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Multi-anchoring Phenoxazine 계 염료감응제의 합성과 광전 특성 평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재필-
dc.contributor.author김해중-
dc.date.accessioned2017-07-14T03:04:50Z-
dc.date.available2017-07-14T03:04:50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00000000813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324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재료공학부, 2013. 2. 김재필.-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Phenoxazine에 기초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염료감응제 4종을 합성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새로운 염료감응제는 전자주개그룹으로 Phenoxazine을, 전자받개그룹으로 cyanoacetic acid를 각각 도입하였다. 이 때, 추가적인 전자주개그룹으로 methoxy phenyl group과 bi-anchoring group을 도입함으로써 광전기적 특성 및 효율 향상을 꾀하였다.
Phenoxazine의 N에 butyl기가 달린 염료감응제에 비해서 methoxy phenyl기가 달린 염료감응제의 경우 N에 달린 methoxy phenyl기가 phenoxazine 판에 대해 90°의 각도로 뒤틀리면서 aggregation을 방지하는 효과를 보이며 VOC가 향상되었다. 반면 phenoxazine의 N에 orbital overlap을 감소시켜 염료 전체의 conjugation이 약화되면서 blue shift 하였고 그 결과로 JSC가 감소하였다. 또한 bi-anchoring group이 도입된 염료감응제는 mono-anchoring group이 도입된 염료감응제에 비해서 bathochromic shift를 보이며 흡수파장이 장파장화 하였으며 JSC 값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anchoring group이 늘어나면서 TiO2 표면에 proton이 증가하며 TiO2의 conduction band가 낮아지고 VOC가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합성한 4종의 염료감응제 모두 VOC와 JSC의 증감에 따라 대략 5% 대의 광전변환효율을 갖는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초록 1
목차 2
Figure List 4
Scheme List 5
Table List 5
1. 서론 1
2.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이론 및 염료의 설계 3
2.1.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
2.1.1. 염료감응형 탱양전지의 구성 3
2.1.2.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동 원리 5
2.1.3. 염료감응제의 조건 7
2.2. 염료감응제의 선정과 연구의 타당성 9
2.3. 염료감응제의 설계 및 구조 10
3. 실험방법 12
3.1. 시약 및 장비 12
3.1.1. 시약 12
3.1.2. 장비 12
3.1.2.1. 염료감응제의 구조 분석 12
3.1.2.2. 염료감응제의 광학적,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13
3.1.2.3.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특성 분석 13
3.2. 염료감응제의 합성 14
3.2.1. B1의 합성 19
3.2.2. B2의 합성 20
3.2.3. M1의 합성 21
3.2.4. M2의 합성 22
3.3.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작 23
3.4. 염료감응제의 분자 모델링 25
4. 실험 결과 및 논의 27
4.1. 염료감응제의 광학적 특성 분석 27
4.2. 염료감응제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30
4.3.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기적 특성 평가 34
4.4.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임피던스 특성 평가 39
5. 결론 및 요약 42
6. 참고 문헌 44
Abstract 47
[Figure List]
Fig.1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 4
Fig.2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구동원리와 에너지준위 6
Fig.3 염료감응제의 설계 및 구조 11
Fig.4 Synthetic scheme of B1, B2, M1 and M2 14
Fig.5 Absorption spectra of B1, B2, M1 and M2 29
Fig.6 Absorption spectra of B1, B2, M1 and M2 on TiO2 29
Fig.7 Cyclic Voltammetry graphs of B1, B2, M1 and M2 33
Fig.8 Absorption and Emission spectra of B1, B2, M1 and M2 33
Fig.9 HOMO, LUMO levels of B1, B2, M1 and M2 34
Fig.10 IPCEs of B1, B2, M1 and M2 (with 10mM CDCA) 37
Fig.11 I-V curves of B1, B2, M1 and M2 (with 10mM CDCA) 37
Fig.12 Dark Currents of B1, B2, M1 and M2 38
Fig.13 FT-IR of B2 38
Fig.14 FT-IR of M2 38
Fig.15 Nyquist plots of B1, B2, M1 and M2 40
Fig.16 Elctron Lifetimes of B1, B2, M1 and M2 (dark condition) 41
Fig.17 Bode plots of B1, B2, M1 and M2 41

[Scheme List]
Scheme.1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동원리 6

[Table List]
Table.1 Optimized structures and electronic distributions in HOMO and LUMO levels of the prepared dyes B1, B2, M1 and M2 26
Table 2. Photophys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B1, B2, M1 and M2 30
Table 3.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SSCs based on organic dyes 3초록 1
목차 2
Figure List 4
Scheme List 5
Table List 5
1. 서론 1
2.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이론 및 염료의 설계 3
2.1.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
2.1.1. 염료감응형 탱양전지의 구성 3
2.1.2.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동 원리 5
2.1.3. 염료감응제의 조건 7
2.2. 염료감응제의 선정과 연구의 타당성 9
2.3. 염료감응제의 설계 및 구조 10
3. 실험방법 12
3.1. 시약 및 장비 12
3.1.1. 시약 12
3.1.2. 장비 12
3.1.2.1. 염료감응제의 구조 분석 12
3.1.2.2. 염료감응제의 광학적,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13
3.1.2.3.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특성 분석 13
3.2. 염료감응제의 합성 14
3.2.1. B1의 합성 19
3.2.2. B2의 합성 20
3.2.3. M1의 합성 21
3.2.4. M2의 합성 22
3.3.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작 23
3.4. 염료감응제의 분자 모델링 25
4. 실험 결과 및 논의 27
4.1. 염료감응제의 광학적 특성 분석 27
4.2. 염료감응제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30
4.3.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기적 특성 평가 34
4.4.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임피던스 특성 평가 39
5. 결론 및 요약 42
6. 참고 문헌 44
Abstract 47
[Figure List]
Fig.1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 4
Fig.2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구동원리와 에너지준위 6
Fig.3 염료감응제의 설계 및 구조 11
Fig.4 Synthetic scheme of B1, B2, M1 and M2 14
Fig.5 Absorption spectra of B1, B2, M1 and M2 29
Fig.6 Absorption spectra of B1, B2, M1 and M2 on TiO2 29
Fig.7 Cyclic Voltammetry graphs of B1, B2, M1 and M2 33
Fig.8 Absorption and Emission spectra of B1, B2, M1 and M2 33
Fig.9 HOMO, LUMO levels of B1, B2, M1 and M2 34
Fig.10 IPCEs of B1, B2, M1 and M2 (with 10mM CDCA) 37
Fig.11 I-V curves of B1, B2, M1 and M2 (with 10mM CDCA) 37
Fig.12 Dark Currents of B1, B2, M1 and M2 38
Fig.13 FT-IR of B2 38
Fig.14 FT-IR of M2 38
Fig.15 Nyquist plots of B1, B2, M1 and M2 40
Fig.16 Elctron Lifetimes of B1, B2, M1 and M2 (dark condition) 41
Fig.17 Bode plots of B1, B2, M1 and M2 41

[Scheme List]
Scheme.1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동원리 6

[Table List]
Table.1 Optimized structures and electronic distributions in HOMO and LUMO levels of the prepared dyes B1, B2, M1 and M2 26
Table 2. Photophys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B1, B2, M1 and M2 30
Table 3.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SSCs based on organic dyes 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639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20-
dc.titleMulti-anchoring Phenoxazine 계 염료감응제의 합성과 광전 특성 평가-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Hae Jung-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iv, 48-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재료공학부-
dc.date.awarded2013-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