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강글리오사이드 경구 투여의 효능과 안전성: 중년 성인의 작업기억력 및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에의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동영-
dc.contributor.author전유진-
dc.date.accessioned2017-07-14T01:34:04Z-
dc.date.available2017-07-14T01:34:04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208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2109-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정신과학전공, 2016. 2. 이동영.-
dc.description.abstract서론: 뇌보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능성 성분을 경구로 복용함으로써 인지기능을 증진시키거나 뇌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강글리오사이드는 신경세포막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지질 중 하나로, 신경세포 생존과 시냅스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동물 연구와 중증 뇌신경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강글리오사이드 투여가 뇌가소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건강한 성인에서 인지기능 증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중년의 성인이 강글리오사이드를 경구로 복용했을 때 인지기능 증진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강글리오사이드 투여가 인지기능의 효율적인 수행에 기여하는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에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건강한 성인 75명을 모집하여 무작위, 위약대조, 이중맹검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기저시점에 강글리오사이드 저용량(330μg/d) 투여군 30명, 고용량(660μg/d) 투여군 30명과 위약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세 군 모두 기저시점 및 8주차에 인지기능 검사를 시행하고 뇌자기공명영상을 통해 T1와 휴지기 기능적 MRI 영상을 찍었다. 8주차에는 강글리오사이드 저용량 투여군 26명, 강글리오사이드 고용량 투여군 28명과 위약대조군 13명이 방문을 완료하였다.
일차 평가 척도는 작업기억력 복합 점수로 삼았으며, 숫자 외우기, 글자-숫자 나열하기, 공간 작업 기억력, 공간 외우기와 정지 신호 과제를 시행하였다. 이차 평가 척도는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내 회백질 부피와 기능적 연결성으로 정하였으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 고해상도 T1-강조 영상에 대한 복셀 기반 형태분석 및 휴지기 기능 뇌자기공명영상에 대한 독립 성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군 간 비교 분석에서 강글리오사이드 고용량 투여군(z = 2.25, p for interaction = 0.025)과 저용량 투여군(z = 2.13, p for interaction = 0.033) 모두 위약대조군에 비해 작업기억력 복합 점수가 더 증가하였다. 군 내 비교 분석에서 위약대조군은 시간에 따른 작업기억력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z = -0.92, p for time effect = 0.36), 강글리오사이드 고용량 투여군(z = 2.62, p for time effect = 0.009)과 저용량 투여군(z = 2.18, p for time effect = 0.029) 만이 시간에 따라 유의한 작업기억력 향상을 보였다. 중증 이상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강글리오사이드 투여군(고용량, 저용량)과 위약대조군 간에 유의한 실험실적 검사 이상 및 체질량 지수 변화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강글리오사이드 투여군이 위약대조군에 비해 다음과 같은 부위에서 회백질 부피가 더 많이 증가하였다: 설전부[bilateral precuneus, (x, y, z) = (0, -66, 32), cluster size = 4529mm3, maximum t = 5.06], 내측 전전두엽[right paracingulate, (x, y, z) = (12, 50, 10), cluster size = 1632 mm3, maximum t = 3.91], 아래 두정피질[left inferior parietal cortex, (x, y, z) = (-46, -72, 30), cluster size = 936 mm3, maximum t = 4.68], 후대상회[left posterior cingulate cortex, (x, y, z) = (-8, -46, 36), cluster size = 488mm3, maximum t = 3.38]. 또한, 강글리오사이드 투여군이 위약대조군에 비해 후대상회/설전부[(x, y, z) = (-14, -58, 32), cluster size = 640mm3, maximum t = 3.44]의 기능적 연결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위약대조군이 강글리오사이드 투여군에 비해 회백질 부피 및 기능적 연결성 증가가 더 큰 부위는 없었다.
강글리오사이드 투여군의 작업 기억력 복합 점수 변화와 설전부의 기능적 연결성 변화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r = 0.44, p = 0.001).

결론: 이 연구는 강글리오사이드 경구 복용 이후에 중년 성인에서 작업기억력 수행이 향상되는 동시에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에 구조적, 기능적 변화가 동반됨을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이 연구의 중요성은 뇌가소성을 증진시키는 기능성 원료가 인지기능 증진에 효과가 있을 가능성에 대한 인지기능 증거뿐만 아니라 뇌영상 근거를 제시한 데에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서론 1
1. 인지기능 향상의 임상적 의의와 선행 연구 1
1.1. 임상적 의의 1
1.2. 인지기능 향상에 대한 임상시험 2
1.3. 인지기능 향상에 대한 뇌영상 연구 6
2. 강글리오사이드의 뇌에 대한 효과 11
2.1. 지질 보충제 11
2.2. 강글리오사이드와 정상 뇌기능 12
2.3. 강글리오사이드의 전임상 연구 13
2.4. 강글리오사이드의 임상적 효과 13
3. 중년의 연령대와 관련된 뇌의 변화 18
4.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19
5. 연구 목적 및 가설 20

연구 재료 및 방법 21
1. 연구 대상자 21
2. 연구 방법 22
2.1. 연구 디자인 및 중재 방법 22
2.2. 안전성 및 자가보고척도 평가 23
2.3. 연구 표본 수 및 산출 근거 23
3. 인지기능 평가 척도: 작업 기억력 25
4. MRI 영상 획득 28
5. MRI 영상 처리 30
5.1. 관심 영역: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30
5.2.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의 복셀-기반 형태 분석 전처리 과정 32
5.3. 휴지기 기능적 뇌영상 전처리 과정 33
5.4.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의 기능적 연결성 분석: 독립 성분 분석법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34
6. 통계처리 37
6.1. 인구학적 정보 및 임상적 특성 분석 37
6.2. 안전성 및 자가보고척도에 대한 통계 분석 37
6.3. 인지기능 평가 척도: 작업기억력 복합 점수 38
6.4. 뇌영상 평가 척도: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내 회백질 부피 변화 38
6.5. 뇌영상 평가 척도: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내 기능적 연결성 39
6.6. Correlation 40

결 과 41
1. 연구대상자의 특성 41
2. 안전성 평가 및 자가보고척도 분석 결과 46
3. 인지기능 검사 평가 항목 51
4. 복셀 기반 형태 분석 54
5. 기능적 연결성 분석 62
6. 상관관계 결과 67

고찰 69
1. 연구의 결과 요약 69
2. 강글리오사이드 경구 투여로 인한 인지기능 증진 효과에 대한 고찰 70
3. 강글리오사이드 투여에 따른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내 회백질 부피 및 기능적 연결성 변화에 대한 고찰 76
4. 종합 고찰 80
5. 연구의 장점과 의의 82
6. 연구의 한계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 83

참고문헌 86

Abstract 10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458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강글리오사이드-
dc.subject작업기억력-
dc.subject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dc.subject기능적 연결성-
dc.subject복셀 기반 형태분석법-
dc.subject뇌자기공명영상-
dc.subject.ddc610-
dc.title강글리오사이드 경구 투여의 효능과 안전성: 중년 성인의 작업기억력 및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에의 영향-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x, 103-
dc.contributor.affiliation의과대학 의학과-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