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불확정성을 바탕으로 한 회화 공간의 이중적 구조화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인영

Advisor
김형관
Major
미술대학 서양화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간의 구축암시우연적맥락의 충돌이미지 지각인식의 가변성모호함공간과 평면불연속적 공간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양화과, 2012. 8. 김형관.
Abstract
본인의 작업은 본다는 감각과 안다는 인식 사이의 불일치를 깨닫고, 회화적 환영에 불신을 갖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본인은 지각과정에 대한 무의식적 수용을 중단하고 보고, 그리고, 그것을 다시 보는 과정에 개입하는 것들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본 논문에서는 본인이 작업의 주요 특징으로 모호함을 선택하게 된 이유와 암시적인 공간을 위한 구조화 방법, 표현상의 특징 등 문제의 인식부터 주제의 실현, 결론에 이르기까지 작업을 풀어내는 과정을 체계화하였다.
이미지에 대한 지각은 대상을 있는 그대로 접수, 기록하는 수동적인 과정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지각하는 주체와 그를 둘러싼 세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대상이 자신에게 주는 의미를 파악하는 적극적인 창조 활동이다. 이런 사고 작용은 작업의 제작과정 뿐 아니라 감상 시에도 끊임없이 일어난다. 감상자는 작품으로부터 특정한 것을 떠올리도록 제시된 신호를 받아 그림을 해석한다. 이 때, 그는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대상을 인식하게 되는데, 이는 인식의 주관적인 면을 구성할 수 있는 배경이 된다. 본인은 이와 같은 인식과정에서 서로 다른 맥락들이 만들어 내는 혼동을 이용하여 공간의 암시를 이루고자 한다. 본인의 작업에서 이미지의 불확정성은 암시적 공간 구축이라는 목표의 출발 지점이자 작업 전반에 걸친 방법론의 근거라고 할 수 있다.
본인은 에나멜 페인트의 물성을 이용해 형태를 생성하고, 이를 흘리는 방법을 통해 작업 과정에 우연성을 개입시킨다. 그렇게 생성된 에나멜 얼룩들은 쌓거나 겹치는 방법으로 조합되어 공간의 층을 만들고, 이 덩어리들은 다시 모여 화면 속에서 불연속적이고 모호한 공간을 이루게 된다. 이것은 모호한 공간을 재현하는 것이라기보다 모호하게 읽힐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일이라 할 수 있다. 화면의 구조화에 힘입어 얼룩들은 비어있는 화면에 암시적 공간을 부여하게 되고, 이로써 2차원의 평면위에 공간의 구축이 이루어진다. 이런 요인들이 작용하는 본인의 작업은 시각적으로 뚜렷하고 강한 물질로 이루어진 허물어질 듯 약한 풍경 이미지라 할 수 있다. 이 이미지는 기록된 경험들과 현재적 지각이 만나는 지점이 되어서야 비로소 선명해지며, 사실상 보는 이에게 관련된 것으로 환원되기 때문에 다양한 이미지 해석이 가능해진다. 이 때, 공간에 대한 인식은 비단 화면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중력의 방향에 대한 유추와 물질적 상상력에 힘입어 화면 밖, 물리적 공간으로도 확장된다.
본인의 작업은 기존의 그림들에서 읽어낸 의미를 재구성하여 본래의 맥락에서 탈의미화 시키는 것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이미지가 원래의 의미로부터 분리되어 다시금 다양한 의미 대입이 가능한 상태로 돌아갈 때, 이것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결과는 우리의 시각 경험을 재구성하게 된다. 결국 본인이 암시적 공간을 구축하는 것은 새로운 인식의 공간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My work begins from realizing the discord between the sense of seeing and the perception of knowing, and having a distrust in the painterly illusion. I attempt to stop unconscious reception of the perceptive process, "look," "paint," and then question the things that intervene in the process of "looking again." In this thesis I systematically presented the process of how I unravel my work, from perception of the problem, realization of the theme, and to conclusion, including the reason why I chose obscurity as a main characteristic of my work, how I structure suggestive space,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Perception of an image does not end in just the passive process of accepting and recording an object as it is. It is an active creation proces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given by the object through endless interaction between the subject of perception and the world surrounding him/her. Such thought process takes place endlessly not only in the production of the artist's work, but also during appreciation by viewers. Spectators interpret the paintings by receiving signals designed to make them think of certain things as they look at the works. At this time, the viewer perceives the object based on a reflection of his/her own experience, which serves as a background to compose the subject aspect of perception. My goal is to use the confusion that takes place in such perceptive process as different contexts collide, thereby forming a suggestive space. In my work, the uncertainty of the images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goal of "building suggestive space," and the grounds for the methodology I use throughout my work.

Through the method of us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enamel paint to create shapes and letting them flow, I bring coincidence into the work process. The so created enamel stains form layers of space by being stacked up or overlapped, and these clusters of paint gather to establish discontinuous and obscure expressions of space on the picture-plane. This is "building a structure" that can be read obscurely, rather than "representation" obscure space. Empowered by the structuring of the picture-plane, the paints stains give "suggestive space" to the "empty picture plane," and consequently a space is built on the two-dimensional plane. My works, in which such factors take motion, are vulnerable landscape images consisting of visually clear and powerful matter. The images only become clear as the recorded experiences meet with present perceptions, and because this is reduced to something related to the viewers, diverse interpretations of the images become possible. In this case, the perception of the space does not take place only within the picture-plane, but is also extended to outside the picture plane, to physical space, owing to analogy of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material imagination.

My work can also be explained as something that re-composes the meanings read from existing works to desematize them from their original context. When an image is separated from its original meaning and is returned to a state where diverse substitution of significances is possible, the result of "new perception" of this recomposes our visual experience. Ultimately, my construction of "suggestive space" is a process of creating a "new space for percep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8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