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심부 매장문화재 활용을 위한 공간계획-서울 도심 재개발구역 발굴유구를 중심으로- : Planning for Archaeological Relics Excavated in City Center- A Case Study of Seven Redevelopment Projects in Seoul City Center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소현-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date.accessioned2017-07-14T02:25:55Z-
dc.date.available2017-07-14T02:25:55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other00000002643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2488-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2015. 2. 박소현.-
dc.description.abstract개발과 역사 보존의 갈등 가운데 개발 행위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이 매장문화재이다. 매장문화재는 예측이 힘들고 대부분 사유지를 개발하는 도중 발굴되므로 문화재 가치 판단에 대한 논란 외에도 복잡한 이해관계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과거에는 개발 우선 정책으로 무분별하게 문화재가 훼손되었으며, 역사적 흔적에 대한 사료를 살펴 볼 틈도 없이 사라져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시대가 지나는 동안 주요 문화재 발견 및 훼손 사건을 거치면서 보존 체제와 인식의 발전으로 이러한 경우는 점차 줄고 있으며, 관련 전문 인력 양성과 기관의 성장으로 학술적 성과 또한 발전하였다. 무엇보다도 기존에 발굴 유구가 단순히 문화재적 가치로서 학술적으로 인용되었다면 최근에는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공간과 함께 활용되어 도시 내 문화·휴식의 역할을 하고 있다.
문화재 보존의 개념이 단순히 문화재의 원형보존뿐만 아닌 현대의 가치에 따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의 문제로 확대되면서, 보존 범위 또한 문화재 주변 환경, 도시전체까지 확대되어 도심 재생을 위한 역사적 요소의 활용, 또는 공공재로서의 활용으로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국제 원칙에서도 고고유산에 대해 공공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국제·국가·지역·지방·을 통합하는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외 원칙 및 이론의 개념적 확대와 함께 국내에서도 개발 중 발굴된 매장문화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1970~80년대는 매장문화재 중 유물을 중요하게 여겨 도굴과 거래가 성행했던 시기로 축재(蓄財)를 위한 물건으로 인식되었다. 경부고속철도 건설과 택지 조성 등 대규모 개발 공사가 급증했던 1990년대~ 2000년대 초는 보존과 개발 사이의 갈등이 가장 심화되었던 시기로 개발 사업의 적으로 인식되었다. 각계에서는 정부의 개입을 적극적으로 요구하였고,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하여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졌다. 2000년대 초~중반에는 제도적 장치로 인해 매장문화재 발굴 건수와 관련 인력 수요가 급증하였으나,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장소 및 전문 인력이 부족한 상황으로 애물단지로 취급되기도 하였으며, 한편 문화재가 빈번하게 발굴되는 지역을 보존구역으로 지정하자 제2의 그린벨트라는 반발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2000년대 초까지 매장문화재 발굴과 개발의 갈등은 경주 등과 같은 지방 고도를 중심으로 나타났으나, 2004년 청계천 복원 사업 중 문화재가 대거 발견되면서 도심부에서의 매장문화재 발굴이 쟁점화 되기 시작하였고, 도심부 재정비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최근에는 갈등요소 보다는 지역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지역 가치 및 활용 요소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서울 도심부는 조선시대부터 현재에 이르는 역사적 층이 켜켜이 쌓여 형성된 도시이다. 이러한 역사 도시의 흔적들이 1970년대 지정되었던 도심부 재개발 구역 사업이 한동안 진행하지 못한 이유로 대규모 토건사업이 벌어졌던 시대를 피해 최근에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시작된 개발 사업과 함께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종로 청진구역 6지구 종로 르·메이에르 빌딩 사업은 도심부 재개발 중 발굴된 조선시대 유적을 보존 조치한 최초 사례로, 보존 조치가 결정된 일부 유구가 발굴된 원래 위치가 아닌 서울역사박물관으로 이전 복원되어 본래 장소가 갖고 있는 유산의 역사적 가치에 대한 논란이 벌어졌었다. 비슷한 시기에 발굴된 종로2가 40번지 개발사례에서는 건물 지하층에 발굴된 위치에 그대로 이전 복원 하여 박물관으로 활용하였다. 실내 전시를 통해 유구의 훼손이 가장 적고, 역사성을 파악하는데 장점이 있지만 개인이 소유한 상업용도 건물 지하에 위치하여 유지·관리와 접근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으며, 이는 비슷한 과정을 겪은 종로구 관철동의 파고다어학원종로타워 개발 사업에서도 나타났다. 중구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조성 사업은 국제지명현상설계경기 당시에 대지 오른편의 성곽 복원을 사전에 고려하여 계획하였지만 지표조사 결과 대지 왼편에 또 다른 문화재가 발굴되면서 오픈스페이스로 계획했던 부분을 역사공원으로 변경하는 등 기존 계획에서 1/3 이상을 수정하였다. 이는 도심부 개발 사업에서 매장문화재가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서린구역 19지구 개발 사업의 경우 보존 조치한 유구를 대지 내에서 이전 복원한 사례로 야외 노출 전시하였지만 공개공지 안쪽으로 배치하여 인지하기 어려운 사례이며 외부 공간과 발굴 유구의 조화로운 계획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중학구역 더케이트윈타워 개발 사업에서는 발굴 유구를 사업부지내 되도록 발굴 위치에 이전 복원하여 건물 필로티 공간 하부에 브릿지 형태로 전시하였다. 대부분의 사례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유리보호각을 사용하였고, 외부에 위치하였으므로 환경 변화에 의한 훼손 방지 관리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사례이다. 청진구역 12~16지구 그랑서울 개발 사업은 청진구역 재개발 사업 중 가장 큰 규모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지상 층 전반에 발굴 유구를 활용한 공간을 계획한 사례이다. 이 사례를 통해 현재 본격적으로 진행 중인 도시 재개발 사업 과정에서의 구체적인 개발과 보존 사이의 개념적 차이와 현재 활용 형태에 대한 원인을 살펴 볼 수 있다.
앞서 살펴 본 서울 도심부 재개발 과정에서 발견된 매장문화재를 활용한 7가지의 사례에서 발굴 유구의 활용 방식은 크게 현장 밖으로 이전 복원, 현장 내에서 이전 복원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장 내에서 이전 복원 한 경우 사업의 성격과 과정 상의 특성에 의해 건물 지하 전시장을 조성하여 보존 조치, 공개공지 유리보호각 전시, 대지 내 공지 노출 전시, 대지 내 조경과 전시 하는 방법을 혼합하여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유구 활용 형태를 가장 크게 결정짓는 것은 문화재심의위원과 시행사 2가지 관점에 의한 것이다. 이는 원형보존의 원칙에 따라 문화재 훼손을 최소화하는 것과 이를 빠른 시간에 수용·적용하여 경제적·시간적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서울 도심부의 재개발은 진행 중이다. 지금도 도심부 곳곳에서 매장문화재가 발굴되고 있다. 복잡한 개발 과정에서 발굴된 매장문화재는 심의를 통과하기 위한 단계 중 하나이며, 심의에서 요구되는 역사적 가치는 아직 모두를 공감시키지 못하고 일률적인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공공의 가치로서 보존 인식과 과감한 활용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앞으로 도시 공간에서 발굴 유구가 어떤 가치로 재생산될 수 있는지 지속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도심부 공간에 매장문화재 활용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그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연구 개요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2. 선행논의 고찰 및 연구의 차별성
1) 선행연구 고찰
2) 연구의 차별성 및 필요성

II. 도심부 개발 시 문화재 발굴 관련 개념 및 이론 고찰
1. 매장문화재 관련 개념 정립
2. 매장문화재 관련 원칙·제도

III. 개발 중 발굴된 매장문화재에 대한 인식의 변화
1. 도심부 개발 중 발견된 매장문화재에 대한 기존 인식
2. 도심부 매장문화재 발굴 및 보존활용에 대한 인식의 변화
3. 소결

IV. 서울 도심부 재개발 과정에서 발굴된 매장문화재의 보존 조치 및 활용
1. 대상지 선정 배경
2. 선정 대상지의 매장문화재 보존 조치와 활용
1) 청진구역 6지구 종로 르메이에르 빌딩
2) 종로 육의전빌딩
3) 동대문역사문화공원
4) 서린구역 19지구 글로벌 클러스터빌딩
5) 파고다어학원종로타워
6) 중학구역 더케이트윈타워
7) 청진구역 12~16지구 그랑서울
3. 서울 도심부 재개발 과정에서 발견된 주요 매장문화재의 보존조치 내용 종합 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VI. 인용문헌

[Abstract]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4292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매장문화재-
dc.subject도시 발굴 유구-
dc.subject도심부 문화재-
dc.subject문화재 활용-
dc.subject도심부 재개발-
dc.subject.ddc711-
dc.title도심부 매장문화재 활용을 위한 공간계획-서울 도심 재개발구역 발굴유구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Planning for Archaeological Relics Excavated in City Center- A Case Study of Seven Redevelopment Projects in Seoul City Cente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Hyunjoo-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ⅷ,88-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dc.date.awarded2015-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