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동 간호사의 치료적 놀이에 대한 인식 및 수행정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희승-
dc.contributor.author김효정-
dc.date.accessioned2017-07-14T05:28:57Z-
dc.date.available2017-07-14T05:28:57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00000005331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85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2015. 8. 최희승.-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아동 간호사의 치료적 놀이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아동 간호사의 치료적 놀이 수행을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의 어린이 병동(내과계/외과계 일반 병동, 소아/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00명 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4년 5월 29일부터 6월 19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자가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를 희망한 대상자에 한해 연구동의서에 서명을 받은 후 시행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를 수정한 후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 도구를 완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alpha, t-test, one way ANOVA,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다수(86.5%)의 대상자가 치료적 놀이의 개념을 접해본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적 놀이의 효과성, 교육의 필요성, 교육에 대한 의지에 대해 75.5% ~ 81.5%의 대상자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료적 놀이 효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 30세 이상이 30세 미만에 비해(p<.001),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p=.048), 자녀가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p=.036), 내과계 및 외과계 일반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소아 및 신생아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에 비해 치료적 놀이의 효과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았다(p=.001).
2. 아동 간호사에 의한 치료적 놀이 수행 가능성에 대해 66%의 대상자가 할 수 없다고 인식하였으며, 실제 치료적 놀이를 수행한 적이 있는 대상자는 전체의 14%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이 인식하는 치료적 놀이 수행의 가장 큰 제약은 시간의 부족이었다. 대상자들은 치료적 놀이를 수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인력으로 간호사를 놀이치료사, 부모에 이어 3순위로 인식하였다.
3. 치료적 놀이 수행에 적합한 인력으로 간호사를 1순위로 생각하는 집단이 4순위 이하로 생각하는 집단에 비해 치료적 놀이를 수행한 경험의 비율(p=.014), 치료적 놀이 교육에 대한 의지(p=.012), 교육을 받은 경험의 비율(p<.001)이 높았다. 치료적 놀이에 대한 교육을 받은 집단이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치료적 놀이를 수행한 경험의 비율이 높았다(p<.001).
4. 치료적 놀이를 수행한 적이 있는 14%의 대상자들의 치료적 놀이 수행정도는 평균 1.73점으로 대체로 수행하지 않는다.이하의 점수로 나타났으며, 5가지 영역의 놀이 중 교육적 놀이의 수행이 가장 낮았다. 소아 및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치료적 놀이 수행 정도가 내과계 및 외과계 일반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치료적 놀이 수행 정도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28).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대부분의 아동 간호사들은 치료적 놀이의 개념을 접한 경험이 있고 그 효과성과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나, 간호사에 의한 치료적 놀이 수행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제 간호 실무 현장에서의 수행정도가 낮은 상태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아동 간호사의 치료적 놀이 수행정도가 낮은 이유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통해 밝힐 수는 없었으나, 치료적 놀이 수행 주체로서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효과적인 교육의 부족, 과중한 업무, 제반 환경적의 문제 등 치료적 놀이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주요어 : 치료적 놀이, 치료적 놀이에 대한 인식,
치료적 놀이 수행, 아동 간호사, 입원 아동
학 번 : 2010-20417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6
1. 아동의 놀이 6
2. 놀이의 치료적 활용 8
3. 간호 중재로서의 치료적 놀이 10
4. 치료적 놀이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 13

Ⅲ. 개념적 기틀 16

Ⅳ. 연구방법 17
1. 연구설계 17
2. 연구대상 17
3. 연구도구 18
4. 자료수집 19
5. 자료분석 20

Ⅴ. 연구결과 21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2. 대상자의 치료적 놀이에 대한 인식 23
3. 대상자의 치료적 놀이 수행정도 30

Ⅵ. 논의 34

Ⅶ. 결론 및 제언 44

참고문헌 47

부록 54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54
부록2. 연구 설문지 55
부록3. Participants's perceptions of therapeutic play 63
부록4. Plays that thought to be useful according to
nursing units 67
부록5. IRB 승인서 68

Abstract 69






List of Tables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22
Table 2. Participants's perceptions of
therapeutic play 25
Table 3. The differences of participants's perceptions of the effect of therapeutic pla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26
Table 4. Therapeutic play performances of participants 31
Table 5. The differences of participants's therapeutic play performa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33

List of Figures

Figure. 1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16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8938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치료적 놀이-
dc.subject치료적 놀이에 대한 인식-
dc.subject치료적 놀이 수행-
dc.subject아동 간호사-
dc.subject입원 아동-
dc.subject.ddc610-
dc.title아동 간호사의 치료적 놀이에 대한 인식 및 수행정도-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 71-
dc.contributor.affiliation간호대학 간호학과-
dc.date.awarded2015-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