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색채를 매개변수로 활용한 시각과 후각의 상관관계 연구 : 향수용기의 조형과 향수의 향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목-
dc.contributor.author예사길-
dc.date.accessioned2017-07-19T04:01:20Z-
dc.date.available2017-07-19T04:01:20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305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96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12. 8. 박영목.-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디자인의 이슈 중 하나인 감성디자인은 기능주의와 이성적 디자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함에 있으며, 그 연구가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현재의 사람은 생활을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정신적이고 감성적인 영역에 만족시킬 수 있는 소비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사람의 감성적 욕구를 파악하여 디자인에 적용하는 감성디자인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개념으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기본적인 감각인 오감에 대한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인간의 오감의 시각과 후각은 삶을 살아가는데 매우 중요한 감각이다. 시각은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행위를 결정짓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수단이며, 후각은 감정을 유발시키는 원인의 75%를 차지할 만큼 정서적인 부분을 강하게 자극한다.

따라서 이러한 시각과 후각 중심의 감성디자인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는 색채이다. 색채는 시각적 요소이지만 공감각적 기능의 성향을 띄고있다. 공감각 현상이란 각 감각기관으로부터 다른 형식으로 이루어진 지각이 그 감성에 있어서는 공통된 느낌을 주는 현상을 의미하며 색채는 이러한 공감각 현상을 더욱 강화시키는 촉매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색채를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시각과 후각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색채를 매개변수로 사용하였다. 즉, 조형에 대한 이미지를 형용사로 추출하고 이 형용사에 해당하는 색채를 선별 한 후, 향에 대한 이미지를 형용사로 추출하고 ,추출된 형용사에 대응되는 색채를 고른 다음, 형태에 의하여 추출된 색채와 향에 의하여 추출된 색채를 비교함으로써 형태와 향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9개의 형태와 8개의 향은 각각의 연상색채 특성에 따라 색상에 의해 특성이 나타나는 계열, 색조에 의해 특성이 나타나는 계열, 색상 및 색조에 의해 특성이 나타나는 계열로 나뉜다.

형태1, 형태5 계열의 경우 색상 분포를 보인 반면 집중된 한색을 나타냈고, 형태3, 형태4 계열의 경우 색상 분포를 보인 반면 집중된 난색을 나타냈다. 형태2, 형태6, 형태7, 형태8, 형태9의 경우는 색상의 분포가 분산되었다. 색조의 경우 형태1, 형태5, 형태7에 저 명도, 중-저 채도가 집중되었고, 형태2 고명도, 중-고채도가 집중 됐다. 형태3, 형태4, 형태6, 형태8, 형태9의 경우 색조가 분산 되었다.

향의 연상색채 분류를 보면, Floral 및 Fruity 계열의 경우 색상 분포를 보인 반면 집중된 난색을 나타냈고, Citrus 및 Green은 색상 분포를 보인 반면 집중된 한색을 나타냈다. Oriental, Woody, Aromatic 및 Water는 색상이 분산 되었다. 색조의 경우 Floral은 고명도, 중-고 채도 ,저명도, 저채도를 나타냈고, Oriental, Aromatic, Citrus, Green 및 Fruity는 고 명도, 중-고채도에 집중 됐고, Woody 및 Water에서는 분산된 분포가 나타났다.

둘째, 9개 계열의 형태에 대한 연상형용사의 대응한 형용사 영역 을 조사한 결과 은은한, 우아한, 맑은 > 온화한, 모던한 > 귀여운 > 화려한 > 다이나믹한 순의 분포 빈도가 나타났다. 특히 은은한, 우아한, 맑은, 온화한,모던한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빈도가 나타났다.

8개 계열의 향에 대해 연상되는 형용사와 대응되는 형용사 영역을 조사한 결과, 귀여운 > 화려한, 맑은 > 경쾌한, 온화한 > 우아한, 내츄럴한 > 모던한, 점잖은, 고상한 순의 분포 빈도가 나타났다. 특히 귀여운, 화려한, 맑은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빈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형태(시각)과 향(후각)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론은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다.

형태와 향이 연상되는 색채의 비교 분석을 보면 특정 형태에 대한 특정 향과 관계를 구체적으로 말하기 어럽다. 형태와 향의 상관관계 특징을 살펴보면 향은 특정 향을 연상시키지 못하고 다양한 향을 연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형태는 향과 연관짓기 이전의 상태, 즉, 형용사 이미지에 대해서는 일정한 형용사 이미지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결국 향은 한가지의 향이 다양한 형용사 이미지로 표현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으로부터 향수 등 향이 중요한 상품이나 제품의 경우, 특정한 형태 이미지와의 상관관계가 없어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이 가능하다고 말 할수 있으나 형태는 오히려 구체적인 이미지를 형성시키므로 향수 등의 디자인에 있어 제품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각과 후각의 상관관계의 매개변수를 색채로 놓고 실험검증한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둘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지 않다는 결론이 도출되었으나, 향후 다양한 방법으로 시각과 후각 혹은 청각 등 다양한 감각기관의 자극과 시각의 관계가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연구의 앞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감성지향의 시대에 시각과 후각, 청각, 촉각, 미각 등 다양한 감각이 종합되어 인간에게 만족감으로 주고자하는 서비스, 제품 등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단일 감각기관에 대한 특성 이해만으로는 인간의 복합적인 감성을 만족시키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주요어: 시각, 후각, 색채 매개변수, 향수의 조형, 향

Emotional design is the most popular design topic in 21 Century. These days, people do not just want to live conveniently, and shoppers are directing their purchases toward their spiritual and emotional needs. So its important to cater to consumers emotional desire with designs. Humans 5senses effect peoples emotion that its necessary to research on that.

The visual and olfactory senses are two very important senses when dealing with emotional design. The visual sense helps people to see and judge an item, and the olfactory sense utilizes 75% of a humans emotional cognition.

The intermediary between the visual and olfactory senses is colors. Although, color is a visual element, it also has the ability to arouse our other senses and further amplify their effects. Therefore, if proper colors can be combined with an olfactory or a visual stimulus, then the extent of the emotions generated by the stimulation will be intensified.

This research is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isual and olfactory senses by utilizing color parameters, and it is based on the modeling of perfume containers and the smell of their scents. This study is aimed to clarify the synesthesia between olfaction and visual color through several experiments. The first experiment is to identify the images (adjectives) that are best associated with different types of shape. The second experiment identifies the images (adjectives) that are best associated with the different types of scent. Then, the third experiment includes all the adjectives of shape and scent to then deduce the color by visualizing the adjectives. The final analysis of the color parameters helps us to to see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hape and the fragrance.

The experiments of this study have provided these following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9 shape colors are as follows: Shapes 1 and 5 are concentrated with cold colors. Shapes 3 and 4 are concentrated with warm colors. Shapes 2, 3, 7, 8, and 9 have scattered results. Shapes 1, 5, and 7 have a low value of brightness and an intermediate to low chroma. Shape 2 has a high value of brightness and an intermediate to high chroma. Shapes 3, 4, 6, 8, and 9 have scattered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8 scent colors are as follows: Floral and fruity scents are concentrated with warm colors. Citrus and green scents are concentrated with cold colors. Oriental, woody, aromatic and water scents have scattered results. Floral has a high value of brightness, a low value of brightness, an intermediate to high chroma, and a low chroma. Oriental, aromatic, citrus, green and fruity scents have a high value of brightness and an intermediate to high chroma. Woody and water scents have scattered results.

Here are the 9 shape adjectives in order of frequency. They are listed from the highest to lowest in frequency. Delicate, elegant, fresh > mild, modern> adorable> luxuriant> dynamic. Delicate, elegant, fresh, mild, modern have an especially high frequency.

Here are the 8 scent adjectives in order of frequency. They are listed from highest to lowest in frequency. Adorable> luxuriant, fresh> light, mild > elegant, nature > Modern, gentle, refined. Adorable, luxuriant, and fresh have an especially high frequency.

The results from the three experiments have brought forth this conclusion bel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and olfactory senses is hard to see through the results of the three experiments. The reason for this is because the association of shape is definite, but the association of scent is irregular, so therefore one scent can be associated differently.

In the case of perfume container design, there are no specific principles to their construction because there are various ways to design the shape of a particular container. Also, the shape is associated definitely and that is an important aspect in designing a perfume container as well as other related area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methods to research the human senses. The reason being is that different techniques of research are constantly developing, and the human emotional aim is continuously growing with the 5 human senses. To only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senses in the present cannot satisfy the constantly changing future of the human complexity of emotion.

Keywords: Visual sense, Olfactory sense, Color Paremeters, Shape, Scent
Student Number: 2009-22584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국문초록 I
목 차 i
표목차 iii
그림목차 iv

Ⅰ. 서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2
1.2. 연구내용 및 방법 4
1.2.1. 연구내용 4
1.2.2. 연구방법 4

Ⅱ. 감성디자인에 대한 이해 6
2.1. 감성디자인 정의 및 특징 7
2.2.1. 감성디자인의 개념 7
2.2.2 감성디자인의 발전 9

Ⅲ. 색채의 인지 12
3.1. 색채의 개념 13
3.2. 색채 이미지와 연상 15
3.2.1 색채의 연상 15
3.2.2. 색채의 이미지언어 20
3.3. 색채 공감각 21
3.4. 색채의 분류와 3속성 27

Ⅳ. 시각과 형태의 관계 및 특징 31
4.1. 시각의 특징 32
4.2. 형태의 일반적 이해 34
4.2.1. 형태의 정의 34
4.2.2. 형태의 구성 내용 34
4.2.3. 형태의 구성 요소의 분류 36
4.3. 형태와 색채의 상관성 38

Ⅴ. 후각과 향의 관계 및 향의 분류 39
5.1. 후각의 특징 및 인지 과정 40
5.2. 향의 인식 41
5.2.1. 향의 종류 43
5.2.2. 마이클 에드워즈 (Michael Edwards)의 향 분류 시스템 46

Ⅵ. 색을 매개변수로 시각과 후각 상관관계 49
6.1. 실험 대상 50
6.2. 실험 방법 및 분석 방법 51
6.2.1. 형태 샘플 추출 53
6.2.2. 향 샘플 추출 57
6.2.3. 실험용 형용사와 색채표 조사 58
6.2.4. 1차 실험 형태에 대한 연상 형용사 추출 61
6.2.5. 2차 실험 향에 대한 연상 형용사 추출 66
6.2.6. 3차 실험 형태와 향 추출된 형용사에 대한 연상 색채 추출 71
6.2.7. 형태와 향 이미지로 대응색 조사 75
6.2.8. 색을 매개변수로 형태와 향의 상관관계 분석 86
6.3. 실험 결과 108

VII. 결론 및 향후과제 114
7.1 연구결론 114
7.2 연구의 의미 및 향후과제 116

참고 문헌 117
Abstract 12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27494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시각-
dc.subject후각-
dc.subject색채 매개변수-
dc.subject향수의 조형-
dc.subject-
dc.subject.ddc745-
dc.title색채를 매개변수로 활용한 시각과 후각의 상관관계 연구-
dc.title.alternative향수용기의 조형과 향수의 향을 중심으로-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CXXXII, 132-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