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홍대상권 인접 저층주거지의 용도혼합특성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xed-use in Low-rise Residential area around Hongdae Commercial a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세훈-
dc.contributor.author최경인-
dc.date.accessioned2017-07-14T02:26:10Z-
dc.date.available2017-07-14T02:26:10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00000006659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249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도시설계 전공, 2015. 8. 김세훈.-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홍대상권의 확산이라는 큰 틀 아래 용도혼합이 진행되고 있는 일반주거지역을 용도혼합도(miex-use ratio)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홍대상권 인접 저층주거지 내 용도혼합특성을 공간적(spatial)·양적(quantity)·질적(quality)으로 분석함으로써 지역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난 용도혼합의 결과가 공간적으로 어떤 양상으로 벌어지고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홍대상권 확산현상으로 인해 논의되는 홍대지역의 정체성 규명과 향후 관리해법을 모색하는데 있어 지속적으로 상권이 확장되고 있는 지역현황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홍대상권은 홍대입구역 주변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약 10년 단위로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며 서교 지역(1990년대), 상수 지역(2000년대), 연남/동교 지역(2010년대)으로까지 영역이 확장되어왔다. 1차 확산지역인 서교 지역은 약 20년에 걸쳐 변화를 겪으며 극단적 용도혼합의 양상을 보이고, 최근 떠오르고 있는 3차 확산지역인 연남/동교 지역은 용도혼합의 시작단계를 보여준다. 연구범위는 용도혼합 양상과 특성의 차이를 명료하게 읽어낼 수 있도록 현재시점(2015년)에서 1차 확산지역(서교 지역)과 3차 확산지역(연남/동교 지역)을 분석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확산시기가 다른 두 지역의 용도혼합특성을 분석하고자 연구범위의 경계설정을 위한 조건을 통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홍대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지역의 용도혼합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용도혼합도를 두 가지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일반주거지역으로서의 성격을 판단하기 위하여 주거 대비 비주거용도시설의 비율을 고려하고, 홍대상권으로서의 성격을 판단하기 위하여 홍대상권으로 인하여 집중적으로 용도변화가 일어나는 용도시설을 분류하여 소비관련시설로 정의하고 이것이 비주거용도시설 중 차지하는 비율을 고려하였다. 용도혼합도 산정을 위한 현황자료로 건축물대장을 참고하였으며, 빠른 용도변화의 속도를 감안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건축물의 층별 용도시설현황을 파악하였다. 용도혼합 현황의 집계단위는 도시조직을 형성하는 물리적 요소 중 가장 변형이 적은 블록(block)으로 설정하였다.
블록별 비주거용도시설 비율과 소비관련시설 비율을 도출하여 블록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한 결과, 두 비율의 패턴이 다르게 나타났다. 비주거용도시설 비율과 소비관련시설 비율의 역학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사분면의 그래프에 블록분포도를 도출한 결과, 블록분포도는 수치적 군집양상을 보였다. 군집유형은 다섯 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유형별로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여 수치적 군집양상이 공간적으로도 군집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용도혼합도가 용도혼합의 공간패턴을 읽어내는데 유의미함을 반증하는 것이다. 용도혼합도 유형별로 세부업종의 성격울 분석한 결과, 유형마다 세부업종의 밀도우위가 다르게 나타났다. 유형별로 25%이상의 밀도 점유율을 보이는 세부업종에 대하여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고 각각의 특징적 군집양상을 파악하였다. 용도혼합도에 따라 밀집되는 세부업종이 달라지면서 도시공간에 서로 다른 군집양상을 보이고, 그것이 가로공간의 환경과 분위기를 좌우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용자의 패턴 또한 용도혼합도 유형에 따라 상주인구(거주인구, 직장인구)와 유동인구의 비율, 주요 연령대, 주요 이용시간대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용도혼합의 변화가 사회인구학적 변화와도 상관관계를 가짐을 알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홍대상권 인접 저층주거지에서 발생하는 용도혼합특성을 용도혼합도를 통하여 세부업종의 혼합비율, 용도혼합 유형별 구성밀도 및 입지패턴을 구체적으로 규명했다는 데에 있다. 용도혼합도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용도혼합 양상을 해석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을 설정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지금까지 용도혼합은 혼합적 토지이용이라는 관점에서 광역적 분석이 많이 이루어져 건축물의 주용도에 근거하여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건축물의 주용도 내에서 섞이고 있는 세부업종의 구성과 밀도가 지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역별로 실제적 차이를 반영하여 용도시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역단위의 용도혼합특성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규명한 홍대상권 인접 저층주거지의 용도혼합특성이 향후 홍대지역의 용도변화 양상을 예측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예비적 고찰
1. 일반주거지역의 허용용도
2. 용도혼합 관련 선행연구
3. 홍대상권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론
1. 연구대상지 현황 및 범위설정
1) 홍대상권의 확산과정
2) 연구대상지의 경계
3) 블록 구분 기준
2. 용도혼합도 분석방법
1) 용어의 정의
2) 세부업종 현황 분석

Ⅳ. 서교지역 및 연남/동교 지역의 용도혼합도
1. 용도혼합도 분석
1) 비주거용도시설 비율
2) 소비관련시설 비율
3) 비주거용도시설 비율과 소비관련시설 비율의 역학관계
2. 용도혼합도의 유형화

Ⅴ. 유형별 용도혼합의 특성
1. 용도혼합도와 도시공간적 패턴
2. 용도혼합 유형별 세부업종의 특성
1) 유형별 세부업종의 밀도구성
2) 유형별 주요 세부업종의 공간적 입지 분석
3. 용도혼합 유형과 이용자

Ⅵ. 결 론
1. 연구의 종합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81607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용도혼합도-
dc.subject홍대상권-
dc.subject소비관련시설-
dc.subject세부업종 특성-
dc.subject상권확산-
dc.subject.ddc711-
dc.title홍대상권 인접 저층주거지의 용도혼합특성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xed-use in Low-rise Residential area around Hongdae Commercial area-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i, Kyung-i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ii, 71-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
dc.date.awarded2015-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