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교육 연구 - 영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 : A Study on Teaching Collocations as a Means to Improve Korean Lexical Competence - Focusing on English-Speaking Learner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안재경-
dc.date.accessioned2017-07-19T02:42:58Z-
dc.date.available2017-07-19T02:42:58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500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778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12. 8. 구본관.-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어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연어 교육의 내용과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어휘는 유의미한 맥락 속에서 비독립적으로 다른 어휘와 관계를 가지며 사용된다. 따라서 자연스럽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개별 어휘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연어를 활용하여 어휘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제 연어 사용 양상을 체언+용언 형태의 연어를 통해 살펴보고, 어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구안하였다. 논지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어휘 능력 및 연어의 개념과 범주에 대해 살펴보고, 체언+용언 형태의 연어를 전제적 연어, 준제약적 연어, 제약적 연어로 구분하였다. 나아가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어 교육이 갖는 의의를 밝혔다. 또한 국내·외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는 교재에서 연어를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한국어 교재와 연어 사전 및 구어 말뭉치 자료를 토대로 한국어 교육용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한국어 교육용 연어 목록은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별로 등급화하여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영어권 학습자들의 연어 사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Ⅱ장의 이론과 한국어 교육용 연어 목록을 토대로 선다형 문항, CONTRIX 문항, 짧은 글짓기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 문항을 구성하여 영어권 학습자들의 한국어 연어 이해도 및 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총 61명의 영어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사후 면담을 통하여 피험자들의 연어에 대한 인식을 질적으로 평가하였다. 피험자들은 이해 및 표현 유형, 한·영 유형, 체언+용언의 연어 유형에 따라 연어 사용의 차이를 보였는데 그 원인은 모국어에 의한 영향, 목표어에 의한 영향, 교수·학습 방법 및 교재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Ⅳ장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권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연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연어 교육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였고, 인지적 과정을 기반으로 형태·의미·화용의 측면에서 연어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에 적합한 교수·학습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연어 교육은 관찰·가설·실험의 O·H·E(Observation – Hypothesis – Experiment) 교수법을 기반으로 확인·확장·수행으로 단계화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구체적인 활동과 함께 연어 교육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고 그 실제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실제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고빈도로 사용하고 교육적 가치가 높은 연어를 한국어 교육용 연어 목록으로 선정하였고,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tent and methodology for effective and practical teaching of learning collocation as a means to improve lexical competence of Korean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or dominant language is English.
Utilizing prior studies, the current study defines the concept and outline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lexical competence and Korean collocations. For the sake of analysis Noun+Verb/Adjective forms of collocation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presuppositional collocations, restricted collocations, semi-restricted collocations.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collocations to improve Korean lexical competence is then defined.
It was examines how collocations are presented in a sample of textbooks used in Korean-language educational institutes both in Korea and abroad. Based on an analysis of these textbooks, a Korean collocation dictionary, and speech corpus, a list of Korean educational collocations was created for Korean learners with English-speaking backgrounds.
Chapter Three presents the result of a survey consisting of multiple-choice questions, CONTRIX questions, and short essay questions designed to obtain data on aspects of learners use of collocations. A total of 61 subjects with English-speaking backgrounds participated in the survey
-
dc.description.abstract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the survey to address the learners recognition.
Chapter Four utilizes the analytical results from Chapter Three to discuss the content and methodology of effective and practical teaching of collocations to Korean learners with English-speaking backgrounds. The educational goal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teaching collocations are outlined, and teaching collocations are organized on the basis of prototype theory on the aspects of form, meaning, and use. Finally, teaching methods with specific activities based on Lewiss O·H·E (Observation·Hypothesis·Experiment)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of the learner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사 5
3. 연구의 대상 및 방법 8

Ⅱ. 어휘 능력과 연어 교육의 이론적 접근 11
1. 어휘 능력과 연어 교육의 관련성 11
1.1. 어휘 능력의 개념과 범주 11
1.2. 연어의 개념과 범주 14
1.3.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교육의 의의 23
2.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연어 교육의 실태 28
3. 한국어 교육용 연어 목록의 선정 원리 39

Ⅲ.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분석 44
1.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분석의 방법 및 절차 44
2.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연어 사용 양상 및 오류 분석 47
2.1. 이해 및 표현 유형에 따른 연어 사용 양상 및 오류 분석 48
2.2. 한·영 연어 대응 유형에 따른 연어 사용 양상 및 오류 분석 51
2.3. 연어의 유형에 따른 연어 사용 양상 및 오류 분석 53
3.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연어 오류 원인 54
3.1.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 55
3.2. 목표어의 영향에 의한 오류 58
3.3. 교수·학습 방법 및 교재에 의한 오류 60
Ⅳ. 한국어 연어 교육의 설계 63
1. 한국어 연어 교육의 목표 63
2. 한국어 연어 교육의 내용 66
2.1. 원형적 연어의 형태 인식 67
2.2. 개방적 연어의 의미 탐색 68
2.3. 전형적 연어의 맥락 활용 69
3. 한국어 연어 교육의 방법 70
3.1. 텍스트 제시를 통한 연어 확인 72
3.2. 명시적 설명을 기반으로 한 의미 확장 76
3.3. 실제 담화 맥락에서의 수행 82
4. 한국어 연어 교육의 실제와 효과 86
4.1. 한국어 연어 교육의 실제 86
4.2. 한국어 연어 교육의 효과 89

Ⅴ. 결론 92


참고문헌 95
부록 105
Abstract 13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18696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어 교육-
dc.subject어휘 교육-
dc.subject어휘 능력-
dc.subject연어 교육-
dc.subjectOHE 교수법-
dc.subject확인-
dc.subject확장-
dc.subject수행-
dc.subject영어권 한국어 학습자-
dc.title한국어 어휘 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교육 연구 - 영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eaching Collocations as a Means to Improve Korean Lexical Competence - Focusing on English-Speaking Learner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An, Jea Kyung-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37-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