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창작클러스터의 공간적 조건이 입주예술가들의 네트워크 수준에 미치는 영향 - 문래창작촌과 신당창작아케이드 사례의 비교를 중심으로 : Influences of spaces requirements of Cre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건혁-
dc.contributor.author이승훈-
dc.date.accessioned2017-07-14T04:09:03Z-
dc.date.available2017-07-14T04:09:03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370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18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설환경공학부, 2012. 8. 안건혁.-
dc.description.abstract2000년대 이후, 예술가들이 도시 내 특정지역에 자생적으로 집적한 창작클러스터들은 창조계급 집적에 따른 지역가치 상승이 자생적으로 실현된 사례로 주목 받아왔다. 그에 따라 창조도시 · 문화도시를 표방하는 도시정부들은 의도적으로 특정 시설에 예술가들의 집적을 유도하는 계획적 창작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해오고 있다.

한편, Scott(1999)은 창작클러스터의 핵심적 자산을 입주예술가들의 네트워크와 그에 따른 긍정적 효과라고 보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국내 연구자 뿐 아니라 계획적 창작클러스터의 조성주체들도 창작클러스터 내 입주예술가들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운영 중인 국내 계획적 창작클러스터 사례들의 네트워크 수준에 대한 검증은 미흡한 실정이며, 창작클러스터 내 네트워크 수준 제고 방안에 관한 논의 성과 또한 미미하다. 이는 창작클러스터 내 네트워크 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접근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이 연구는 창작클러스터 내 입주예술가들의 네트워크 수준 제고 방안의 수립시 참고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최종적인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창작클러스터 내 네트워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규명 및 각 영향력의 검증을 시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창작클러스터의 공간적 조건 및 그에 따른 공간이용현황이 네트워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데, 이는 창작클러스터의 형성경위가 자생적이냐, 계획적이냐에 따라 상이한 공간적 조건들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우선 창작클러스터 내 네트워크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고 기존 언급된 예상영향요인들을 정리하였고, 자생적 창작클러스터의 대표사례로 문래창작촌을, 계획적 창작클러스터의 대표사례로 신당창작아케이드를 각각 선정해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사례별 입주예술가 각 30인을 대상으로 개인별 네트워크 수준 및 예상영향요인 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후 측정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사례별 네트워크 수준 차이의 유의미성을 검증하고, 동시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예상영향요인 변수가 무엇인지 파악했다. 또한 각 사례의 공간이용현황 변수와 네트워크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성의 전후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각 사례의 입주예술가 총 18명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창작클러스터 내 네트워크의 형성과정에 해당 사례가 지닌 공간적인 조건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의 유의성을 확인하고 있다. 네트워크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문래창작촌 입주예술가들은 각종 일상활동을 다양한 공간에서 영위하고 있으며, 해당 활동이 중첩되는 교류공간에서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고, 해당 창작클러스터를 마을 또는 촌의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적 조건 및 그에 따른 공간이용현황과 실제 네트워크 형성과정과의 밀접한 관련성이 상관분석 및 인터뷰 조사 결과 드러나고 있다. 반면 신당창작아케이드 입주예술가들의 활동은 주로 사적공간에서의 개인작업에 국한되는 경향을 보이며, 네트워크 형성을 매개할 수 있는 교류공간이 부재한 것으로 드러난다. 따라서 공공주도의 네트워크 프로그램에 의해 전체입주자간 서로 안면을 인식하고 있는 조건에서도 지속적인 교류관계를 구축하기는 어려운 실정임이 확인되고 있다.

분석결과 및 해석을 통해 향후 창작클러스터의 조성 및 운영 시에는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사항이 공간계획의 고려대상에 추가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세부적으로는 향후 각종 일상적 활동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는 공간조건의 조성 및 주변지역과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제안과, 각종 일상적 활동들이 중첩될 수 있는 개방적인 교류공간의 조성이 계획사항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이 도출된다.현재 창작클러스터 조성사업 시 공간계획은 창작활동 수용을 위한 시설조성 차원에 국한되어 있다. 연구에서 도출된 시사점이 향후 심화된 질적연구를 통해 구체적 공간계획 방법론으로 발전될 수 있다면, 단순 시설차원에 머물고 있는 현 계획적 창작클러스터의 개념이, 내부 구성원간의 자생적 상호작용과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전제된 창조환경(Creative Milieu)의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dc.description.abstractSince 2000s, self-created creation cluster where the artists have been integrated in specific areas in the city has received attentions as a realized case where self-created value creation of areas through creative integration of artists have occurred. As a result, city governments that advocates a Creative City or Culture City has been executing the establishment of planned creation clusters which intentionally induce the integration of artists in specific areas of the city.

On the other hand, Scott (1999) thinks that core assets of creation cluster are the networks of artists and related positive effects. Accordingly, not only various domestic researchers but also establishment subjects of planned creation clusters emphasize the vitalization of networks of living-in artists in creation clusters in common. In spite of these situations, verification of network levels of domestic planned cluster cases which are currently operating domestically is not sufficient, and discussion results about the improvement plans of network levels in creation clusters are insufficient as swell. Reasons of these situations are thought be that approaches to the factors which give influences to network levels in creation clusters were not sufficient.

Fin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which are referable in the procedures of establishing network levels improvement plans of living-in artists in creation clusters
-
dc.description.abstractand for this objective, clarification of factors which give influences to network levels in creation clusters and related examination of individual influences is being tried. Among these, the influences of spatial requirements and current utilization conditions of spaces in creation clusters to network levels are studied with priority, which is because creation details of creation clusters have individually different space requirements depending on whether it is self-created or planned.

In order to achieve study objective, expected influence factors were prepared which were mentioned earlier to give influences to the network levels in the creation clusters, and Mullae Art Village was selected as a representing case of self-created creation cluster and Sindang Art Arcade was selected as a planned creation cluster. For empirical studies, 30 targeting study subjects of living-in artists in each case were selected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measure individual network levels and variables of expected influence factors. Through comparison analysis of measured data,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network levels of each case was verified and variables of expected influence factors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dditionally and in order to verify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of current situation of space utilization and network level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in order to identify the contexts of correlations, total of 18 living-in artists in each case were selected and examined with interviews.
Study results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the assumption that spatial requirements in relevant cases could give influences to network creation procedures in creation cluster. Living-in artists in Mullae Art Village which have relatively higher network levels live with various common actives in various spaces and transform the new networks in various exchange spaces where the relevant activities are overlapped and the relevant creation cluster is recognized as a concept of town or village. Additionally,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spatial requirements and related current conditions of space utilization and physical network creation procedures are identified in correlation analysis and interview results.

On the other hand, activities of living-in artists in Sindang Art Arcade show the tendency that their activities are limited to personal activities in their personal spaces and their exchange spaces which could mediate the networks are not sufficient. Accordingly, continuous exchange relationships are identified to be difficult in spite of the conditions that entire living-in artists recognize their existences in living-in artists owing to the public leading network program.

Through study results, the necessity is raised for futur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reation cluster that network vitalization plans should be added in consideration factors for space plans. In details, the suggestion that establishment of space requirements that enable various everyday activities smoothly and connections with neighboring areas and the implication that establishment of open exchange spaces which enable to overlap various everyday activities should be added in the plans.

Current space plans in the procedures of establishment of creation cluster are limited to the standards of construction of facilities to accommodate creation activities. If the derived implication could be developed to detailed space plan methodologies through future in-depth qualitative studies, current concept of planned creation cluster which stays just in the level of facilities is expected to be expanded to the concept of Creative Milieu where self-created interactions between internal members and connections with regional community are requir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4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2 연구의 범위 16
1.3 연구의 흐름 및 방범 18

ⅱ. 이론적 고찰 19
2.1 창조도시론과 창작클러스터 19
2.2 창작클러스터 내 네트워크 관련 논의 26

ⅲ. 문래창작촌과 신당창작아케이드의 비교사례연구 32
3.1 사례연구의 틀 32
3.2 사례 대상지의 일반현황 35
3.3 사례 대상지의 네트워크 활동현황 41
3.4 소결 47

ⅳ. 창작클러스터의 공간적 조건이 네트워크 수준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49
4.1 분석의 틀 49
4.2 사례집단별 설문응답결과 비교 53
4.3 네트워크 수준과 영향요인 변수들 간 상관분석 63
4.4 입주예술가들의 네트워크 현황과 공간적 조건과의 관련성 인식 69

ⅴ. 결론 70
5.1 연구의 결과 70
5.2 향후 창작클러스터 조성시의 시사점 82
5.3 연구의 한계 83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2748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창작클러스터-
dc.subject사회적 네트워크-
dc.subject창조도시-
dc.subject문화 매개 도시재생-
dc.subject.ddc624-
dc.title창작클러스터의 공간적 조건이 입주예술가들의 네트워크 수준에 미치는 영향 - 문래창작촌과 신당창작아케이드 사례의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Influences of spaces requirements of Creat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Seung Hoo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91-
dc.contributor.affiliation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