적 MiC모형이 퇴보한 경우 129
[그림 4-9] 과학적 MiC모형이 퇴보한 예비교사의 모형전환 129
[그림 4-10] 과학적 MiC모형이 퇴보한 예비교사의 MaC 모형 130
[그림 4-11] 종진동 MiC 모형이 상대적으로 비과학적인 종진동으로 변화한 예비교사 사전 MiC모형(위)과 MaC모형(아래) 132
[그림 4-12] 종진동 MiC 모형이 상대적으로 비과학적인 종진동으로 퇴보한 예비교사의 사후 MiC모형(위)과 MaC모형(아래) 133
[그림 4-13] 원의 중심으로 공기가 모인다는 간섭무늬영상을 해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MiC 모형 133
[그림 4-14] 과학적 MaC모형이 퇴보한 경우 2 135
[그림 4-15] 과학적 MaC모형이 퇴보한 경우 2의 예비교사가 가진 MiC 모형 135
[그림 4-16] 사전의 과학적 MaC모형이 퇴보한 경우 2의 예비교사의 모형전환 136
[그림 4-17] 두 번째 진동 모드의 간섭무늬영상 136
[그림 4-18] 추상에서 구체로의 모형전환 137
[그림 4-19] 추상에서 구체로의 모형전환과 더불어 두 다른 상태의 MiC와 MaC 모형의 설명을 요구한 3명의 모형의 전환 140
[그림 4-20] MaC, MiC, MiA, MaA의 모형전환과 더불어 한 순간과 반주기 후의 MiC와 MaC 모형을 요구한 11명의 모형의 전환 141
[그림 4-21] 예비교사 t의 MiC->MiA 전환 143
[그림 4-22] MaC-l을 가진 예비교사의 소리가 클 때의 간섭무늬영상과 MaC 모형 150
[그림 4-23] MaC-l을 가진 예비교사의 소리가 클 때의 간섭무늬영상과 MaC 모형 151
[그림 4-24] 과학적인 MiC-f를 가진 예비교사의 모형의 전환 153
[그림 4-25] 비교적 과학적 MiC-l, 움직임이 더 크다 155
[그림 4-26] 비과학적 MiC-l, 진동의 차이가 없다. 155
[그림 4-27] MaC-l을 가진 예비교사의 소리가 클 때의 간섭무늬영상과 MaC, MiC 모형 156
[그림 4-28] MiA-l은 변화 없는데 MaA-l은 그래프의 높이 차이가 난다고 설명한 예비교사의 소리 크기가 커질 때의 각 모형유형 변화에 대한 설명 159
[그림 4-29] 진동수가 다른 간섭무늬영상의 관찰을 통한 구체에서 추상으로의 모형전환을 요구받은 11명의 모형의 전환 161
[그림 4-30] 진폭이 다른 간섭무늬영상의 관찰을 통한 MaC, MiC, MiA, MaA의 모형전환을 요구받은 11명의 모형의 전환 162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1877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전자 광반점 간섭계-
dc.subject정상파-
dc.subject가시화-
dc.subject시각적 지각-
dc.subject해석-
dc.subject모형발달-
dc.subject모형유형-
dc.subject모형조직화-
dc.subject모형구조-
dc.subject모형전환-
dc.subject.ddc530-
dc.title예비 물리 교사의 관 내 정상파 모형 발달에서 간섭무늬영상에 대한 시각적 지각과 해석의 역할-
dc.title.alternativeThe Roles of Visual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Interference Fringe Image in Pre-service Teachers Model Development of Standing Waves in a Pipe-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xiv, 201-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과학교육과(물리전공)-
dc.date.awarded2014-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