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후설의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 E.Husserl's Phenomenology and the Foundation of Social-Historical-Human Studie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남인-
dc.contributor.author신호재-
dc.date.accessioned2017-07-14T01:01:12Z-
dc.date.available2017-07-14T01:01:12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117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1579-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철학과 서양철학전공, 2017. 2. 이남인.-
dc.description.abstract자연과학과 대비되는 정신과학은 인간과 인간의 삶이 영위되는 현실인 사회적-역사적 세계를 탐구하는 제반 인문·사회과학을 일컫는 개념이다. 그런데 수학에 기초하여 자연을 탐구하는 자연과학이 확고한 토대를 지니고 있는 것과 달리, 인문·사회과학에 속하는 여러 학문은 확고한 토대를 지니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까닭에 정신과학은 과학이 아니라거나, 설령 과학이라 불리더라도 미숙한 단계의 탐구로 평가절하 되기도 한다. 단적으로 자연주의 또는 실증주의는 자연과학의 기초 위에서만 정신과학이 과학의 지위를 획득할 수 있다는 형이상학적 입장이다.
본고는 후설 현상학의 입장에서 정신과학이 자연과학에 종속되지 않고 독자적인 학문으로 존립할 수 있는 철학적 토대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작업은 정신과학의 현상학적 정초라고 부를 수 있다. 정초란 건축술에 빗대어 토대 놓기를 의미하는 철학의 고유한 개념이다. 건물을 짓기 위해 터파기와 터다지기가 필요한 것처럼, 학문적 사유 역시 이성적 토대 위에서 건립된 체계를 이루고 있다. 즉 본고는 자연과학과 본질적으로 다른 정신과학의 토대를 규명하고, 인문·사회과학을 정신과학으로 정당화할 수 있는 이성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정신과학의 현상학적 정초는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수행될 것이다.
첫째, 자연과학과 정신과학이 대상의 관점에서 구분되는 것인지, 아니면 대상은 동일하되 방법의 관점에서 구분되는 것인지의 문제가 해명되어야 한다. 이 문제는 자연과학과 정신과학의 대상영역을 구획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또 대상영역이 확보되었다면 정신과학의 고유한 방법적 기초가 무엇인지를 해명하는 것으로 구체화된다. 본고는 2부와 3부에서 신칸트학파와 딜타이의 논쟁을 살펴봄으로써 이 문제를 고찰할 것이다. 신칸트학파와 딜타이의 철학은 단지 후설의 현상학을 예비하는 전사(前史)로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정신과학의 현상학적 정초를 위해 검토해야 하는 문제의 윤곽과 해명해야 하는 여러 과제를 제시한다.
둘째, 정신과학의 학문적 기초를 마련하려 했던 신칸트학파와 딜타이의 입장은 후설 현상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신칸트학파와 딜타이의 입장은 후설 현상학의 관점에서 부인할 수 없는 통찰도 지니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후설의 현상학에 의해 비판적으로 해체되어야만 하는 한계를 지닌다. 본고는 4부 생활세계의 현상학과 5부 현상학적 심리학에서, 후설의 현상학이 신칸트학파 및 딜타이의 철학과 어떤 점에서 유사하고 어떤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는지 규명할 것이다.
이로써 생활세계는 모든 객관적 학문이 수립될 수 있는 인간 삶의 근원적 터전임이 해명되고, 자연과학과 정신과학의 구획은 생활세계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직관적 체험에 근거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정신과학을 위한 고유한 대상영역인 체험이 확보되면, 이것을 대상으로 탐구하는 현상학적 심리학이 등장한다. 이에 따라 지향성의 다양한 유형과 본질구조에 대한 현상학적 심리학적 분석은 곧장 정신과학의 방법론적 기초가 된다.
셋째, 인간의 삶과 정신적 세계를 탐구하는 정신과학의 궁극적인 토대는 초월론적 주관에 의한 세계 구성의 전모가 해명되는 6부 초월론적 현상학의 단계에서 마련된다. 인간은 정신과학이 의지하는 경험적 관점에서 보면 세계 안에서 살아가는 주관이지만, 초월론적 현상학의 관점에서 보면 세계를 구성하며 살아가는 주관이다. 그런데 이렇게 세계의 구성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세계가 상호주관적 구성의 시간적 이력을 지평으로 함축하고 있는 역사적 세계임을 확인하게 된다. 다시 말해 모든 경험적 정신과학은 본질적으로 역사학이며, 따라서 정신과학의 궁극적 토대가 되는 초월론적 현상학은 역사성을 해명하는 것을 본질로 삼는 보편적 정신과학이다.
이상으로 우리는 정신과학의 수립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로서의 현상학적 토대가 다층적 위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통일적 체계임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우리는 정신과학이 자연과학과 다른 독자적인 학문적 기초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자연과학이 보편적 정신과학인 초월론적 현상학에 토대를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부 서론 1
1장 문제의 지평 1
2장 문제의 제기 4
3장 연구사 검토 9
4장 논문의 구성 12

2부 신칸트학파와 정신과학의 정초 15
1장 빈델반트와 역사학의 정초 15
1절 경험적 학문과 선험적 학문 15
2절 발생적 방법과 비판적 방법 18
3절 법칙의 정립과 개성의 기술 22
4절 역사학에서 두 종류의 원인 27
5절 빈델반트의 의의와 한계 31
2장 리케르트와 문화과학의 정초 33
1절 칸트 철학의 비판적 변용 33
2절 경험적 실재의 비이성성 35
3절 구성적 형식과 방법적 형식 40
4절 자연과학 개념형성의 한계 43
5절 정신과학에서 문화과학으로 47
6절 의미의 영역으로서의 문화 53
7절 역사적 문화과학의 개념형성 58
8절 가치관계와 문화과학의 객관성 64

3부 딜타이와 정신과학의 정초 68
1장 정신과학의 토대로서의 삶 68
1절 존재론적 학문구획의 의미 70
2절 외적지각과 내적지각 75
3절 근원적 체험과 삶의 관점 80
2장 기술-분석심리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85
1절 설명적 심리학과 기술-분석심리학 85
2절 인식체험의 구조적-발생적 연관 89
3절 형식적 범주와 실재적 범주 100
3장 해석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108
1절 체험의 객관화로서의 삶의 표현 109
2절 객관정신과 역사적 존재 114
3절 유비추리와 추체험으로서의 이해 118

4부 생활세계의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124
1장 현상학적 태도변경과 생활세계 125
1절 자연주의적 태도와 자연과학 126
2절 인격주의적 태도와 정신과학 132
3절 자연적 태도와 생활세계 137
2장 생활세계와 현상학적 학문구획 143
1절 생활세계의 존재론과 경험의 구조 143
2절 생활세계에 정초된 형식적 학문구획 159
3절 생활세계에 정초된 내용적 학문구획 169
3장 생활세계에서 수립되는 자연과학과 정신과학 185
1절 생활세계에서 자연과 정신의 층의 구조 185
2절 현상학과 자연주의에서 층의 의미 차이 190
3절 수학화된 자연에 의한 생활세계의 왜곡 199

5부 현상학적 심리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207
1장 현상학적 심리학적 환원과 의의 207
1절 자연주의 심리학에 대한 비판 208
2절 정신의 본질에 관한 영역존재론 215
3절 초월론적 현상학의 예비적 단계 220
2장 정신과학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적 심리학 226
1절 인식의 권리원천으로서의 명증 228
2절 다양한 의식체험의 지향적 구조 230
3절 현상학적 명증과 정신과학의 증거 248
3장 딜타이에 대한 현상학적 비판 250
1절 심리적 주관에 대한 자연주의적 편견의 잔재 252
2절 본질에 기초한 엄밀한 방법론의 결여 256
3절 삶의 형이상학에 머문 불철저한 역사이성비판 259

6부 초월론적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263
1장 초월론적 현상학의 두 얼굴 264
1절 초월론적 현상학적 정초의 의미 264
2절 초월론적 현상학의 두 정초관계 268
2장 정적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271
1절 원초적 환원과 반성적 자기의식 272
2절 타당성 정초와 이성적 동기관계 273
3절 사물의 구성에 대한 정적 분석 275
4절 타인의 구성에 대한 정적 분석 279
5절 세계의 구성에 대한 정적 분석 281
6절 정신과학의 인식론적 토대로서의 정적 현상학 285
3장 발생적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287
1절 발생의 근원영역인 선-반성적 의식 287
2절 발생적 정초와 연상적 동기관계 290
3절 사물의 구성에 대한 발생적 분석 292
4절 타인의 구성에 대한 발생적 분석 294
5절 세계의 구성에 대한 발생적 분석 297
6절 정신과학의 존재론적 토대로서의 발생적 현상학 300
4장 정신과학의 범례로서 역사학의 정초 307
1절 경험적 역사학과 현상학적 역사학 307
2절 발생적 현상학 : 역사적 지평과 역사의식 310
3절 정적 현상학 : 역사적 타인지각과 역사인식 315
5장 기존의 초월론적 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321
1절 신칸트학파의 초월론적 철학에 대한 현상학적 비판 321
2절 딜타이의 초월론적 철학에 대한 현상학적 비판 324

7부 결론 328
1장 논의의 요약 328
2장 성과와 의의 333
3장 차후의 과제 336

참고문헌 346
Abstract 36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24796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인문학-
dc.subject사회과학-
dc.subject역사학-
dc.subject분류학-
dc.subject방법론-
dc.subject빈델반트-
dc.subject리케르트-
dc.subject딜타이-
dc.subject생활세계-
dc.subject심리학-
dc.subject.ddc100-
dc.title후설의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정초-
dc.title.alternativeE.Husserl's Phenomenology and the Foundation of Social-Historical-Human Studie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hin, Ho-Jae-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363-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철학과-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