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스마트밴드의 건강증진효과 평가: 대사증후군 관리대상자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영태-
dc.contributor.author김지인-
dc.date.accessioned2017-07-19T03:18:49Z-
dc.date.available2017-07-19T03:18:49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264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37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보건학 전공, 2016. 2. 조영태.-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지역사회 건강증진 프로그램(대사증후군 관리사업)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기존의 지역사회 대사증후군 관리 사업에서 missing data 문제나 사후관리 미비 등의 단점이 지적되어 왔으나 그 해결방법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한 와중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스마트밴드)와 건강관련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등장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국민건강 database를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직까지 이와 관련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스마트밴드 사용이 실제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신체구성 변인의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서초구 소재 사업장 3곳의 대사증후군 관리대상자를 6개월 동안 follow up study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3개월에 한 번씩 정기적인 검진을 받았으며, 이들 중에서 자발적 참여자에게만 스마트밴드를 배부하였다. 최종적으로 스마트밴드 6개월 사용자인 실험군1(n=38), 스마트밴드 사용 중도포기자인 실험군2(n=22), 스마트밴드 미사용자인 대조군(n=46)의 총 106명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스마트밴드의 착용여부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개수의 변화를 빈도분석한 결과, 실험군1에서는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3개 이상이 기준치를 넘는 사람의 수가 11명(28.9%) 줄어들었으나 실험군2와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각 그룹별의 사전사후 계측값의 변화율을 비교해보았을 때에는, 체중(p=0.014), 체질량지수(BMI, p=0.006), 복부둘레(p=0.033), 중성지방(p=0.061), LDL-C(p=0.039)로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마트밴드 사용자의 그룹 내 비교로 한 달 평균 걸음 수가 사후 신체계측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것에서는 체중(p=0.011), 체질량지수(BMI, p=0.075), 복부둘레(p=0.026), 중성지방(p=0.034), HDL-C(p=0.038), 공복혈당(p=0.054), 수축기혈압(p=0.059)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서초구 보건소와 함께 스마트밴드 활용에 관한 특화된 설문지를 제작하여 스마트밴드 사용자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밴드의 사용이 평소 걷기습관 개선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이는 41명(76%)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또한 스마트밴드의 기능 중에서 운동실천 동기강화에 도움을 준 요인과 활용의 문제점 등에 대한 설문결과를 수집하여 향후 연구에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 시대에 걸맞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의 만성질환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초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며, 지역사회 기반의 국민건강자료 수집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 배경 5
제2절 연구의 목적 9

제2장 문헌고찰 및 연구가설 10
제1절 문헌고찰 10
1. 신체활동량 증가를 통한 건강증진 10
2. 신체활동량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연구 14
제2절 연구가설 16

제3장 연구 방법 19
제1절 연구자료 및 대상자 19
1. 연구 자료 19
2. 연구대상 20
제2절 연구도구 및 주요변수 22
1. 연구도구 22
2. 주요변수 24
제3절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27
제4절 분석방법 28

제4장 연구 결과 29
제1절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9
제2절 연구대상자의 동질성 검증 31
제3절 가설검정 33

제5장 결론 40

제6장 논의 및 제한점 43

참고문헌 51

Abstract 54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946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dc.subject스마트밴드-
dc.subject건강증진 프로그램-
dc.subject대사증후군-
dc.subject지역사회 보건소-
dc.subject모바일 어플리케이션-
dc.subject.ddc614-
dc.title스마트밴드의 건강증진효과 평가: 대사증후군 관리대상자를 중심으로-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55-
dc.contributor.affiliation보건대학원 보건학과-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