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연구 :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rpret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소경희-
dc.contributor.author강지영-
dc.date.accessioned2017-07-19T02:54:57Z-
dc.date.available2017-07-19T02:54:57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345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7988-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12. 8. 소경희.-
dc.description.abstract중앙집중식 교육과정 체제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드러남에 따라,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국가교육과정의 역할을 이전과 다르게 규정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최근 국내 교육과정 연구 분야에서도 국가교육과정의 성격과 처방 수준을 새롭게 모색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학교 현장의 반응이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는 사실은 무엇보다 국가교육과정이 현재 교실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국가교육과정을 어떻게 해석하고 실행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국가교육과정이 실제 교실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세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육과정 총론을 어떻게 해석하고 실행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해석하고 실행하는가?
셋째,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을 통해서 볼 때, 국가교육과정은 초등학교 교실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가?

첫 번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교육과정 총론은 학교교육의 방향과 목표, 편제와 시간배당, 운영과 관련된 지침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교사들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고 시·도 및 지역 교육청과 교육과정 부장 교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면서, 이 중 편제와 시간배당만이 실제로 교사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총론이 학교와 교사에게 허용하고자 한 자율권의 범위는 일부 축소되거나 제한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 교사에게 전달된 총론의 편제와 시간배당은 학습영역을 선정하는 측면에서, 그리고 각 영역에 시간을 분배하는 측면에서 교실 수업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총론에서 부여한 학습영역이 학생들에게 다양한 영역을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학습기회의 형평성을 보장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총론에서 지정한 학습시간의 경우에는 시간표를 편성할 때에는 유용한 기준으로 작용했으나, 이를 실제로 운영하는 과정에서는 무의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두 번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교과 교육과정에서는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와 관련된 규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역시 교사용 지도서와 교과서, 교육과정 관련 연수라는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면서, 이 중 내용과 교수·학습 과정 관련 규정만이 교사들이 실제 수업을 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도 교과 교육과정이 교사에게 주고자 한 자율권의 범위가 일부 축소되거나 제한되는 양상을 보였다. 먼저, 교사들은 교과 교육과정에서 지정한 학습내용을 수업의 궁극적인 목표라기보다는, 함께 살아가기 위한 매개이자 출발점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교사들은 각 영역별로 가르쳐야 하는 내용이 학생들과 거리감이 있는 경우에 종종 수업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으며, 이때 어려움을 느끼는 학습내용은 교사마다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규정은 교사들이 자신의 방식이 옳은지를 점검하는 데 활용하는 하나의 지침으로 간주되고 있었다.
세 번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천은 국가교육과정이 실제 교실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이 향후 어떠해야 하는가와 관련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먼저, 국가교육과정은 초등학교 교실에서 각기 다른 세 가지 역할, 즉 무의미한 역할과 긍정적인 역할, 부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에 두 가지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첫째, 국가교육과정에서는 통제해야 하는 것과 제안해야 하는 것을 구분하여 제시하되, 수업의 주체인 교사의 관점에 근거하여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교육과정은 교실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이 곧 교육다운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교과 내용을 상세히 처방하기보다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어떠한 원리들을 추구해야 하는지를 제안하는 것에 주된 역할을 둘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국가교육과정을 초등교사가 어떻게 해석하고 실행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무엇보다 국가교육과정이 실제 교실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드러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이 연구는 국가교육과정의 역할을 살펴봄에 있어서, 학습영역, 학습시간, 학습내용,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규정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역할을 들여다봄으로써, 국가교육과정 내의 여러 규정들이 교실 현장에서 각기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렇지만, 이 연구는 연구 범위의 제한성과 연구 사례의 특수성, 연구자의 전공 배경으로 인한 한계를 갖는다. 먼저, 이 연구의 범위는 초등학교 6학년에 한정되어 있으며, 교과의 경우에도 국어, 수학, 사회, 도덕 교과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학교급과 학년, 교과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범위의 사례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는 세 명의 사례만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를 모든 초등교사의 이야기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위험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국가교육과정이 교실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보다 풍성하게 보기 위해서는 앞으로 이 연구의 사례와 다른 특성을 가진 사례들을 다루는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연구가 가진 세 번째 한계는, 연구자의 전공이 교육학인 까닭에, 교과 교육과정의 역할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개별 교과의 독특성과 고유함에 주목하기보다는 여러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측면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차마 주목하지 못한 개별 교과 교육과정의 차이가 있다면, 교과교육 연구자들이 후속 연구를 통해 이를 보완해주길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국가교육과정이 수행하는 역할을 교사의 관점에서 풀어내고 있지만, 교사의 관점 못지않게 학생의 관점에서 국가교육과정의 역할을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
dc.description.abstractABSTRAC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rpretation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Curriculum

Kang, Ji-young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Recently, Korea has redefined the rol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 to increasing problems of centralized curriculum. For the issues, many curriculum scholars have begun to explore how to change the natur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level of its prescription. In contrast to the new efforts, the fact teachers' responses are not favorable implies that we need to investigate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eachers interpret and implement the national curriculum and by doing so, we attempt to fathom the actual role of the national curriculum 'within' the individual classroom.. To achieve the aim, the study copes with three essential research questions in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1) How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rpretate and implement on the general national curriculum?
2) How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rpretate and implement on the subject curricula?
3) In the light of the teachers' interpretation and implementation, what are the rol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individual classro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the general national curriculum it only takes a role as "time-allotment" in classrooms. This means although it manifests some other educative purposes, principles, and guidelines the most influential part of it is the time arrangement. This is because the general curriculum has been transmitted not to teachers in classrooms respectively, but to only head teachers and the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
dc.description.abstractwhich they, then, deliver it to individual teachers. In the process of the indirect delivery, the range of teacher autonomy which is initially intended in the general national curriculum is minimized or restricted. In classrooms the time-allotment, transmitted indirectly to teachers, has come into effect on selecting learning areas and distributing class time to each of them. Teachers do recognize that the learning areas assure the equality of learning opportunity by providing students with various experiences. The "class time" in the general national curriculum is a useful standard to organize the classroom timetables but in fact teachers regard it meaninglessly because of its lack of reflection on dynamic situations in classrooms.
Second,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tudy, the subject curricula clearly present some guidelines related to the nature and the goal of subjects and assesment. However, it is only "subject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at have influenced on teachers.. It is because the subject curricula are partially transmitted to teachers through textbook, teacher guidelines, and in-service training. As the general national curriculum, this process causes, thus, the range of teacher autonomy to be reduced or constrained. Teachers regard the subject contents as not only a starting point but also a medium for "living together" in classrooms, rather ultimate aims of their teaching. From this reason, facing a gap between subject contents and students' life teachers have a struggle to teach. And the contents that they have troubles vary from teacher to teacher. Meanwhil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s considered to be 'a suggestion' that can be used for checking their own teaching styles.
Third, the interpretations and implementations by the three participant teachers provid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First of all, it turns out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plays three roles in classrooms: meaningless role, positive role, negative role.
It raises a necessity to distinguish between what is to be 'controlled' and what is to be 'suggested' on the ground of teachers' perspectives as they are the agent of the class. Also to realize 'authentic educatio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needs to avoid specifying guidelines and strict prescription and instead it has to weigh more on proposing 'procedural principles' which teachers can pursue under circumstances of their teaching and learning.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how the national curriculum influences actually to teachers in the classroom. Second, it illuminates different role of each part in national curriculum, classifying the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into four parts: learning areas, time, subject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limitations of the scope of research, the speciality of the cases, and the limitations of researcher's background. Thus further researches needs to investigate various cases uncovered in this study, especially another grades, school, teacher and needs to reveal the differences of each subject curriculum. Finally, further researches needs to show the role of national curriculum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but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6
1. 연구 방법 6
2. 연구 절차 7
가. 연구 참여자 선정 7
나. 자료 수집 10
다. 자료의 분석과 해석 12

Ⅲ. 이론적 배경 16
1. 세 가지 교육과정 설계 모형 16
가. 목표 모형 17
나. 내용 모형 18
다. 과정 모형 20
2. 국가교육과정의 성격 21
가. 기준으로서의 교육과정 22
나. 지침으로서의 교육과정 24

Ⅳ. 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26
1. 학습영역에 대한 총론의 의도와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28
가. 교실의 학습영역에 대한 교육과정 총론의 의도 28
나. 교육과정 총론의 의도가 교사에게 전달되는 과정 30
다. 총론의 학습영역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33
2. 학습시간에 대한 총론의 의도와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37
가. 교실의 학습시간에 대한 교육과정 총론의 의도 38
나. 교육과정 총론의 의도가 교사에게 전달되는 과정 39
다. 총론의 학습시간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43

Ⅴ.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50
1. 학습내용에 대한 교과 교육과정의 의도와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51
가. 교실의 학습내용에 대한 교과 교육과정의 의도 51
나. 교과 교육과정의 의도가 교사에게 전달되는 과정 52
다. 교과 교육과정의 학습내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56
2.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교과 교육과정의 의도와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66
가. 교실의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교과 교육과정의 의도 66
나. 교과 교육과정의 의도가 교사에게 전달되는 과정 69
다. 교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72

Ⅵ.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을 통해서 본 국가교육과정의 역할 80
1. 교실 수준에서의 국가교육과정의 역할 80
가. 무의미한 역할 80
나. 긍정적인 역할 83
다. 부정적인 역할 84
2.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85
가. 통제해야 하는 것과 제안해야 하는 것의 구분 85
나. 국가교육과정의 역할 재규정: 내용 중심에서 과정 중심으로 88

Ⅷ. 요약 및 결론 93
1. 요약 93
2. 결론 95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583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국가교육과정-
dc.subject국가교육과정의 역할-
dc.subject국가교육과정 기준-
dc.subject국가교육과정 지침-
dc.subject2007 개정 교육과정-
dc.subject.ddc370-
dc.title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해석과 실행 연구-
dc.title.alternative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rpret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ang, Jiyoung-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xii, 108-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