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간 재현을 통한 안식의 풍경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andscape of Rest through Reproduction of Space -Based on Jung, Sungyoons work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하순-
dc.contributor.author정성윤-
dc.date.accessioned2017-07-19T04:08:35Z-
dc.date.available2017-07-19T04:08:35Z-
dc.date.issued2016-08-
dc.identifier.other00000013748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901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동양화과 동양화전공, 2016. 8. 신하순.-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본인이 2012년부터 지금까지 안식을 주제로 제작해온 풍경화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풍경의 제작에서 필연적으로 따르는 공간의 재현을 중점으로 그 목적과 시도되었던 조형양식을 분석하기 위한 작품연구 논문이다.

회화에서 재현은 단순한 리얼리티의 복제를 넘어서 창작자의 고유한 목적에 따라 정신적인 가치가 부여된다. 본인의 작품 속에 재현된 공간은 현실의 경험에서 출발하지만, 창작자의 고유한 감정의 실체가 담겨 사실로 존재하는 공간의 차원을 넘어선 철학적인 차원의 사유공간이 된다. 본인의 작품제작은 현실의 특정한 장소에서 얻은 미적체험으로부터 시작하고 있다. 현실의 세계에서 맛보았던 감정의 실체를 찾기 위해서 특정한 장소를 풍경화의 양식에 담아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정서적 주제가 담긴 풍경을 이미지로 제작하는 의미와 그것을 구체화하는 기술인 재현의 목적을 살펴본 다음, 그동안 풍경화를 제작해오며 습득한 조형적인 기초 원리를 파악하는 것과 그것의 적용, 즉 정서적인 목적을 향한 양식적인 특징을 기술하고 있다.

본 논문은 , , , , 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I장에서는 예술의 기능과 목적에 대한 고찰과 함께 경험의 세계와 예술적 경험 사이의 관계를 중재하는 예술가의 역할과 임무를 밝히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술인 재현을 중심으로 본인작품의 연구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II장에서는 본인의 작품에서 나타난 조형적 전개 과정을 본격적으로 분석하기에 앞서, 풍경의 이미지에서 그려진 특정한 공간이 갖는 대상적 의미와 그 특정한 공간을 담아내기 위한 환영의 기술, 즉 재현의 회화적 목적을 밝히고 있다. 또한 과거 동서양의 회화론으로부터 재현에 대한 담론을 살펴봄으로써 동시대 회화에서 그 가치와 목적을 찾아보았다.

III장에서는 본인의 작품에서 드러난 조형적 시도들을 분석하였다. 회화에서 재현된 대상이 정신적인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다시 시각적 환기를 불러일으키는 재현의 기술이 요구되는데, 대상은 다시 색채와 형태, 그리고 물질성이라는 조형요소를 통해서 이미지로 재생된다. 본장은 이런 기초적인 조형요소들이 만드는 다양한 재현의 어휘, 즉 시각적 뉘앙스를 작품제작의 과정을 살펴봄으로 파악하고 있다.

IV장에서는 풍경의 공간이 감각적인 환기의 차원을 넘어서 사유의 공간으로 도약하기 위한 조형적인 적용에 대해 기술하였다. III장에서는 고유한 감정을 만드는 재현의 다양한 어휘에 대해 살펴보았다면, 이번에는 안식이라는 정신적인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재현적인 요소들이 적용되는 사례를 분석하였다. 회화에서 사유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때로는 현실의 감각적인 환기가 억제되어야한다. 이 장에서는 본인의 작품에서 내러티브적 요소를 제거하는 것과 평면성을 강조함으로 환영적인 가치를 넘어 관념에 이르기 위해 시도된 양식적인 변화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V장에서는 앞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고 재현이 본인의 창작과정에서 갖는 의미와 향후 작품의 연구방향을 설정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안식의 풍경에서 재현의 목적 8
1. 안식처로서의 풍경 9
2. 경험적인 공간의 재현 13
3. 모방의 미술에 대한 거부 15
4. 傳神을 위한 환영의 기술 20

Ⅲ. 공간 재현에서의 색채, 형태 그리고 물질성 24
1. 색채의 작용 25
2. 형태의 역할 37
3. 색채와 형태의 관계 41
4. 물질성과 우연 43
5. 사실의 유사성 48

Ⅳ. 환영의 공간에서 사유의 공간으로 51
1. 현실적인 감각으로부터의 고립 52
2. 색채스펙트럼의 제한 56
3. 내러티브의 제거 64
4. 회화의 평면성 68

Ⅴ. 맺음말 73

참고 문헌 76

작품도판 78

Abstract 10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40800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재현-
dc.subject안식의 풍경-
dc.subject색채-
dc.subject형태-
dc.subject물질성-
dc.subject내러티브-
dc.subject평면성-
dc.subject.ddc759-
dc.title공간 재현을 통한 안식의 풍경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Landscape of Rest through Reproduction of Space -Based on Jung, Sungyoons work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ung, Sungyoo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03-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대학 동양화과-
dc.date.awarded2016-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