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결혼 상태에 따른 취업여성의 건강 및 건강행위 비교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선희

Advisor
김호
Major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취업여성결혼 상태건강건강행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2013. 2. 김호.
Abstract
본 연구는 결혼 상태에 따른 취업여성의 건강 및 건강행위를 비교 연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2001년과 2007년~2009년 질병관리본부와 한국사회연구원이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혼 취업여성의 경우, 2001년과 2007년~2009년에 모두 미혼 취업여성에 비해 평균 연령이 높고(p<0.01), 교육 수준이 낮고(p<0.01), 월 평균 가계 소득이 높았으며(p<0.01) White-collar형 직업 형태는 다소 낮았다(p<0.01).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2. 신체적 건강의 경우, 기혼 취업여성이 미혼 취업여성에 비해 2001년에는 비만 이환율(p<0.01)과 근골격계 질환(p=0.03), 우울증 이환율(p=0.37), 요실금 이환율(p=0.45)이 높았으며, 2007년~2009년에는 우울증 이환율(p=0.17)과 요실금 이환율(p<0.01), 암 이환율(p=0.23), 중이염 이환율(p=0.26)이 높았다.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3. 정신적 건강의 경우, 2001년에는 미혼 취업여성의 스트레스가 높은 경향이 있었고, 2007년~2009년에는 기혼 취업여성의 스트레스가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이 차이는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4.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후, 결혼여부가 건강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조사 결과, 2001년에는 미혼 취업여성은 기혼 취업여성에 비해 불충분한 운동을 할 확률이 0.6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CI:0.35-1.36).
2007년~2009년에는 미혼 취업여성은 기혼 취업여성에 비해 불충분한 운동을 할 확률이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CI:0.98-2.09),, 불충분한 건강검진을 받을 확률이 2.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CI:1.42-3.35). 이는 최근 미혼 취업 여성의 건강행위가 과거에 비해 안 좋아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5. 결혼 여부가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한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분석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혼 취업 여성의 정신적 건강중 우울증, 자살 시도는 감소하였고, 신체적 건강 중 비만, 근골격계 질환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신적 건강 중 스트레스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is to compar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in female workers according to marriage status.

The data used in this was from the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mpared to unmarried female workers, married female workers is older in mean age(p<0.01) and low educational attainment(p<0.01) and higher family monthly income (p<0.01) and less number of white collar(p=0.01) in both 2001 and 2007~2009.

2. For physical health status, compared to unmarried female workers, married female workers has higher prevalence of obesity(p<0.01) and musculoskeletal system disease(p=0.03), depression(p=0.37), urinary incontinence(p=0.45), cancer(P=0.23) and otitis media(P=0.26). However thi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For mental health status, while unmarried female workers feel more stressful in 2001, married female workers feel more stressful in 2007~2009. However thi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for heath behaviors, in 2001, odds ratio of irregular exercise in unmarried female workers is 0.67(CI:0.35-1.26). In 2007~2009, odds ratios of irregular exercise in unmarried female workers is 1.5(CI:0.98-2.29) and odds ratio of insufficient physical health examination is 2.18(CI:1.42-3.35). Therefore, it can be regarded that nowadays, health behaviors of unmarried female worker got worse than before.

5.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mental and physical health, compared to 2001, in 2007~2009, odds ratio of mental health(melancholy and suicidal attempt) in married female workers decreased. However, odds ratio of physical health(obesity and musculoskeletal disease) in married female workers increased. For stress of mental heatlh, there is no change of odds ratio between 2001 and 2007~2009.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2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