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 일반지방자치제도에 관한 헌법학적 연구 : 關於中國壹般地方自治制度的憲法學研究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효원-
dc.contributor.author박대헌-
dc.date.accessioned2017-07-13T17:30:35Z-
dc.date.available2017-07-13T17:30:35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175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0913-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7. 2. 이효원.-
dc.description.abstract중국의 지방은 일반지방, 민족자치지방, 특별행정구로 구분된다. 중국의 다수 학자는 지방자치를 민족자치지방의 자치와 특별행정구의 자치에만 한정하려고 한다. 그들은 단순히 법조문에서 일반지방자치를 명시하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 일반지방에 자치가 존재하지 않다고 보았다. 그러나 법조문에 일반지방자치가 명시되어 있지 않다고 해서 일반지방의 현실에 자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중국은 단일국가이고, 단일국가에서의 지방자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지방의 자치권이 무제한적으로 확장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헌법상 지방자치의 본질적 요소만 침해하지 않는다면 법률에 의해 자치권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헌법상 지방자치 관련 규정은 헌법개정에 의해 삭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중국의 일반지방에 적용될 수 있는 자치권의 학설은 전래설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서구의 지방자치이론을 바탕으로 일국의 지방자치 유무를 판단하는 4가지 기준을 도출하였다. 그 기준은 ① 헌법 및 국가기관구성 관련 기본법률에서 지방자치원칙을 승인하고 있는지 여부, ② 지방의회가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 ③ 지방입법권이 보장되어 있는지 여부, ④ 지방에 자치사무의 배분과 재원이 보장되어 있는지 여부이다.
첫째, 중국의 헌법상 지방자치원칙을 승인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해 헌법 제3조 제4항은 지방에 적용되는 원칙인 지방의 주동성·적극성의 원칙을 명시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지방의 주동성·적극성의 원칙은 헌법해석을 통해 지방자치의 원칙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중국의 헌법은 지방자치원칙을 승인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중국의 일반지방에 지방의회가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해 살펴보면 일반지방인대는 지방의 권력기관일 뿐만 아니라 지방의 민의기관 및 의결기관이라는 점에서 지방의회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중국의 4급 일반지방인 성급 지방, 지급 지방, 현급 지방, 향급 지방에는 모두 지방의회가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중국의 일반지방에 입법권이 보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해서는 성급 지방은 헌법 및 입법법에 근거하여 해당 지방의 구체적인 상황과 실제수요에 따라 헌법·법률·행정법규에 저촉되지 아니한 전제아래에서 지방성 법규를 제정할 수 있다. 그리고 지급 지방은 입법법에 근거하여 도농건설과 관리, 환경보호, 역사문화보호 등 영역에 관한 사항을 지방성 법규로 제정할 수 있다. 그러나 현급 지방과 향급 지방은 지방입법권이 없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현재 중국 일반지방의 입법권은 성급 지방과 지급 지방에만 부여되고 있다.
넷째, 중국의 일반지방에 사무배분과 재원의 보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에 관해 일반지방에서의 사무배분은 헌법 및 지방조직법에 의해 각 계층별로 구분되어 있다는 점과 대의기관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는 점에서 자치사무의 배분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중국은 예산법상 중앙과 지방의 분세제를 채택하고 있다. 물론 일반지방의 재원은 현재까지 법률이 아닌 행정법규에 의해 보장되어 왔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행정법규도 법이라는 점과 예산법상 지방인대는 예산안의 심사비준권을 보유하고, 지방정부는 예산편성권과 집행권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지방의 재정은 법적으로 보장되어 있고, 대의기관인 지방인대의 통제를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중국 일반지방의 재원은 보장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일국의 지방자치 유무를 판단하는 4가지 기준으로 중국의 상황을 검토해 본 결과 현재 중국의 일반지방 중에서 성급 지방과 지급 지방에서는 지방자치제도가 작동되고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4
제3절 연구의 범위 7
I. 선행연구 정리 10
II. 중국 지방정권기관과 수직적 권력분립의 문제 14
제2장 지방자치의 일반이론 16
제1절 지방자치의 연혁 16
I. 서구 및 한국 지방자치의 연혁 17
1. 지방자치의 맹아단계 17
2. 근대 및 현대 지방자치의 형성 19
II. 중국 지방자치의 연혁 27
1. 중국 지방자치의 맹아 28
2. 중국 헌정과 지방자치 시도 30
III. 소결 42
제2절 서구 지방자치의 일반이론 43
I. 지방자치권 학설 43
1. 고유권설 44
2. 전래설 44
3. 제도보장설 45
II. 지방자치의 유형과 기준 그리고 원칙 46
1. 지방자치의 유형과 기준의 도출 47
2. 세계지방자치선언에 대한 분석 50
III. 주요 국가별 헌법상 지방자치 규정 55
1. 헌법상 지방자치 관련 규정 55
2. 공통된 지방자치의 요건 58
IV. 지방자치의 평가기준 도출 60
제3절 일반이론으로 본 중국의 지방자치 63
I. 지방자치권 학설에 대한 수용논의 63
1. 보호설 64
2. 흠정설 65
3. 고유권설 66
4. 전래설 66
5. 제도보장설 67
6. 인민주권설 67
II. 지방자치의 유형과 평가기준 적용 68
1. 지방자치 유형에 대한 중국에서의 논의 68
2. 지방자치 평가기준의 중국적용 70
III. 소결론 73
제3장 지방자치원칙과 자치기관구성 문제 76
제1절 지방자치원칙의 승인여부 76
I. 헌법상 일반지방 관련 규정 77
1. 공동강령의 규정 77
2. 1954년 헌법의 규정 79
3. 1975년 헌법의 규정 83
4. 1978년 헌법의 규정 86
5. 1982년 헌법의 규정 88
II. 법률상 일반지방의 자치원칙 명시 여부 92
III. 소결론 96
1. 일반지방자치에 대한 부정 96
2. 일반지방자치에 대한 긍정 98
3. 일반지방자치원칙의 도출 102
제2절 자치기관구성 문제 103
I. 일반지방 인대의 구성문제 103
1. 일반지방 인대 및 그 상무위원회 103
2. 인대와 당의 관계 111
3. 인대 상무위원회 주임의 당서기 겸임 논쟁 113
II. 일반지방 정부의 구성문제 116
1. 일반지방 정부 117
2. 정부와 당의 관계 122
3. 지방정권기관 구성에 대한 당의 역할 124
III. 향급 지방의 존폐에 관한 문제 133
IV. 소결론 136
제4장 입법권 및 사무배분과 재원보장 문제 139
제1절 지방입법권의 문제 139
I. 지방입법권 139
1. 지방성 법규제정권 139
2. 지방정부의 규장제정권 145
II. 일반지방 입법권의 문제점 148
1. 입법의 충돌문제 148
2. 지급 지방인대로의 입법권 확장문제 156
3. 한국 지방의 조례규칙 제정권 도입 가능성 검토 160
III. 소결론 162
1. 법률상 중앙과 지방의 입법권 구분 162
2. 향후 지방입법권 확대의 과제 164
제2절 일반지방의 자치사무 배분문제 165
I. 일반지방 인대 및 그 상무위원회의 직권 167
1. 중대사항의 심사 및 결정권 167
2. 보장의무 171
3. 임면권 172
4. 영도 및 감독권 174
II. 일반지방 정부의 직권 177
1. 집행권 177
2. 관리권 178
3. 보호 및 보장의무 179
4. 인사권 179
5. 영도권 179
III. 자치사무 배분의 문제점과 해결책 180
1. 자치사무 배분의 문제점 180
2.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181
IV. 소결론 187
제3절 일반지방 재원보장 문제 188
I. 중국 지방재정의 형성 188
1. 제1단계 188
2. 제2단계 190
3. 제3단계 191
II. 분세제 재정관리체제 도입 후 나타난 문제점 195
1. 사무권한 및 세금종류 구분의 문제 195
2. 이전지불제도의 보완문제 197
3. 지방채발행의 문제 200
III. 소결론 203
제5장 결론 206
참고문헌 213
부록(한국어로 번역한 조문) 220
Abstract 22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9274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국-
dc.subject지방자치제도-
dc.subject지방자치원칙-
dc.subject자치기관구성-
dc.subject사무배분-
dc.subject재원보장-
dc.subject.ddc340-
dc.title중국 일반지방자치제도에 관한 헌법학적 연구-
dc.title.alternative關於中國壹般地方自治制度的憲法學研究-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IAO DAXIAN-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xi, 231-
dc.contributor.affiliation법과대학 법학과-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