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수도권 주야간보호서비스의 공간 접근성 탐색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정엽-
dc.contributor.author류경희-
dc.date.accessioned2017-07-19T02:36:57Z-
dc.date.available2017-07-19T02:36:57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other00000002585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7680-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교육과(지리전공), 2015. 2. 신정엽.-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노인복지시설은 노인에게 각종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일상생활을 편안하게 영위하게 만드는 시설이다. 노인복지시설 중 하나인 주야간보호서비스 시설은 거동이 어려운 노인이 시설로 직접 이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 시설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노인은 신체적 제약으로 인해 시설의 입지 및 시설과의 거리가 중요한 경향이 있다. 하지만 실제 시설 입지의 일부는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제도적 입지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노인들이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주야간보호서비스를 보다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 시설과 시설이용 노인 간 공간 접근성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주야간보호서비스 시설과 시설이용 추정노인인구를 2SFCA에 적용시켜 공간 접근성을 시계열로 측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공간 접근성 결과를 바탕으로 수도권 주야간보호서비스의 입지 문제점을 도출하여 신규 대안입지를 제안한다. 그리고 신규 대안입지 시설의 공간 접근성을 분석하여 현재 주야간보호서비스의 공간 접근성과 비교·분석해본다.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수도권 주야간보호서비스의 공간 접근성은 지속적으로 향상되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2003년과 2013년의 공간 접근성은 서울∙경기∙인천 순이었으나, 2008년에는 경기∙서울∙인천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지역별로 2003년과 2013년에는 시부의 공간 접근성이 읍·면부보다 높았으며, 2008년에는 읍·면부가 시부보다 공간 접근성이 월등히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세 시기를 정리하여 비교하면 2008년의 공간 접근성이 다른 두 시기와 다른 공간 패턴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2013년 수도권 주야간보호서비스 시설의 공간 접근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경기 남동부 지역이 전반적으로 높게 측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 접근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도 여주시로, 시설이용 추정노인대비 시설 수∙정원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에 기인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인천 도서와 경기 외곽지역의 총 32개 읍면은 공간 접근성 값이 0으로 측정되었다. 시도별 측면에서는 서울의 공간 접근성은 96.9로 수도권 평균 70.3보다 높았던 반면 경기 60.2, 인천 31명로 확인되었다. 즉, 시도별 측면에서 공간 접근성의 불균형이 심각했던 것이다. 그러나 지역별 측면에서는 시·읍·면부의 공간 접근성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3년 주야간보호서비스의 공간 접근성을 바탕으로 제시한 두 가지 신규 대안입지 시설의 공간 접근성을 측정한 결과, 어느 지역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것인가에 따라 대안입지를 달리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신규 대안입지는 공간 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주야간보호서비스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와 접근성과 관계없이 잠재적 이용자의 시설 이용 편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따라 달라졌다.

본 연구는 수도권 주야간보호서비스 시설의 공간 접근성 변화를 시계열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원활한 서비스 활용을 위한 두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향후 노인복지시설 정책입안자들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준으로 시설을 입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은 농어촌 지역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져 보다 형평성 있는 주야간보호서비스의 공간 접근성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및 방법 4

II. 이론적 배경 6
1. 주야간보호서비스의 정의 및 특징 6
2. 주야간보호서비스 입지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9
3. 주야간보호서비스의 공간 접근성 11
1) 공간 접근성의 개념 11
2) 주야간보호서비스의 공간 접근성 14

III. 공간 접근성 측정 방법론 17

IV. 수도권 주야간보호서비스의 공간 접근성 21
1. 연구 지역 개관 21
2. 수도권 주야간보호서비스의 수요와 공급 23
3. 수도권 주야간보호서비스의 공간 접근성 측정 37

V. 수도권 주야간보호서비스의 대안 제시 50
1. 수도권 주야간보호서비스의 대안입지 50
2. 대안입지를 반영한 공간 접근성 측정 55
3. 현재와 대안입지의 공간 접근성 비교 63

VI. 결론 및 제언 70

참고문헌 73
Abstract 7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8891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주야간보호서비스-
dc.subject공간 접근성-
dc.subject2SFCA(2-Step Floating Catchment Area)-
dc.subject수도권-
dc.subject.ddc910-
dc.title수도권 주야간보호서비스의 공간 접근성 탐색-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Ryu Kyunghee-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ⅶ, 82-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사회교육과(지리전공)-
dc.date.awarded2015-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