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회과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모형 : An Instructional Model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미나-
dc.contributor.author이희심-
dc.date.accessioned2017-07-19T02:38:01Z-
dc.date.available2017-07-19T02:38:01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00000001738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769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14. 2. 이미나.-
dc.description.abstract미디어는 사실 모두를 그대로 보여주지 않는다. 우리가 보는 미디어는 누군가의 시각에서 만들어진 구성물이다. 미디어라는 창을 통해 창에 비추어진 일부의 모습만을 우리가 볼 수 있을 뿐이다. 더군다나 누군가의 시각에서 만든 구성물에는 그 사람이 담고 싶은 마음이 녹아 있으니 온전히 객관적일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미디어가 범람하는 현대 사회에서 주체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에 숨어있는 의미를 읽어내는 비판적 사고 능력과 미디어의 생산에 참여하는 창의적 사고의 함양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심화시켜 나가야 하는 근거를 밝히고, 그 근거를 통하여 사회과교실에서 활용 가능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모형을 연구․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문헌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대중 문화․미디어 리터러시 패러다임 및 교육의 영역 등을 정리하였다. 사회과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사회과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수용해야 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 소재인 텔레비전 뉴스를 분석하기 위해 텔레비전 뉴스의 특성을 알아보고 뉴스 언어의 기호 체계를 통한 의미 작용 방식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와 정보 전달의 통로인 텔레비전 뉴스는 기호 체계인 말과 영상에 의해 새로운 의미가 더해지는 과정임을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미디어 리터러시 방법 모델을 살펴보고 일상 생활과 연관되어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는 텔레비전 뉴스를 활용한 사회과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모형을 설계하여 보았다.
이에 교수․학습 활동 후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의 삶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텔레비전 뉴스를 소재로 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관심 및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둘째, 뉴스 언어의 기호 체계를 알고 의미 작용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뉴스를 해독․분석함으로써 비판적인 뉴스 리터러시 능력을 효과적으로 기를 수 있다.
셋째, 미디어 텍스트의 비판적 분석뿐만 아니라 제작 활동을 통해 뉴스의 제작 과정을 이해하는 지식․촬영 기법 등의 기능․자신의 관점에서의 창의적으로 해석하는 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미디어 제작 과정은 자신의 관점을 가지고 능동적인 참여자로서 활동함으로써 자아정체성 확립에 기여한다.
넷째,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은 읽기 활동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쓰기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과 같은 고급사고력 함양에 기여한다.
다섯째, 수업은 미디어가 현실을 구성한 것이고 가치와 이데올로기가 내재되어 있다는 내용 강조한다. 학생들은 미디어는 사실을 말한다.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사회구성물에 대해 개방적이고 열린 사고를 갖게 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문제 제기 1
2. 연구 문제 3

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론적 고찰 5
1.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개념 5
2.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대중 문화 9
1) 비판적 대중 문화론 9
2) 구조주의 10
3) 문화 이론 11
4) 포스트모더니즘 이론 12
3.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패러다임 15
1) 예방적 접근법 15
2) 대중 문화적 접근법 16
3) 학습 도구적 접근법 17
4) 표상체계 ․상징체계로서의 접근법 17
4.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영역 21
5. 미디어 리터러시 방법 모델 24
1) Barthes의 1차․2차 의미 작용 과정 24
2) Greimas의 의미생성모델 26

Ⅲ. 미디어 리터러시와 사회과교육 30
1. 사회과교육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선행 연구 30
2. 사회과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 36

Ⅳ. 텔레비전 뉴스 39
1. 텔레비전 뉴스의 특징과 사회과 수업의 함의 39
2. 텔레비전 뉴스 언어의 기호 체계 42
1) 상징적 기호 43
2) 도상적 기호 48
3. 텔레비전의 의미 작용 방식 53
1) 의미 작용을 통한 이데올로기 53
2) 프레이밍을 통한 이데올로기 57
(1) 내용의 선택과 프레이밍 58
(2) 카메라의 조작과 프레이밍 63
(3) 내용의 배열과 프레이밍 65

Ⅴ.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한 사회과 수업 모형 제안 69
1. 텔레비전 뉴스를 활용한 사회과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모형의 설계 69
1) 1단계 : 미디어 이해하기 70
2) 2단계 : 미디어 바라보기 71
3) 3단계 : 미디어 내용 줄거리 쓰기 72
4) 4단계 : 미디어 내용 해체 및 분석하기 73
5) 5단계 : 미디어 해체 및 분석을 바탕으로 토론하기 74
6) 6단계 : 새로운 미디어 창조하기 74
7) 7단계 : 창조된 미디어 발표 및 피드백하기 76
2. 텔레비전 뉴스를 활용한 사회과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사례 제안 77
1) 단원 선정 및 수업 설계 77
2) <1차시> 교수․학습 과정 82
3) <2차시> 교수․학습 과정 87
4) <3~4차시> 교수․학습 과정 92
5) <5~6차시> 교수․학습 과정 107

Ⅵ. 결론 115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9546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미디어 리터러시-
dc.subject사회과 수업 모형-
dc.subject.ddc370-
dc.title사회과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모형-
dc.title.alternativeAn Instructional Model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ii, 124-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dc.date.awarded2014-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