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근린환경에서의 아동 놀이행태 및 놀이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북촌의 초등학교 저학년 통행일지와 GPS 데이터를 기반으로 : Children's Play Activities and Spaces Within a Residential Neighborhood: A Case Study of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ravel Logs and GPS Data in Bukchon, Seoul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소현-
dc.contributor.author박현진-
dc.date.accessioned2017-07-14T04:03:16Z-
dc.date.available2017-07-14T04:03:16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335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134-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6. 2. 박소현.-
dc.description.abstract아동에게 있어 놀이(play)란 그 자체가 목적이 되며 신체활동 기능, 사회성, 정서형성 등과 같은 다양한 경험의 습득을 가능하게 해주어 아동발달에 도움이 되는 수단이 된다.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놀이는 대부분 생활영역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기에, 아동은 주거지 외부공간의 가장 중요한 사용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민병호, 1996).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도시의 재개발 및 재건축 사업들로 인해 아동이 접하는 주거환경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으며 놀이공간 또한 자유로운 활동 보다는 안전성이 강조되는 획일적인 시설로 축소되는 경향이 컸다. 아동의 놀이를 지원하는 환경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이어지고 있지만, 계획된 주거단지 내의 놀이 환경 연구에 비해 자연발생적인 근린주거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지역 내 놀이공간에 있어 다양한 유형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역사주거지인 북촌을 대상으로 아동의 놀이행태 및 놀이공간의 양상과 함께 놀이가 직접적으로 일어나는 공간과 이를 보조하는 지원공간이 가지는 환경적 특성을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먼저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놀이와 놀이공간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대상지인 북촌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북촌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통행일지와 GPS기기를 통해 27개의 표본 데이터를 수집한다. 아동이 방문한 일주일간의 외부활동에서 나타난 총 1186개의 이동목적지점 중 놀이공간을 도출하여, 이를 놀이 및 여가의 목적으로 지정된(formal) 장소와 놀이를 위해 설계되지는 않았으나 놀이공간으로써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지정되지 않은(informal) 장소로 분류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알아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된 놀이 및 여가를 위한 장소가 적은 북촌에서의 외부 놀이공간은 지정된(formal) 장소와 지정되지 않은(informal) 장소로 구분되며, 대표적으로 공원, 운동장, 공터/쉼터, 길을 포함하는 4가지 장소유형을 놀이공간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지정된(formal) 장소는 삼청공원, 원서공원, 대동세무고등학교와 중앙중고등학교 운동장, 복정우물터와 정독도서관의 공터 및 쉼터를 포함하는 특정 장소가 나타났으며, 지정되지 않은(informal) 장소로는 학교 주변, 집 주변, 그리고 가로의 길에서의 놀이공간이 조사되었다. 근린환경 내 제한적인 놀이장소의 제공과 아주 좁은 골목길 및 소로의 존재가 큰 북촌의 환경은 지정되지 않은(informal) 장소인 골목길에서의 놀이가 두드러지며 아동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지정된(formal) 장소에서 도출된 놀이공간의 유형 및 공간현황 분석을 통해 도출한 놀이공간과 이를 지원하는 공간의 환경적 특성으로는 먼저, 다양한 놀이지원시설 및 풍부한 자연적 요소를 제공하며 집 또는 학교에서의 접근성이 삼청공원의 이용을 높이는데 주요하게 해석된다. 거리와 경사도로 인해 아동의 이용에 제약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 삼청공원은 마을버스라는 중요한 지원수단이 단순한 외부공간으로의 이동이 아니라 근린환경 내에서 학교와 공원을 연결시켜주고 있었다. 학교 내 운동장과 소공원인 원서공원의 경우, 활동적 놀이가 가능한 넓은 공간과 집과의 근접성, 그리고 각 놀이장소 사이의 연결성과 이를 가능케 하는 가로의 연계성이 아동의 놀이활동을 지원하는 주요한 환경적 특성으로 발견되었다.
셋째, 지정되지 않은(informal) 장소에서는 학교 주변의 상업시설, 버스정류장 및 하굣길에 머무름이 가능한 골목길의 존재가 강조되었다. 또한 막다른 골목이나 경사로가 많은 북촌의 특성상 가로위계가 낮고 차량 통행이 적은 집 주변의 골목길이 놀이공간으로 나타나며 제공되는 놀이기구가 없기 때문에 공간 내에 존재하는 자연적 요소가 낙엽 쓸기나 돌 쌓기 등 아동의 비형식적 놀이를 발생시킨다. 학교 주변과 집 주변 골목길보다는 좀 더 넓은 범위에서의 가로에서는 아동의 이동자체가 놀이가 되는 경우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북촌 보행로의 연계성이 다양한 이동 및 놀이경로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라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북촌이라는 단일지역 내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에, 그 결과를 일반화시키기는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그러나 지역적 성격이 강하고 놀이 및 여가를 위해 계획된 지정된(formal) 장소가 적은 북촌에서 아동 놀이의 관점에서 이들의 놀이행태 양상 및 놀이공간과 이를 지원하는 환경적 특성을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아동의 실질적 놀이행태가 이루어지는 범위에 있어 제한적인 성향을 보이는 국내 연구흐름에서 실질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례연구로, 추후 다른 저층주거지역 및 계획주거단지와의 비교를 통해 주거지역 내 아동 놀이공간에 대해 구체적인 시사점을 주고 아동 친화적 근린환경 조성에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3

2.이론적 고찰 5
2.1 아동 놀이와 놀이공간의 정의 5
2.2 선행연구 고찰 7
2.2.1 기존의 아동놀이 관련 연구 7
2.2.2 연구의 차별성 및 연구문제 설정 15

3.조사 및 분석 방법 16
3.1 조사 대상지 및 대상자 개요 16
3.1.1 동네환경 특성 현황 17
3.1.2 대상자 선정 23
3.2 조사결과 분석 방법 25
3.2.1 조사 방법 및 절차 25
3.2.2 데이터 프로세싱 27
3.2.3 놀이공간 및 놀이경로 요소 추출 및 해석 29

4.아동 놀이행태를 기반으로 한 근린환경 특성 분석 32
4.1 아동 놀이공간과 이동행태 32
4.1.1 근린환경 내 아동의 놀이공간 이용 32
4.1.2 근린환경 내 아동의 이동행태 34
4.2 아동 놀이공간 도출 및 유형 분류 36
4.3 아동의 놀이공간별 놀이행태 및 환경특성 43
4.3.1 지정된(formal) 장소 43
4.3.2 지정되지 않은(informal) 장소 61
4.4 분석결과의 종합 71
4.4.1 지정된(formal) 놀이장소의 특성 71
4.4.2 지정되지 않은(informal) 놀이장소의 특성 73

5.결론 및 시사점 77

참고문헌 82

부록 86

Abstract 9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48026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동-
dc.subject바깥놀이-
dc.subject놀이행태-
dc.subject놀이공간-
dc.subject근린환경-
dc.subject통행일지-
dc.subjectGPS-
dc.subject.ddc690-
dc.title근린환경에서의 아동 놀이행태 및 놀이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북촌의 초등학교 저학년 통행일지와 GPS 데이터를 기반으로-
dc.title.alternativeChildren's Play Activities and Spaces Within a Residential Neighborhood: A Case Study of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ravel Logs and GPS Data in Bukchon, Seoul-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ix, 94-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