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소아중환자실 퇴실 시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과 전동불안 : Uncertainty and Transfer Anxiety of Pediatric Patients Mothers upon Discharge from the PICU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경숙-
dc.contributor.author송민경-
dc.date.accessioned2017-07-14T05:24:06Z-
dc.date.available2017-07-14T05:24:06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441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76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2. 8. 방경숙.-
dc.description.abstract생명이 위급한 상태에서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환자들은 상태가 호전되어 일반병동으로 전동하게 되는 경우에도 자신을 여전히 중환자로 간주하거나, 익숙해진 중환자실 의료진과 환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대해 전동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중환자 가족 역시 환자와 함께 전동불안을 경험하는데, 아동은 어머니의 정서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환아뿐 아니라 어머니에 대한 이해와 돌봄이 필수적인 요소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중환자실에서 퇴실하는 환아 어머니의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과 전동불안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자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서울시내에 소재한 일개의 소아중환자실에서 일반병동으로 전동이 예정된 환아의 어머니 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1년 8월 1일부터 2012년 1월 10일까지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 도구는 Mishel (1983)의 Parents' Perception of Uncertainty Scale (PPUS)과 Spielberg의 상태불안 측정도구(Spielberg, 1970)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Statistics 1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평균 47.54±6.90점이었으며 평균 평점은 2.16±0.31점이었다. 대상자의 전동불안은 평균 43.09 ±9.51점이었으며 평균 평점은 2.15±0.48점이었다.
2) 불확실성은 환아 어머니의 학력(p=.035), 결혼기간(p=.043), 월수입(p=.02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전동불안은 환아 어머니의 종교(p=.044), 결혼기간(p=.044), 전동 시 환아의 중환자 중증도(p=.047)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소아중환자실에서 퇴실하는 환아 어머니가 인지하는 불확실성과 전동불안간의 상관관계는 r=0.591(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불안이 높았으며 학력과 월수입이 낮은 군은 불확실성이 높으므로 특별한 관심을 요한다. 또한 종교가 없고 퇴실 시 환아의 중증도가 높은 경우 어머니의 불안이 높으므로 이들의 불안을 낮추어줄 수 있어야겠다. 환아 어머니의 전동불안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의료진과의 충분한 의사소통과 명료한 정보제공을 통해 애매모호한 감정을 줄여주고, 통일되고 일관된 간호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의료진들 간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환자와 가족의 불확실성과 불안을 낮추는데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전동불안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가 느끼는 불안의 정도를 확인하여 불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
dc.description.abstractEven though the health of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under life-threatening conditions may improve, they may still regard themselves as critical patients or may experience transfer anxiety about separating from the familiar ICU medical staff and environment when being transferring to the general ward. Patients' families may also experience transfer anxiety. However, since the child is usually very sensitive to the mothers emotions, understanding and caring about the mother as well as the patient can be seen as a necessit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uncertainty in illness and transfer anxiety, and to identify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 that influences them by targeting the mothers of transferred patients from the pediatric ICU to the general ward.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data were collected after receiving written consent from individual participants who had been scheduled to transfer from the PICU to the general ward from August 1, 2011 to January 10, 2012. Data were collected from 94 Participant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Mishels Parents' Perception of Uncertainty Scale (PPUS) to measure uncertainty and Spielbergs state anxiety scale to assess transfer anxie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19.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uncertainty level was, on average, 47.54 (±6.90)
-
dc.description.abstractthe item mean score was 2.16 (±0.31). The transfer anxiety level was, on average, 43.09 (±9.51)-
dc.description.abstractthe item mean score was 2.15 (±0.48).
2) The level of uncertainty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p=.035), duration of marriage (p=.043), and monthly income (p=.022).
3) The level of transfer anxiety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religion (p=.044), duration of marriage (p=.043), and severity of illness at transfer (p=.047).
4)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uncertainty and transfer anxiety (r=0.59).

Consequently, when the uncertainty level of the mothers of PICU patients scheduled to leave the PICU was high, the transfer anxiety level was also high. In particular, those with low education or those belonging to the low-income group require special attention, because their uncertainty levels tend to be high. To reduce the transfer anxiety and uncertainty of the mothers of patients,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and clear information can reduce ambiguity. Also, communication among medical staff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standard protocol. Eventually such protocol should be considered to reduce the uncertainty and anxiety of patients and families. Furthermore, studies are needed to find factors related to transfer anxiety. Studies should also identify the anxiety level of mothers of children who were admitted to the PICU, and how their anxiety level chang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1
1.연구의 필요성 11
2.연구의 목적 13
3.용어 정의 14
Ⅱ.문헌고찰 16
1.중환자실 환아의 어머니 16
2.질병에 대한 불확실성 18
3.전동불안 20
4.중환자실 퇴실 환자 가족의 전동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3
Ⅲ.연구방법 27
1.연구 설계 27
2.연구 대상 27
3.연구 도구 28
4.자료수집 절차 30
5.자료분석 방법 31
Ⅳ.연구결과 33
1.대상자의 특성 33
2.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 및 전동불안 정도 38
3.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 39
4.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전동불안 43
5.불확실성, 전동불안 간의 상관관계 47
Ⅴ.논의 48
Ⅵ.결론 및 제언 57
1.결론 57
2.제언 59
참고문헌 60
부록 68
Abstract 77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380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소아중환자실-
dc.subject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dc.subject환아 어머니-
dc.subjectPatient’s mother-
dc.subject불확실성-
dc.subjectUncertainty-
dc.subject전동불안-
dc.subjectTransfer anxiety-
dc.title소아중환자실 퇴실 시 환아 어머니의 불확실성과 전동불안-
dc.title.alternativeUncertainty and Transfer Anxiety of Pediatric Patients Mothers upon Discharge from the PICU-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ⅴ,69-
dc.contributor.affiliation간호대학 간호학과-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