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패션 정보공유를 위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디자인 제안 : Proposal on Social Curation Service Design for Fashion Info Shar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일범

Advisor
윤주현
Major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서비스 디자인소셜 네트워크소셜 큐레이션모바일 콘텐츠쇼핑인터페이스service designsocial networksocial curationmobile contentshoppinginterfac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12. 8. 윤주현.
Abstract
스마트디바이스 사용층 확대로 인해 모바일 콘텐츠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다양한 모바일 콘텐츠가 생산되고 있는 흐름과 더불어 패션 스타일링 콘텐츠가 주목받고 있지만 패션 스타일링 콘텐츠는 온라인 쇼핑 과정의 복잡함과 결제시스템의 문제로 때문에 초기에 성장하지 못한 콘텐츠 중 하나이다.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이나 취향에 따라 패션 스타일링 서비스 및 콘텐츠 디자인이 요구되고 패션 스타일링 콘텐츠를 성장시키기 위한 서비스 디자인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이다.
현재 시대에서는 데이터가 산더미처럼 쌓여있는데 소비자에게 딱 맞는 검증된 정보를 찾는 길은 어렵기 때문에 정보는 많지만 그 속에서 정보 결핍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정보 습득과 소비 과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정보의 양이 많아지고 정보의 생산 주체도 다양해지면서 믿을 수 있는 전문가나 지인인큐레이터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공유하고, 많은 지인들의 추천에 의해 그 중요성과 신뢰성이 검증된큐레이션 된정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서는 정보 분류가 특정 테마와 주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정보의 형태 또한 이미지 등 특정 포맷 중심이므로, 기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대비 정보의 열람과 검색이 훨씬 용이하다. 패션 스타일링은 자기표현의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스타일을 공유하는 사회적인 활동과 연관성이 깊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스타일을 공유하고 관리하며, 구매로 연결되는 서비스를 디자인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접목된 스타일링 콘텐츠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연구하고 그 어플리케이션의 UI를 디자인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지인과 스타일을 공유하여 패션 트랜드를 빠르게 습득하고, 각 개인에게 적합한 패션 스타일링을 추천받는다. 또한 가상 스타일링 기능으로 전통적인 쇼핑 과정에서 타인을 의식하며 불편한 경험을 했던 것과 달리, 마음 편히 스타일의 변신을 시도하는 공간을 받는다. 더불어 사용자의 패션 정보를 DB화가 가능하다. 한편 판매자는 자신의 페이지를 직접 관리하여 상품을 게시하고 구매자와 직접 소통하며 판매상황을 분석하는 솔루션을 제공받는다. 이를 통해 본 사용자가 방대한 스타일링 정보로부터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정보를 선별 및 직접 생산해 관리할 뿐만 아니라 가상의 경험과 직접적 커뮤니케이션으로 구매까지 이어지는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위의 배경과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진행을 위한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였다. 전체적인 논문의 구성과 절차를 명기하였다.
제2장에서는 연구의 토대가 되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에 대해 연구한다.
제3, 4장에서는 패션 스타일링 서비스의 개념을 정의하고, 모바일 쇼핑몰과 패션 SNS의 개념과 특징을 연구한다. 또한 패션 SNS로 분류되는 기존 서비스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서비스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서비스인 DB.Style의 기획 방법과 논리를 밝혀 사용자 정의와 포지셔닝, 가치정의, 서비스 블루프린트와 스트럭쳐 디자인을 설명한다. 아울러 서비스의 어플리케이션인 DB.Style 앱의 UI 디자인을 통해 실제 서비스가 어떠한 방식으로 시각화 될 것인지를 프로토타입으로 표현한다.
제6장에서는 패션 스타일링 서비스 디자인을 연구하고 서비스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과정을 결론적으로 요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DB.Style 패션스타일링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개성, 자아개념, 가치관을 사회적으로 표현하고,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쉽고 흥미로운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연구 과정에서 모바일 콘텐츠 중심의 서비스 디자인 방법에 대한 학술적인 접근이 이루어 졌으며, 서비스 디자인이 실질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인으로 연결되는 흐름이 학술적 연구자 뿐 아니라 실무 기획자와 디자이너에게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mobile content market undergoes a high growth due to increase of using a smart device. With the production of various mobile content, fashion styling content attracts high attention. Fashion styling content used to belong to the non-growing contents in past. The reason was complicated online shopping process and the settlement problem. However, the fashion styling which served as a tool of expressing ones own individuality and image making turned into a megatrend. The remarkable growth of users individualisation triggered the research of content design and fashion styling service which followed the users taste and lifestyle. Nowadays, in a period of the settlement and the infrastructure promoting shopping information, there is an urgent need of service design promoting the growth of fashion styling content.
Social network service brought enormous change in the field of searching information and consumption process. Unlike the traditional method, where the inexperienced customer uses just the one source, SNS provides broader choice. Sharing the information with friends makes the user indirectly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urchase. It can be claimed that sharing ones own style via the social network is strongly connected with social behavior.
This research is focused on analysis of customer leading service related to sharing customers information on social network, e.g. sharing the info on fashion among women customers. The aim is to research the SNS, grafted fashion styling content and service design method by applying the UI design. The user shares his favorite style with friend via his smart device, learns about new fashion trends and receives recommendations related to fashion styling from each person. Unlike the traditional shopping process where the consumer meets the others and experiences various kinds of discomfort, this application offers changing of his style without any feeling of anxiety. Moreover, the user can manage his fashion info and make an analysis too. While the seller managing his website presents a product, purchaser offers a solution related to analysis of sale conditions. The aim of so-called DB.Style service is the users production of new information ranging from the users passive info viewing to the active info producing. Based on this background and aim the research is conducted via the following stages:
First chapter explains the background, aim of research and describes the researchs progress and method.
In the second chapter, the research focuses on design concept and methodology and analyses UX design, the concept of Kano model which became a center of the service design in relation to marketing plan, mobile content and mobile UI design concept, and social network service concept and type.
Third and fourth chapter define the concept of fashion styling service and analyz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mobile shopping mall and fashion SNS. Based on the survey analysis on basic service classified into SNS, the direction of proposed service has been analyzed as well.
Fifth chapter describes the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proposed DB.Styles plan and explains users definition and positioning, value, service blueprint and structure design. The explanation of the working of DB.Style service via flash interaction prototype takes an important part of this chapter as well.
Sixth chapter analyzes fashion styling service design and summarizes the proposed process of service guideline.
Proposed DB.style service enables the user to express his individuality and values and provides an economic benefit to purchaser and seller.
Mobile content as a center of service design is analyzed from academic point of view, however, there is a hope that service design connected with interface design will be a motivation not just for academic but for design and business circles as well.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9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