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문화예술의 가치 및 효과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지원 심의기준 및 평가기법 연구 : A Study on Review Criteria and Evaluation Tools for Arts and Culture Grant Program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형민-
dc.contributor.author최미숙-
dc.date.accessioned2017-07-19T03:44:27Z-
dc.date.available2017-07-19T03:44:27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477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79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미술경영, 2012. 8. 정형민.-
dc.description.abstract공공기금 사용에 있어서 효율성과 책임성을 제고해야한다고 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는 문화예술분야도 다르지 않다. 하지만 공공성의 원칙과 효율성의 추구는 문화예술 고유의 가치와 종종 상충되며 이러한 딜레마는 문화예술 지원사업에서 잘 드러난다. 정부와 공공기금에 크게 의존하는 우리나라 문화예술계의 현실에서 문화 예술 지원의 향방이 문화예술계의 지형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종 수혜자의 입장에서 가치와 영향을 창출하지 못하는 문화예술 지원사업은 문화예술계 뿐 아니라 공공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우리 문화예술계는 자체적으로 일관된 기준을 가지고 문화예술의 가치와 효과를 측정해 본 경험이 없다. 하지만 가치와 효과에 대한 입증 없이 문화예술에 대한 논의를 심화시키고 확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지원사업을 개선하는 것 역시 단지 사업절차나 사업구조의 개선, 프로그램 개발의 관점이 아니라 문화예술의 가치와 영향에 대한 이해와 이에 대한 패러다임 정립의 문제이다. 이 논문의 목표는 전략적 성과창출의 관점에서 문화예술 지원사업의 심사와 평가 부분에서 가치 창출 방식을 고도화하여 문화예술을 통해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먼저 심의기준을 개선하여 가치와 효과 창출이 가능한 프로젝트를 선별할 수 있게 하고, 효과 측정기법을 도입하여 사업의 효과와 영향을 측정하여 사업 성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의 가치와 효과를 창출하는 지원사업으로 개선하여 기금 사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대상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예진흥기금 보조사업으로 심의와 평가 부분에서 문화예술의 가치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구조인지 분석한 후, 개선안을 제시하여 사업의 기능 및 역할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 문화예술의 가치와 효과, 영향에 대한 국내외 선행 연구를 살펴본 뒤, 문화예술의 영향을 정리한 제시한 조슈아 게츠코우(Joshua Guetzkow)의 분석틀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의 효과를 정신 및 신체적 효과, 인지적 효과, 대인관계 효과를 포함하는 개인적 효과와 경제적 효과, 문화적 효과, 사회적 효과를 포함하는 사회적 효과로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문화예술의 가치와 효과 창출의 관점에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수행하는 문예진흥기금 보조사업의 심의와 평가부분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같은 부분을 중심으로 미국의 예술진흥기금(National Endowments for the Arts, NEA), 영국 예술위원회(Arts Council England, ACE)의 문화예술 지원사업과 비교를 통해 문예진흥기금 보조사업의 문화예술의 가치와 효과 창출 부분이 미흡하며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5장에서 문예진흥기금 보조사업을 통한 문화예술 가치와 효과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문화예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사업을 선정할 수 있는 심의기준안을 제시하였다. 그런 다음 지원사업에 걸맞는 정교한 평가모형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평가기법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였다. 특히 2장에서 논의한 문화예술 효과 분석틀에 따라 정신 및 신체적 효과는 수명가치추정법, 인지적 효과와 대인관계 효과는 관람자태도조사, 경제적 효과는 경제적 영향분석법, 임의가치측정법, 선택모형법, 여행비용측정법, 문화적 효과 및 사회적 효과는 기술기법으로 측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을 통해 문화예술 지원사업의 심의기준을 고도화하고 평가기법을 도입하여 문화예술이 개인과 사회에 미칠 수 있는 가치와 영향을 극대화하고, 공공기금의 기능과 역할을 다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Demand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promoting responsibility in the use of public funds is a global trend. The arts and culture field is not an exception.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principle of public interest and pursuit of efficiency often conflict with the intrinsic value of arts and culture. Such a dilemma is clearly revealed in arts and culture support programs.
Given the reality of Korea's arts and culture circle whose growth is heavily dependent on the government and public fund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support for the sector may have a significant potential impact on the landscape of the field. In this context, support projects that do not create values in arts and culture have a potential to cause harm not only to the field but also to the public in general, the ultimate beneficiaries of such projects.
Korea's arts and culture circle had no experience in measuring the value and effects of arts and culture activities with its own consistent standards. Without proving their value and benefits, it is very difficult to deepen and expand discussions about them. Improving such support programs is not simply about upgrading the process of support projects, project structure, 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but about understanding the spreading effect of the value and effects of arts and culture, as well as about establishing paradig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pgrade the effectiveness of arts and culture support projects by advancing review criteria to select those project which can create more value and effects and by adopting effective measurement techniques in the respect of the creation of more value and effects. Through such efforts, it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maximiz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ulture and Art Promotion Fund.
This study dealt with the Culture and Art Promotion Fund supplementary project operated by the Arts Council Korea and analyzed whether the project is based on the structure through which the effects of arts and culture can be achieved in terms of the creation of value and effects. In the second chapter,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es on values, effects, and influences of arts and culture and suggested a framework that divides effects into two categories: individual effects including mental and health, cognitive and interpersonal ones and social effects including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ones based on the framework of individual and community impacts by Josua Guetzkow. Then in the third chapter, to see the effect creation of arts and culture, the Culture and Art Promotion Fund supplementary project operated by the Arts Council Korea was analyzed in terms of its screening and evaluation standards. Comparing Korea's case with the National Endowments for the Arts (NEA)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Arts Council England (ACE) of the U.K., this study pointed out that Korea's case is insufficient in creating values and effects in culture and art, and the needs to be changed in the fourth chapter.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finally suggested a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values and effects of arts and culture. It examined various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evaluation and suggested that elaborate evaluative tools well-matched to the framework of individual and social effects discussed in chapter 1 are needed. It suggested Quality Adjusted Life Years(QALY) for mental and health effects
-
dc.description.abstractAudience Attitude Survey for cognitive and interpersonal effects-
dc.description.abstractEconomic Impact Analysis(EIA), Cognitive Valuation Methods(CVM), Choice Modelling(CM) and Travel Cost(TC) for economic effects-
dc.description.abstractand Narrative Methods for cultural and social effects.
By doing so, I hope the study could contribute to maximizing value and effects of arts and culture to the individuals and the public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in the use of public funds for arts and culture in Korea.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초록
표 목차

1장 서 론 1
1절 연구배경과 목적 1
2절 연구방법과 내용 2
3절 연구의 전제 및 한계점 3

2장 문화예술 가치 연구 4
1절 문화예술 가치 선행연구 4
2절 문화예술 효과 분석틀 선행연구 11
3절 예술의 영향 분석틀 제시 및 활용 14

3장 가치의 관점에서 지원사업 분석 16
1절 분석대상 17
2절 심의기준 19
3절 사업평가 26

4장 지원사업 해외사례 비교분석 29
1절 분석대상 29
2절 미국예술진흥기금(NEA)분석 30
3절 영국예술위원회(ACE)분석 36

5장 지원사업 개선방안 47
1절 심의기준 48
2절 평가기법 52
3절 향후 과제 62

참고문헌 64
Abstract 7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359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문화예술 지원사업-
dc.subject문예진흥기금-
dc.subject문화예술 가치와 효과-
dc.subject심의기준-
dc.subject평가기법-
dc.subject가치평가-
dc.subject영향평가-
dc.subjectNEA-
dc.subjectACE-
dc.subject조슈아 게츠코우(Joshua Guetzkow)-
dc.title문화예술의 가치 및 효과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지원 심의기준 및 평가기법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Review Criteria and Evaluation Tools for Arts and Culture Grant Program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Misook Choi-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i, 73-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대학 협동과정미술경영-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