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방한 중국인 관광객 급증에 의한 도시 공간 변화에 대한 연구 : The change of urban space due to increase in chinese tourists in Seoul a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승회-
dc.contributor.author이준희-
dc.date.accessioned2017-07-14T03:51:04Z-
dc.date.available2017-07-14T03:51:04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other00000001308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025-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3. 8. 김승회.-
dc.description.abstract방한 중국인 관광객 인구 목표를 2011년에는 250만, 2015년에는 500만, 2020년에는 1000만으로 전망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또 지난 2011년 중국인 관광객 방문 통계를 보면 전체 220만 명의 중국인 중에서 90%이상이 서울을 찾았으며, 그 범위를 수도권까지 확대해보면 거의 모든 중국인 관광객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을 방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은 이제 관광 중심 도시로써의 역할도 더욱 강화되었다.
도시 공간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은 본디 도시 속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에게서 비롯한다. 그러나 관광객이라는 타자가 전에 없이 높은 밀도로 서울과 수도권의 도시 공간을 점유하게 되면서, 일시적인 방문자가 서울과 수도권의 도시 공간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글로벌 시대에 발달한 모빌리티로 인해 증가하는 중국인 관광객이라는 타자와 그들을 받아들여서 수용하는 관광시스템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도시 공간을 어떻게 규정하고 재편성해 가는지 도시 조직, 프로그램, 개별 건축물의 변화를 통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의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서 나타나는 여러 관광 거점이다. 관광객이 관광 활동을 함에 있어서 동기부여가 되는 요소는 쇼핑, 먹거리, 경치, 문화, 예술, 휴양, 놀이 등으로 다양한 행위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각각의 행위는 도시 속에서 다양한 도시 공간을 가지는 시설과 지역을 배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관광 행위가 발생하면서 새로운 도시 공간의 변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관광거점을 맥락적 관광거점 / 비-맥락적 관광거점으로 나누었다.
두 관광거점은 일련의 시스템, 관광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도시 공간으로 개별적으로 의미를 가지지 않고, 서사적 모빌리티로서 작동할 때 비로소 의미를 가진다. 여기서 나타나는 차이는 맥락적 관광거점은 관광활동에서 나타나는 여러 행위를 복합적으로 수용하고, 비 맥락적 관광거점은 단일 행위를 중심으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2010년을 전후로 관광 거점이 된 이대상권(맥락적 관광거점), 마포구/인계동(비 맥락적 관광거점)에서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도시 공간 요소을 매력물/인프라/프로그램으로 설정했다. 이대 상권, 마포구 일원, 인계동 모텔밀집지역은 관광거점의 형성 요인과 작동하는 방식에 있어서 매력물-인프라-프로그램의 관계의 차이를 보인다.
이대 상권은 매력물-인프라를 중심으로, 마포구 일원은 인프라-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인계동 모텔밀집지역은 프로그램이 중심요소로 작용했다. 세 관광 거점은 도시 공간을 계획적으로 만드는 주체가 있어서 형성된 것이 아니라 개별 시설과 시설 주체들의 공동체에 의해 자생적으로 형성된 공간이다. 이대 상권의 경우 도시 계획이 관광객 밀도를 수용하는 가로 공간과 인프라를 형성하는데 일조하였지만, 특정 상업시설의 증가와 기존 업종의 공간적 변화는 자생적인 힘이 작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측면이 맥락적/비 맥락적 성격을 부여하는데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관광거점에 있어서 비 맥락적인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는 경우는 도시 구조와 기능에 있어서 결정적으로 작용한 요인이 있는 경우와 지역 공동체의 자생적인 힘에 의해 만들어지는 두 가지가 존재한다. 전자는 마포구 일원, 후자는 인계동 모텔밀집지역에 해당한다.
관광행위의 중심이 되는 시설에서 거점이 만들어진 이후의 변화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비 맥락적 관광거점은 형성 방식이 결정적이든 자생적이든 중심 시설에서 주변으로 연쇄적으로 변화를 일으킨다는 점이다. 주로 프로그램에 있어서 2차 시설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지만, 마포구나 인계동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물리적인 변화를 수반하기도 한다. 이러한 흐름에서 비 맥락적으로 형성된 도시 공간이 밀도가 꾸준히 유지되고, 시간이 흐르게 되면 스스로의 맥락을 갖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러한 변화 속에는 관광객 밀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역, 도시 공간 요소,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모빌리티의 발달, 글로벌화로 방한 관광객이 증가하고 내국인이 같은 도시 공간을 공유하는 것이 보편적 상황이 된다면 도시 계획, 건축 계획에 있어서 이런 민감하게 반응하는 대상을 고려하는 것이 더욱 요구 될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Originally, driving forces for changing the urban space are coming from the residents living in the city.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around 2010 under the influence of Korean cul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As a result, high density of chinese tourists occupy the space of metropolitan Seoul, and as temporary visitors they are actually changing the urban space. In this paper, we want to find out how the tourism system define the urban space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mobility and urban space in the networked city.
Objects of analysis are including the tourist hubs exis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Various activities like shopping, gourmet, landscape, culture, art, recreation, playing, etc. affect on motivation of tourists. And these activities have specific regions, facilities and places as a spatial background. So I classified them into contextual tourist hubs and non-contextual tourist hubs.
These tourist hubs do not work individually. The contextual tourist hubs correspond to the complex behavior of tourism. Otherwise the non-contextual tourist hubs are formed for the single activity like eating, shopping, sleeping. Each of them is working as a part of the tourism system and making up the narrative mobility.
It is the objects of research : commercial district around Ewha Women's University, a specific area of Mapo-gu, central commercial district of In-gye-dong in Su-won city. The urban space elements that form the tourist hub spaces are attraction, infrastructure and program. Three tourist hubs have not been formed by urban planning. It is a space which is formed spontaneously by the community of facilities and the individual premises.
In the case, commercial district around Ewha Women's University, the urban planning contribute to develop commercial street and infrastructure(
-
dc.description.abstractSin-chon station public parking lot). At the same time, spontaneous force driven by both each stores and the local commercial community also affect to increasing the cosmetic stores and changing spatial elements of other stores. But in the Mapo-Gu area, existing urban structure and function decisively contributed for tourism place. The last case, In-gye-dong central commercial district, there are a lot of motels. This functional specialty is making a new place-ness of tourism.
With the formation of tourism hub space, there are chain-reaction of surrounding urban space. Some make a spatial boundary, others share a local space and place with the visitors. The reaction is mainly making secondary facility as a tourism program. But in the Mapo-Gus and In-gye-dongs case, this change actually involves physical change of urban space.
Through the analysis, there are urban region, urban space element and urban program sensitively responding to density of tourists. Development of mobilities, increase of foreign tourists because of Globalization, sharing urban space with visitors would be common situation in Seoul area. Therefore, this kind of approach is significance in the architectural and urban planning.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와 연구 방법 2
1.3 연구의 흐름도 4

2. 이론적 고찰 5
2.1 현대 도시와 관광에 대한 고찰 5
2.1.1 세계화와 현대 도시 공간 5
2.1.2 현대 도시와 모빌리티 8
2.1.3 현대 도시와 관광 10
2.1.3.1 현대 관광 (Modern Tourism) 10
2.1.3.2 행위적 관점에서의 현대 관광의 구성 요소 13

2.2 도시 관광에 대한 고찰 17
2.2.1 도시 관광 (Urban tourism) 17
2.2.1.1 도시 관광의 정의 17
2.2.1.2 도시 관광의 도시적 의미 18
2.2.2 도시 관광과 모빌리티 20
2.2.2 관광에 대한 시간-공간적 분석의 도시·건축적 함의 23

2.3 서울/수도권의 중국인 관광객과 관광 거점 25
2.3.1 관광 시스템의 도시적 해석 : 서사적 모빌리티 25
2.3.1.1 서사적 모빌리티의 시간성과 이동성 25
2.3.1.2 개인/단체 관광의 서사적 모빌리티 35
2.3.2 맥락적 관광거점과 비-맥락적 관광거점 39
3. 관광 거점의 도시 공간 분석 41

3.1 대상 지역 1 : 신촌역 ~ 이화여대 상권 41
3.1.1 대상 지역의 도시 공간 현황 41
3.1.2 관광객 급증에 의한 도시 공간 변화 45
3.1.2.1 관광객을 수용하는 물리적 공간 요소 46
3.1.2.2 프로그램 : 상업 54
3.1.3 소결 57

3.2 대상 지역 2 : 마포구 일원 58
3.2.1 대상 지역의 도시 공간 현황 58
3.2.2 관광객 급증에 의한 도시 공간 변화 60
3.2.2.1 대상 A 61
3.2.2.2 대상 B 66
3.2.2.3 대상 C 73
3.2.3 소결 74

3.3 대상 지역 3 : 인계동 모텔 밀집 지역 76
3.3.1 대상 지역의 도시 공간 현황 76
3.3.2 관광객 급증에 의한 도시 공간 변화 79
3.3.2.1 중심 상업지역 내 관광 숙박시설 분포 분석 80
3.3.2.2 개별 건물과 가로 83
3.3.3 소결 87

4. 관광객 급증에 의한 도시 공간 변화의 의미 88

4.1 도시 공간이 급증한 관광밀도를 수용하는 방식 88
4.1.1 매력물–인프라-프로그램 88
4.1.2 단일 용도를 위한 도시 공간 89

4.2 관광객 – 내국인의 시·공간의 공유 91
4.2.1 주변 도시 공간과의 경계 형성 91
4.2.2 시·공간의 공유에서 나타나는 문제와 가능성 93

5. 결론 95


참고문헌 99
Abstract 102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38462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국인 관광객-
dc.subject관광-
dc.subject관광 도시-
dc.subject장소성-
dc.subject서사적 모빌리티-
dc.subject도시 공간 변화-
dc.subject.ddc690-
dc.title방한 중국인 관광객 급증에 의한 도시 공간 변화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change of urban space due to increase in chinese tourists in Seoul area.-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oon-hee, Lee-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04-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3-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