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정거래법상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Cartels by Administrative guidance in Competition Law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원우-
dc.contributor.author구나영-
dc.date.accessioned2017-07-19T03:38:55Z-
dc.date.available2017-07-19T03:38:55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324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72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행정법전공, 2016. 2. 이원우.-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에 대한 공정거래법의 규제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행정청의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보험산업에서 행정지도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행정청의 규제를 중심으로 다룬다. 보험업법에 근거한 행정지도로 인하여 보험사업자들이 공동행위를 하게 된 경우, 이러한 공동행위를 공정거래법에서 어떻게 규제할 것인가에 관하여 관련 판례들을 검토하며 연구한다.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의 촉진이라는 공정거래법상의 규제 목적 외에도 다른 공익적 목적을 위하여 여러 경제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보험산업과 같은 규제산업에서는 별도의 법률에 의하여 전문규제기관이 규제를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다른 공익적 목적의 규제가 공정거래법의 규제와 충돌할 경우 공정거래법의 규제만 정당하다고 할 수 없고, 양 규제가 조화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한 조건하에서 공정거래법의 적용을 제외하여 주어야 할 것이다.
입법자는 공정거래법 제58조에서 다른 법령에 따라 행하는 정당한 행위에 대하여 공정거래법 적용을 제외하여 줌으로써 규제의 충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공정거래법 제58조의 해석에 관하여는 여러 견해가 대립하고 있으며,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에 대하여는 위 조항에 의하여 공정거래법 적용제외를 인정한 예가 없다. 그러나 적법한 행정지도에 따라 공동행위를 하게 되었다면, 그 자체로 법령에 따라 행하는 정당한 행위로서 위 조항에 의하여 적용제외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공정거래법 적용제외를 인정하기 위한 요건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를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행정청이 관계법령에 경쟁제한적 규제에 관한 구체적인 근거를 두고 사업자들에게 공동행위를 하도록 행정지도를 하는 제1유형, 행정청이 관계법령에 일반적인 감독권한 규정만을 가지고 사업자들에게 공동행위를 하도록 행정지도를 하는 제2유형, 행정청이 공동행위를 하도록 행정지도를 하지는 않았지만 행정청의 권한 범위 내에서 경쟁제한적인 행정지도를 하였고, 사업자들 각자가 행정지도에 따른 결과 공동행위를 한 것과 마찬가지의 경쟁제한효과를 초래한 제3유형, 행정청이 공동행위를 하도록 행정지도를 하지는 않았지만 행정청의 권한 범위 내에서 경쟁제한적인 행정지도를 하였고 이러한 행정지도를 계기로 사업자들이 별도의 공동행위를 하게 된 제4유형이다. 각 유형별로 공정거래법상의 규제 방식에 차이가 있다. 먼저 공정거래법 제58조 적용제외를 인정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 후, 공정거래법 제58조 요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 비로소 공정거래법 제19조 위반 여부를 따져볼 것이다. 공동행위의 합의가 있었는지, 합의가 있었다면 그 합의가 위법한지, 합의가 위법하다면 그 공동행위에 대한 책임이 있는지 단계적으로 검토하게 된다.
제1유형, 제2유형의 경우, 공정거래법 제58조의 다른 법령에 따라 행하는 정당한 행위에 해당하므로 공정거래법 적용을 제외하여 주어야 한다.
제3유형, 제4유형은 공정거래법 제58조 적용제외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므로 공정거래법 제19조의 규제대상이 된다. 제3유형의 경우, 합의 존재를 부정하거나 합의 추정을 복멸할 수 있을 것이다. 제4유형의 경우, 행정지도의 목적과 공정거래법의 목적을 고려하여 경쟁제한성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위법성을 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위법성이 인정되더라도 책임을 감경하여 과징금 산정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5

제2장 공동행위에 대한 공정거래법의 규제 7
제1절 공정거래법의 규제 목적 7
제2절 공정거래법상 공동행위의 규제 8
1. 공동행위의 규제 목적과 부당한 공동행위의 금지 8
2. 공동행위에 대한 합의의 존재 10
(1) 공동행위에 대한 합의 10
(2) 합의의 추정과 복멸 11
3. 공동행위의 부당성 15

제3장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의 유형과 사례 18
제1절 규제산업과 행정지도 18
제2절 행정지도가 개입된 보험회사간 공동행위 사례 20
1. 자동차 보험료율 공동결정 사건 21
(1) 사실관계 21
(2) 원고들의 주장 22
(3) 법원의 판단 23
(4) 판결의 의의 24
2. 차량서비스 유료화 등 공동결정 사건 24
(1) 사실관계 25
(2) 원고들의 주장 26
(3) 법원의 판단 26
(4) 판결의 의의 27
3. 일반손해보험 보험료율 공동결정 사건 27
(1) 사실관계 28
(2) 원고들의 주장 29
(3) 법원의 판단 29
(4) 판결의 의의 31
4. 단체상해보험의 공동위험률 등 공동결정 사건 32
(1) 사실관계 32
(2) 원고들의 주장 33
(3) 법원의 판단 34
(4) 판결의 의의 36
5. 변액보험 GMDB, GMAB 수수료율 공동결정 사건 36
(1) 사실관계 37
(2) 원고들의 주장 38
(3) 법원의 판단 38
(4) 판결의 의의 39
6. 소주제조사들의 출고가격 인상 공동결정 사건 40
(1) 사실관계 41
(2) 원고들의 주장 42
(3) 법원의 판단 42
(4) 판결의 의의 43
제3절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의 유형 및 유형별 법적 쟁점 46
1.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의 네 가지 유형 46
2.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 사례들의 유형별 분류 47
3. 네 가지 유형별 문제되는 법적 쟁점 49

제4장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와 공정거래법의 적용제외 52
제1절 공정거래법의 적용제외 52
1. 규제산업에서의 공정거래법 적용문제 52
2. 규제산업에서 공정거래법 적용제외의 필요성 52
(1) 이익집단의 영향력 53
(2) 시장실패에 대한 대처 54
(3) 다른 국가정책에 의한 입법자의 결단 55
3. 현행 공정거래법의 적용제외 조항 57
(1) 일반적인 적용제외 조항 57
(2) 금융‧보험업의 적용제외 조항 58
(3) 개별 법률에서의 적용제외 조항 59
제2절 각국의 경쟁법 적용제외 61
1. 미국 61
(1) 제정법으로 명시한 적용제외 61
(2) 판례에 의해 인정된 적용제외 62
2. 유럽연합(EU) 66
3. 일본 67
제3절 보험산업 영역에서 공정거래법 적용문제 70
1. 보험산업의 특성 70
2. 보험산업의 규제 72
3. 보험산업 영역에서 공정거래법 적용문제 74
4. 외국의 보험업에 대한 경쟁법 적용제외 80
(1) 미국의 McCarran-Ferguson Act 80
(2) EU의 일괄면제규정(block exemption regulation) 81
(3) 독일의 경쟁제한금지법(GWB) 83
제4절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와 법령에 따른 정당한 행위 84
1.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로서 제1유형과 제2유형 84
2. 행정지도와 법률유보 85
3. 공정거래법 제58조의 적용요건 88
4.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에 공정거래법 제58조를 적용하기 위한 요건 94

제5장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와 공정거래법 제19조 98
제1절 행정지도가 개입되었으나 공정거래법이 적용되는 공동행위 98
1.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로서 제3유형과 제4유형 98
2.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에 대한 단계별 검토 99
제2절 공동행위에 대한 합의의 부존재 102
1. 행정지도에 따른 행위와 합의의 존부(存否) 102
2. 합의 추정의 복멸 103
제3절 공동행위의 위법성 부정 106
1. 공동행위의 위법성을 부정하기 위한 요건 106
(1) 공정거래법상 목적을 고려하여 공동행위의 위법성 부정 106
(2) 친경쟁적 효과를 고려하여 공동행위의 위법성 부정 110
(3) 공정거래법 적용제외와 공동행위 위법성 부정의 구별 111
2. 행정지도의 비권력적 특성과 위법성 조각 112
3. 행정지도 고유의 위법성 문제 115
제4절 공동행위에 대한 책임 감면 117

제6장 결 론 121

참고문헌 126

Abstract 13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154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공동행위-
dc.subject행정지도-
dc.subject공정거래법-
dc.subject적용제외-
dc.subject규제-
dc.subject.ddc340-
dc.title공정거래법상 행정지도가 개입된 공동행위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Cartels by Administrative guidance in Competition Law-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oo Nayoung-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34-
dc.contributor.affiliation법과대학 법학과-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