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상대적 근육량과 대사증후군 및 구성 요소들 간의 연관성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주헌-
dc.contributor.author김선미-
dc.date.accessioned2017-07-19T03:23:39Z-
dc.date.available2017-07-19T03:23:39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00000000961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470-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보건학전공), 2013. 2. 성주헌.-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근육량이 감소하는 근육감소증 (sarcopenia)은 특히 노인에서 인슐린 저항성, 당뇨, 대사증후군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한 연구에서는 근육감소증 범주까지 포함되지 않더라도, 낮은 상대적 근육량 또한 인슐린 저항성 및 당뇨전단계 (prediabetes)와 연관성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목적: 이번 연구는 19세 이상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상대적 근육량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 weight (%))과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 요소인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공복혈당,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인슐린 저항성 지표와 같은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들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 ~ 2010년에 시행된 제4기 ~ 제5기 1차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했던 12,444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단면 연구를 시행하였다. 복합표본 자료에 대한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상대적 근육량과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 요소들(혈압 상승, 공복혈당장애,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복부비만)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복합표본 자료에 대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교란변수를 통제했을 때 상대적 근육량과 대사증후군의 요소들(혈압, 공복혈당,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인슐린 저항성 지표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분석은 남녀 군으로 층화하여 시행하였으며, 남성은 60세를 기준으로, 여성은 폐경 전후를 기준으로 나눈 그룹에서도 추가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교란변수의 영향을 보정한 뒤, 전체 남성에서 상대적 근육량이 첫 번째 5분위 구간에 속하는 대상자와 비교할 때, 다섯 번째 5분위 구간에 속하는 사람은 대사증후군이 있을 오즈가 0.166배(95% 신뢰구간 0.088-0.272)로 나타났다. 60세 미만 남성에서는 0.184배(95% 신뢰구간 0.117-0.289), 60세 이상에서는 0.132배(95% 신뢰구간 0.073-0.289)로 모두 유의한 음의 연관성을 보였다. 대사증후군의 구성 요소인 공복혈당장애, 혈압 상승,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복부비만 또한 상대적 근육량이 낮을수록 그 위험도가 증가하였으며 60세 미만과 60세 이상의 남자 그룹에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폐경 후 여성에서는 상대적 근육량이 첫 번째 5분위 구간에 속하는 대상자와 비교할 때, 다섯 번째 5분위 구간에 속하는 사람은 대사증후군이 있을 오즈가 0.423배(95% 신뢰구간 0.297-0.602)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상대적 근육량이 높을수록 낮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공복혈당장애, 혈압상승, 고중성지방혈증, 복부비만의 오즈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폐경 전 여성에서는 상대적 근육량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이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남성 및 폐경 후 여성에서는 상대적 근육량이 낮을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높았으며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각각의 구성 요소들과도 음의 연관성을 보였다. 인과성에 대한 명확한 근거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향후 추가적인 경시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 초록 i

I. 서론 1

II. 연구 방법 4
1. 연구 대상자 4
2.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 5
3. 근육량의 측정 및 평가 5
4. 변수들의 측정 6
5. 통계 분석 7

III. 연구 결과 8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
2.상대적 근육량과 대사증후군 및 구성 요소들(공복혈당장애, 혈압 상승,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복부비만)과의 연관성 분석 9
3.상대적 근육량과 대사증후군 구성 요소 및 인슐린 저항성 지표와의 연관성 분석 10

IV. 고찰 11

참고문헌 16
영문 초록 45
부록 4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2535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지 골격근 근육량-
dc.subject근육감소증-
dc.subject대사증후군-
dc.subject.ddc614-
dc.title상대적 근육량과 대사증후군 및 구성 요소들 간의 연관성 분석-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 49-
dc.contributor.affiliation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학전공)-
dc.date.awarded2013-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