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Roles of Depth and Breadth of Vocabulary Knowledge I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 이해에서 어휘의 깊이와 양의 역할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혜연

Advisor
권오량
Major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L2 vocabulary knowledgebreadth of vocabulary knowledgedepth of vocabulary knowledgeL2 reading comprehens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2012. 8. 권오량.
Abstract
읽기 이해에 있어 어휘 지식의 역할이 최근 제 2언어 어휘와 읽기 분야에 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어휘 지식을 구성하는 다양한 측면 중에서도 양적 측면에만 편중되었고, 깊이 측면에 대한 연구는 소홀했다.
본 연구는 영어 읽기 이해에 있어서 어휘의 양적 지식과 깊이 지식의 역할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어휘 깊이 측면은 의미 특성 (동의어, 다의어, 연어)에 관한 지식에 초점을 두어 살펴본다.
대한민국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98명의 11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 된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은 세 가지 주요 평가- Vocabulary Levels Test (VLT), Word Associates Test (WAT), 그리고 Reading Comprehension Test (RC) 에 참여하였다. WAT시험에서 학습자가 추측으로 답했을 법한 문항을 채점 결과에서 배제하기 위해 연구자가 고안한 Vocabulary Knowledge in a Yes/No Format (VKS)를 추가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WAT의 채점 결과는 WAT+VKS로 나타냈다. 각 평가의 채점 결과 는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어휘의 양적 지식뿐만 아니라 어휘 깊이 지식도 읽기 이해와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깊이 지식 측정도구를 WAT에서 WAT+VKS로 대체했을 경우, 깊이 지식이 양적 지식보다 읽기 이해와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두 차원의 어휘 지식 모두 읽기 수행 변수의 상당 부분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두 차원이 예측 변인으로 함께 사용되었을 경우에, 개별적으로 사용되었을 때보다 더 예측력이 높았다. 이와 더불어, WAT를 WAT+VKS로 대체했을 경우, 어휘 깊이 지식의 예측력이 다소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강제진입 회귀 분석 결과, 두 차원의 어휘 지식은 모두, 서로 다른 차원이 읽기 수행을 설명할 수 있는 비율 이외에도 추가적인 설명력을 보유했다. 이를 통해, 어휘의 양적 지식과 깊이 지식은 각각 고유한 영역에서 읽기 이해에 유의미한 공헌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어휘의 양적 지식뿐만 아니라 깊이 지식도 성공적인 읽기 이해에 공헌할 수 있음을 확인 함으로써, 제 2언어 어휘지식과 읽기 이해에서의 그 역할에 대해 보다 정교한 설명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어휘교수 시 학습자에게 어휘의 양적 지식과 깊이 지식이 균형 있게 제시될 필요성을 제안한다.

주요어: 영어 어휘 지식, 어휘의 양적 지식, 어휘의 깊이 지식, 영어 읽기 이해
Roles of vocabulary knowledge in reading comprehension have recently received an increasing amount of attention in the field of L2 vocabulary and reading research. Despite the consensus among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hat word knowledge comprises at least breadth (size) and depth (quality) dimensions, most research has been concerned predominantly with the breadth dimension in comparison with the depth dimension.
The present study seeks to fill this gap by investigating the role of both breadth and depth of word knowledge in reading comprehension. With regard to the depth dimension,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semantic properties (i.e., synonymy, polysemy, and collocations).
The participants were 98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he 11th grade. To measure their breadth and depth of word knowledge, and reading comprehension, three main tests were administered: a Vocabulary Levels Test (VLT), a Word Associates Test (WAT), and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RC). An additional test designed by the researcher, Vocabulary Knowledge in a Yes/No Format (VKS), was adopted in scoring WAT with the aim of reducing possible guessing effects on WAT, which was represented as WAT+VKS. The scores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a significant association existed between breadth and depth dimensions of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alternation from WAT to WAT+VKS for a depth measure resulted in a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depth and reading comprehension. Specifically, the strength of correlation between the depth dimens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exceeded that of the breadth dimens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depth and breadth dimensions each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predict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The degree of predictability, however, increased when the combinations of the two dimensions were used as a predictor variable. Furthermore, the forced-entr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vocabulary depth, as well as size, provided an additional explanation for the reading comprehension variance even after the contribution of the former predictor. It was noteworthy that the replacement of WAT with WAT+VKS led to the improvement in the predictive power of vocabulary depth.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offer a finer understanding of L2 vocabulary knowledge and its crucial role in reading comprehension among L2 learners. It is proposed that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edagogical practices need to encompass not only simple expansion of vocabulary size but also enrichment of knowledge about words. Consequently, this well-balanced vocabulary knowledge would ensure a successful reading comprehension.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5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