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기업 팀의 학습과 팀장 변혁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및 응집력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ing,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and Cohesiveness of Teams in Large Corpora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영주

Advisor
김진모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대기업 팀팀 학습팀장 변혁적 리더십팀 임파워먼트팀 응집력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산업교육과, 2015. 7. 김진모.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팀의 학습과 팀장 변혁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및 응집력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팀의 학습과 팀장 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및 팀 응집력 간의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고, 설정한 모형이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적합하게 예측하는지 검증한다. 둘째, 대기업의 팀장 변혁적 리더십과 팀 학습, 팀 응집력 및 팀 임파워먼트 간의 영향 관계를 구명한다. 셋째, 대기업의 팀 임파워먼트와 팀 응집력 및 팀 학습 간의 영향 관계를 구명한다. 넷째, 대기업의 팀 응집력과 팀 학습 간의 영향 관계를 구명한다. 다섯째, 대기업의 팀장 변혁적 리더십과 팀 학습 간의 관계에서 팀 임파워먼트 및 팀 응집력이 갖는 단일매개효과를 구명한다. 여섯째, 대기업의 팀장 변혁적 리더십과 팀 학습 간의 관계에서 팀 임파워먼트 및 응집력이 갖는 이중매개효과를 구명한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대기업 종사자이며, 목표 모집단은 목표 모집단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공하는 1000대 기업(매출액 순)의 기능팀이다. 본 조사의 자료 수집은 우편조사 및 온라인 설문 시스템(KSDC)를 통한 유의표집을 활용하였으며, 총 28개 기업의 88개 기능팀, 588명이 응답한 자료를 확보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2.0와 AMOS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에 있어서 통계적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주요 통계방법으로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기법을 활용하고, 변인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각 경로계수와 유의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팀의 학습과 팀장 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및 응집력 간의 구조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대기업의 팀장 변혁적 리더십은 팀 학습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β=.436)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응집력에도 직접적인 정적 영향(β=.350)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장 변혁적 리더십은 팀 임파워먼트에도 직접적인 정적 영향(β=.748)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기업의 팀 임파워먼트는 팀 응집력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β=.520)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학습에도 직접적인 정적 영향(β=.42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기업의 팀 응집력은 팀 학습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β=.21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기업의 팀장 변혁적 리더십과 팀 학습 간의 관계에서 팀 임파워먼트는 유의미한 간접효과(Β=.198)가 나타났으나, 팀장 변혁적 리더십과 팀 학습 간의 관계에서 팀 응집력은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대기업의 팀장 변혁적 리더십과 팀 학습 간의 관계에서 팀 임파워먼트 및 응집력 역시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는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간 구조적 관계 모형은 대기업 팀원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자료를 분석하기에 적합하며,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한다. 둘째, 팀장 변혁적 리더십은 팀 학습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며, 팀 응집력과 팀 임파워먼트도 각각 팀 학습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 임파워먼트는 팀 응집력과 팀 학습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팀 응집력은 팀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기업의 팀장 변혁적 리더십과 팀 학습 간의 관계에서 팀 임파워먼트는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팀장 변혁적 리더십과 팀 학습 간의 관계에서 팀 응집력은 간접적인 정적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기업의 팀장 변혁적 리더십과 팀 학습 간의 관계에서 팀 임파워먼트 및 응집력 역시 간접적인 정적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언하였다. 첫째, 팀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심리적 요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맥락적 요소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팀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다양하고 세분화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팀 학습을 구명하는 다양한 연구 방법이 추가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m learning,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and cohesiveness of teams in large corporations. Specific objectiv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were as follows: First, to identify the fit indices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team learning,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empowerment and team cohesiveness of team in large corporations
Seco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learning, team cohesiveness and team empowerment
Thir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eam empowerment, team cohesiveness and team learning
Fourth,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eam cohesiveness and team learning
Fifth,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 of team empowerment and team cohesiveness between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learning. Sixth, to identify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team empowerment and team cohesiveness between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learning.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team of large-sized corporations in Korea. However, due to the difficulty of counting all teams in large corporations, this study was restricted to the target population as employees of 1,000 companies list by the KCCI(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 KSDC(Korea Social science Data Center) and questionnaire. After screening the data, 588 responses from 88 team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2.0 and AMOS 21.0 version. An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t indices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team learning,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empowerment and team cohesiveness were suitably identified. Second,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m learning(β=.436)
on team cohesiveness(β=.350) and on team empowerment(β=.748). Third, team empower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m cohesiveness(β=.520)
on team learning(β=.425). Fourth, team cohesive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m learning(β=.211). Fifth,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m learning wi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team empowerment (Β=.198)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m learning wi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team cohesiveness. Sixth, team cohesive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m learning(β=.211). Seventh,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m learning with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team empowerment and team cohesiveness.
Based on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ng team learning,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empowerment and team cohesiveness wa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Second,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team learning, team cohesiveness and team empowerment. Third, team empowerment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team learning and team cohesiveness. Forth, team cohesivenes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team learning. Fifth,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indirect effect on team learning wi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team empowerment and did not have a indirect effect on team learning wi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team cohesiveness. Sixth,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d not have a indirect effect on team learning with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team empowerment and team cohesiveness.
Several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further research needs to identify the contextual factors that lead to team learning. Second, further research needs to specify teams characteristics. Third, further research need to use diverse research methods for team learning such as qualitative research and hierarchial linear model.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609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