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양한 층위의 미술-공간/장소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Multiple and Stratified Space/Sit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동하-
dc.contributor.author신지원-
dc.date.accessioned2017-07-19T04:06:11Z-
dc.date.available2017-07-19T04:06:11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00000001845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900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동양화과, 2014. 2. 차동하.-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2010년부터 현재까지 본인이 실험한 작업의 제작 동기와 과정에 대하여 분석하고 논의한 글이다.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내용, 방법, 그리고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인의 작업은 커뮤니티나 장소의 객관적인 속성을 주관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사람들마다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는 공간과 장소의 다층적이고 이질적인 의미를 미술의 형식으로 드러낸 것이다.
인간은 살아온 역사적 경험과 삶의 방식에 바탕이 되는 사상적 배경을 통해 사물을 인식하게 되고, 이러한 인식과정에서 문화적 바탕에 따라 같은 현상도 서로 다르게 받아들인다. 본인의 작업형식을 이루는 미의식과 공간 관념에는 마치 실제로 본인을 둘러싸고 있는 공간이나 장소처럼 전통과 현대의 공간 관념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다. 따라서 본인의 작업을 형성하는데 조형적으로, 또한 총체적 관념으로서 영향을 끼친 전통적인 이념과 현대적 의미의 공간/장소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동양의 전통 공간에 대한 논의는 사물은 홀로 규정될 수 없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상관적 사유를 바탕으로 한 불교의 공(空) 사상과 노장의 자연관을 다루면서 시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술의 고전적인 공간 구성방법은 구도와 연결되는데, 이중 특수하고 우수한 공간 개념은 여백이다. 여백은 조형성과 함께 동양의 사유방식과 정신성이 반영된 것으로 만물을 유(有)와 무(無)의 통일체로 간주하여 무와 유는 서로 상호의존적인 관계로 본다는 노장의 유무관을 바탕으로 한다.
본인의 작업에 영향을 끼친 현대적 의미의 공간/장소에 대한 논의는 장소를 사회적 구축물로 바라보았던 공간 연구자들의 이론에서부터 시작한다. 이들의 철학은 장소의 성격을 맥락적으로 바라보는 본인의 장소에 근거한 작업들을 발전적으로 전개하는 기틀을 마련해 주었다. 공간 철학자들은 장소를 사회문화적 체제로 바라보며 제도화된 공간들이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 이에 대항하는 대안적 공간을 제시하였다. 인간의 참여를 촉구하는 이들의 대안적 공간 개념은 본인이 생각하는 미술의 실천이 지향하는 방향과도 상통하는 의미가 있다. 또한 형식면에서 전시공간 안에 특수한 공간을 만들어내는 설치형식을 주로 차용하는 본인의 작업은 장소로서의 미술이 되게 한다. 그리고 장소나 공간을 작품을 구상하기 전 선행적으로 검토하는 본인의 작업을 장소 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나아가 전통적이고 현대적인 공간 개념의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공간과 장소의 다층적 의미를 어떻게 작품으로 표현하였는지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본인의 작업은 프로젝트 형식을 지니므로, 개별 프로젝트를 공간의 성격과 결부지어 영원한 약속의 공간, 연례의 안부 장소, 이질적인 공공의 장소, 폐쇄된 공간과 개방된 공간, 작업들을 연결하는 공간, 그리고 순차적인 계보로 이어지는 장소라는 주제 안에서 각 프로젝트 작업에 사용된 형식과 방법, 작업동기에 대하여 설명해 나갈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주제를 어떠한 방법으로 더 구체화시켜 발전시킬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 후 마무리 짓고자 한다.


주요어 : 미술에서의 공간/장소, 전통, 현대, 여백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covers the artworks that I have produced from 2010 through the present. The motives of these work procedures are analyzed and summarized throughout this dissertation.

The introduction explains about the purpose, content, method and importance of the research. Expressing objective nature of communities or places in a subjective manner, my works are expressions of art about multiple and stratified significance of space and places which have different meanings to different people.

Humans perceive objects through the lens of their ideological background which form the basis of their historical experience and life style. In the process of such perception, the same phenomenon is perceiv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ithin my perception of aesthetics and spaces,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oncepts of space are intertwined just like a real space or site that surrounds my real life. That is why I would like to explore on the traditional ideology as well as modern theories on space/place that influenced my works not only as a formative art style but also as an overall perception.

In its discourse on traditional oriental space, this paper begins with the Buddhist ideology of Sunyata (the Emptiness of Absolute Substance) and Taoist view on the nature based on the correlative thinking that objects cannot be defined by themselves but are closely connected with one another. More specifically, traditional methods of structuring space in art are related to composition and blank space provides outstanding and extraordinary concept of space. Along with its distinctive formative art style, blank space displays oriental ideologies and spirits based on the Taoist ideology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The ideology regards all things under the sun as a unified organism of being and non-being and the two are presumed to be in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Starting from the theories provided by philosophers who perceived places as social structure, this paper also elaborates on the modern theories on space/place that influenced my works. Their philosophies had a huge influence on my artworks based on place and space as they helped me to perceive places within a context. Understanding places as social and cultural systems, philosophers argued that institutionalized space do influence peoples thinking and behaviors and thus in protest provided alternative space. Their concept of alternative space that encourages peoples participation is also in line with the direction that I think the art should take. Moreover, in terms of formality, I enjoy using the installation format that creates special space within the exhibition space, and it enables my works to become art as a place. Besides, I usually review places or spaces before I start on my works and such activitie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in connection with site-specific art.

In regards to the advanced research on traditional and modern concept of space, this paper discusses how multiple meanings of spaces and sites have been expressed in art. My works are mostly on a project basis and each of them are aligned with various concepts of space under the themes of Space of Eternal Promise, Sites for Exchanging Best Wishes Every Year, Public Places with Disparate Meanings, Closed and Open Space, Space that Connects Works and Places Running through Chronological Genealogy. Specific formats and methods used in each work and motivation that drove the projects will also be explained.

Presenting some possible ways to this subject further, this writing comes to a conclusion.

Keywords: space/place/site in art, tradition, modern/contemporary, blank space(margin,餘白)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Ⅱ. 공간/장소에 관한 논의 4
1. 동양에서의 공간 개념 5
1) 공간 개념의 이론적 배경 6
2) 전통적 공간의 구성방법 10
2. 공간에 대한 현대적 접근 16
1) 20세기의 공간 연구 담론 16
2) 장소 특정적 미술 20

Ⅲ. 다층위의 공간/장소 표현 24
1. 영원한 약속의 공간 27
2. 연례의 안부 장소 32
3. 이질적인 공공의 장소 36
4. 폐쇄된 공간과 개방된 공간 39
5. 작업들을 연결하는 공간 42
6. 순차적인 계보의 장소 44

Ⅵ. 맺음말 47

참고문헌 49
영문초록 5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1301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미술에서의 공간/장소-
dc.subject전통-
dc.subject현대-
dc.subject여백-
dc.subject.ddc759-
dc.title다양한 층위의 미술-공간/장소 표현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xpression of Multiple and Stratified Space/Site-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i, 53-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대학 동양화과-
dc.date.awarded2014-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