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anel data analysis of fertility and its proximate determinants in developing nations, using Demographic Health Survey, 1984 to 2014 : 개발도상국에서 출산력과 근결정요인의 패널 데이터 분석: 인구보건조사(DHS) 1984년- 2014년 자료 이용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Jembere, Gizachew Balew

Advisor
Cho Youngtae
Major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Issue Date
2016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FertilityDHSproximatedecompositiondistal determinantspanelfixedrandom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학과, 2016. 12. Cho Youngtae.
Abstract
배경: 세계 인구는 현재 74억명으로 2050년에는 98억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인구의 97퍼센트 이상은 개발 도상국의 인구가 될 것이며 이미 미진한 경제에 압력으로 작용하고있다. 이러한 배경은 인구 증가의 중요 요소인 출산율의 추세와 추세들을 설명할 수 있는 예측 인자들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정부와 개발 파트너들간의 관심 증가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본 연구는 출산과 관련된 많은 개념 중에서도 Davis&Blake 의해 발전되고 개발도상국의 출산과 예측요인들에 인접하여 있는 결정 요인들(근결정요인, proximate determinant)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결정 요인들(원위결정요인, distal determinant)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구목적: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DHS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발도상국들의 출산 감소 추세를 살펴보고 이를 근결정요인 및 원위 결정요인들의 변화로 설명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론: 본 연구는 1984년부터 2014년까지의 조사된 DHS데이터에서 추출된 국가 자료에 근거한 정량적 연구이다. 또한 반복적인 설문조사가 여러 번 실시된 142개 국을 대상으로 근결정요인을 분해(decomposition)하여 합계 출산의 변화를 분석하고 근결정 및 원위 결정 요인들에 대한 고정 효과 및 임의 효과의 패널데이터 분석을 실시하는 연구이다. 데이터에 대한 탐색 및 통계적 분석은 R의 plm 패키지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패널 모형을 선택하기 위하여 하우즈만 검정을 시행하였다(Hausman test).
결과: 지난 30년간 대부분의 개발 도상국에서는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이 현저히 감소였고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실질적으로 출산 감소 속도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근결정요인을 이용한 총 출산율의 분해는 출산율의 80 % 이상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피임 도구 사용은 남부 및 동남부 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의 출산율 차이에 대해 75 % 이상을 설명할 수 있는 반면,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의 출산율 감소에 대해서는 약 50 %를 설명할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성 활동 지수는 아프리카 지역의 출산율의 평균 25%변화에 기여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피임약 사용으로 인한 감소는 출산 후의 불임 감소 효과로 상쇄되어 출산율에 상승효과를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변량 패널 고정 효과 모형 분석을 통하여 합계 출산율과 근결정요인들과의 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피임 및 불임 지수의 기본 단위 변화는 2.47(se=.67)의 상승효과를 얻게 되었으며 출산율은 3.9(se=1.49)로 감소하게 되었으나, 성 활동 요소에 대한 효과는 여전히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효과 및 임의 효과 모델의 분석에 따르면 출산의 원위 예측 요인들인 중등 교육 수준 및 인구밀도, 도시화와 출산변화는 부(-)적 관계로 유의미함을 보였으나, 유아 사망률과의 관계에서는1000명당 150명일 때 최대점에 달하는 비선형적 관계를 보였다. 미디어에 대한 접근은 출산 감소의 강력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출산에 대한 도시화와 인구 밀도의 영향을 사라지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소수 민족의 분열, 1인당 소득 및 보건을 위한 외부 자원은 출산의 감소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피임약의 사용과 중등 교육에 대한 접근성 향상은 근결정요인 및 원위결정요인의 접합적인 효과를 일으켰고 이로 인하여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율 감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제언: 출산 감소 중재로 피임약 사용을 강화하고 중등 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 시키는 한편 결혼 연령의 지연과 산후 불임에 기여 할 수 있는 문화적인 건전한 중재를 만드는데도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출산, 국가 데이터, 근접, 분해, 원위 결정자, 패널, 고정, 임의효과 모형

학생 번호: 2013-31364
Introduction: The global population is predicted to reach 9.8 billion by 2050 from its current figure of 7.4 billion. More than 97 percent of the future population is expected to come from the developing world
which exerts its pressure to the already existing weak economy. This necessitates understanding of fertility trends and their predictors, an important factor for population growth, to be a growing concern between governments and development partners. Among the various concepts related to fertilit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roximate and distal determinants approach developed by Davis and Blake and evolved across time to understand fertility and its predictors in the developing nations.
Objectiv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s in fertility reduction across developing nations and explain those variations applying the principles of proximate and distal determinants using data from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s.
Methods: This is a quantitative study based on aggregate national data retrieved from the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s collected from 1984 to 2014. A total of 142 complete country-year surveys having more than one repeated surveys were analysed for changes in total fertility using both decomposition techniques for proximate determinants and a fixed effects and random effects panel data analysis for both distal and proximate determinants. The data explor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is accomplished using the plm package in R statistical program and model selection was done using panel Hausman test.
Results: Across the last three decades, fertility in most developing countries has significantly declined, despite the stagnation, indeed regression of pace of fertility decline in most regions. Decomposition of total fertility using proximate determinants predicts more than 80% of the observed fertility. It also shows contraceptive use to be the principal factor for the reduction in total fertility, explaining more than 75% of fertility differentials in South and South East Asia and Latin America, where as it explains around 50% of the fertility reduction in Sub-Saharan Africa. At the same time index of sexual activity contributes for an average of 25% change in total fertility in Africa, while being insignificant almost in all other regions. On the contrary, the reduction brought by contraceptive use is offset by a positive gain in total fertility from a decline in the effect of post-partum infecundity. A fixed effects panel multivariate analysis of total fertility rate versus proximate determinants also confirms this association, where a unit change in index of contraception and infecundity lead to gain by 2.47 (se=.67) and reduction by 3.9(se=1.49) of total fertility respectively, while the effect of sexual activity still being insignificant.
Results from fixed effects and random effects model for analysis of the distal predictors of fertility similarly have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verage change in total fertility versus secondary education, population density and urbanization, while nonlinearly related to Infant Mortality Rate, reaching its maximum at infant mortality rate of 150. Access to media was found to be a strong factor for fertility decline, making the effect of urbanization and population density on changes in fertility to disappear. On the contrary, ethnic fractionalization, income per capita and external resource for health were all found to be insignificant contributors for fertility reductions.
Conclusions: Fertility is declining in most developing nations by the joint effect of proximate and distal determinants, especially as a result of increased access to contraceptive utilization and secondary education.
Recommendations: Fertility reduction interventions need to strengthen contraceptive utilization and access to secondary education while giving extra emphasis on promoting culturally sound interventions that can exploit the contribution of post-partum infecundity and delays in age of marriage.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08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