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再建國民運動의 실패원인에 대한 연구: 동아일보 및 주한미국대사관 電文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auses of Failure of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Based on Dong-A Ilbo and Telegrams of U.S Embassy to South-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태균-
dc.contributor.author분텡-
dc.date.accessioned2017-07-19T04:11:01Z-
dc.date.available2017-07-19T04:11:01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296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904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한국학 전공, 2016. 2. 박태균.-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재건국민운동의 실패 원인, 재건국민운동에 대해 재평가, 그리고 개발도상국으로서 재건국민운동이 갖고 있는 함의가 어떤 것인가를 살펴보기 위해 당시에 지식층 사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매체인 동아일보 기사와 주한미국대사관의 전문을 중심으로 실증적 역사적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재건국민운동은 5․16군사 쿠데타 직후 군정과 지식인이 합쳐서 국민혁명을 추구하기 위해 전개한 관료적 성격을 가진 범국민운동이었다. 국민운동은 국민을 대상으로 두고 사회적 사업 및 운동을 통해 인간개조, 국민계몽, 전통 및 민족 가치 강조, 향토개발 등을 교육에서 찾아 실시하였다. 재건국민운동의 실행주체는 재건국민운동본부인데 국가재건최고회의의 산하기관으로 배치되어 한국 사회 말단위까지 통제 및 관리하기 위한 군정의 작전이라는 평을 받았다. 그래서 재건국민운동은 관주도 운동으로 국민을 동원하지 못하고 실패한 국민운동으로만 평가를 받았다. 특히 재건국민운동에서 지적된 보편적 실패원인은 운동의 출발 배경과 관료적 운영체제로 인한 관제운동 성격, 부족한 사업예산, 정치적 개입, 결과 만들어내는데 부족한 시간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재건국민운동 진행 과정에 관련한 동아일보의 기사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실패 원인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새로운 실패원인으로는 운동의 인사 처리에 있어서 리더십 부족과 도시인 및 지식인들을 설득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주한미국대사관에서의 보고서는 애초부터 운동의 미래가 밝지 못하다고 평가하고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먼저 동아일보의 기사와 비슷한 두 가지 주장은 재건국민운동에 약하고 결단력이 부족한 리더십과 도시인과 지식인을 설득하지 못함을 운동의 실패 원인으로 보았다. 특히 도시지역에서는 자발적 행동주의—Voluntarism을 기반으로 한 재건국민운동이 도리어 도시인 및 지식인들로부터 의심과 불신을 받았다. 그 외에 미국 전문 보고서에서 짚었던 다른 문제들은 국민운동에 대한 명확한 계획 부재와 지역에서 수십 개 지역개발조직과의 경쟁 등에 대한 문제도 있다. 이는 동아일보와 주한미국대사관의 전문을 통하여 사회적 여론 및 열성을 조성하지 못한, 즉 국민을 동원하지 못하여 성공하지 못한 국민운동의 문제점을 보여 준 것이다.
또한 동아일보와 주한미국대사관의 언급을 모두 종합해 보니 아래와 같은 부분을 지적하고 평가할 수 있다.
1. 군정에서는 재건국민운동을 통해 정치적 목적으로 국민을 동원하고자 하였으나 지식인이나 도시인을 동원하지 못하여 전체적으로 국민 동원에 실패하였다.
2. 농촌지역에서는 선거 및 공화당 창당에 재건국민운동 조직 또는 거기에 참여한 사람들을 이용했고, 그 후에는 아무 관심도 갖지 않았다.
3. 재건국민운동을 통해 한국 사회에 맞는 국민형을 추구한 만큼 새로운 문화(서구문화)나 근대성을 국민에게 심어주는 계기가 되고 동시에 그렇기 위한 군정의 노력이 보였다.
4. 그렇지만 이것은 새마을운동만큼 사람들을 동원하는데는 설득력이 없었다. 즉 실제적으로 재건국민운동은 새마을운동처럼 운동에 대한 정부의 계획도, 국민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도 제시할 수 없었다.
5. 특히 정부의 문제는 지역개발사업의 측면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오히려 공화당의 창당에 인적 자원과 선거에 지지를 구하고 확보하는 데 더 신경을 썼다 볼 수 있다.
특히 전체적으로 두 매체를 정리해 보니 다음과 같은 재건국민운동의 두 가지 결정적 한계를 찾을 수 있었다.
1. 동아일보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는 것은 지식인들의 지지를 받지 못한 것이다. 동아일보는 당시 지식인들 사이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매체였기 때문이다.
2. 주한미국대사관의 비판을 받았다는 것은 지역개발사업을 위한 미국의 원조를 기대할 수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의 지원을 받지 못할 경우 당시 상황에서 실질적 지원이 불가능했던 것이다.
물론 재건국민운동이 비록 군정에서 원하는 국민형을 추구하기 위해 군정의 통제 및 관리 수단에 불과했는지 국민을 동원하지 못하여 실패하였지만 국민이 재건국민운동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근대성을 접할 수 있게 하는 계기, 또한 그러기 위한 군정의 노력에 대해 좋게 평가할 수 있다.
모든 것을 감안했을 때 개발도상국에게 재건국민운동이 가진 함의는 이와 유사한 성격을 가진 운동이 제 역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의 정치적 재정적 뒷받침, 또한 이를 위한 충분한 사전 준비와 지원의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이러한 지역개발운동이 성공하기 위해 내부적 지원 및 준비, 특히 강하고 총명한 리더십을 비롯하여 국민의 운동 참여를 위한 여론 조성을 일으킬 수 있는 도시인 및 지식인들의 지지가 필요하다. 특히 재건국민운동에 있어서는 거대하고 중요한 지원국인 미국과 같은 외부적 지원을 확보하도록 신경 썼어야 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aim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which are to re-evaluate and identify the reasons behind the failure of the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NRM) as well as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NRM within the developing country context. Data for this research were extracted from telegrams sent from the US Embassy to the South Korea as well as Dong-A Ilbo – the most influential media among the intellects in South Korea when NRM was being implemented.
NRM was a National Revolution participated by both intellects and military officers post-5․16 coup détat. It is a citizen-oriented movement geared towards reformation in humanity, public enlightenment, mainstream traditions and ethnic values, as well as community development. Although most activities are administered by the NRMs headquarters, being affiliated with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Construction had its own influence on NRM. As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Construction functions an institution which extends the power of the military government to control the society and hence, NRMs inability to mobilize the public caused it to be evaluated as a failed national movement. Various factors were noted as reasons for this failure including lack of business budgets, political intervention, NRMs bureaucratic system, and insufficient time to produce significant results.
Articles related to NRM operations in Dong-A Ilbo is an important source which reconfirms the legitimacy of those reasons to be the source of movements failure. However, those articles also provided essential insight on other factors which have rarely been discussed in this field such as lack of leadership and the failure to persuade both city-dwellers and intellects to support NRM. On top of that, telegrams from the US Embassy has also pointed out several weaknesses in NRM and indicated that the future of this movement is bleak. Similar to reports from Dong-A Ilbo, the telegram pointed out that indecisive and weak leadership as well as lack of appeal to urban dwellers and scholars are the main reason for NRMs downfall. Voluntarism, in particular, was a source for skepticism. In addition, other issues include vague plans as well as high competition with other similar organizations which are more well-established in this field. Articles from Dong-A Ilbo and telegrams from US Embassy highlighted NRMs inability to evoke neither popular enthusiasm nor positive responses to mobilize the public.
Furthermore, collation of information from Dong-A Ilbo and telegrams from the US Embassy has underlined several information:
1. Military administration aimed to mobilize the public for political purposes through NRM but was a failure as it received cold responses from urban dwellers and intellects.
2. Although the NRM and certain group of individuals have contributed towards the organization of Democratic Republican Party (DRP) and became the political base for 1963 elections in rural areas, these regions barely received any attention from the military government post-election.
3. The military governments efforts were also apparent in its aim to create a new image of ideal Korean citizen which embodies a new culture influenced by the Western values through NRM.
4. However, NRM was less effective in public mobilization as compared to Saemaul(New Village) Movement. This is due to the absence of well-designed plans and lack of incentives for participants.
5. Governments problem was that they were more focused on securing human resources to create DRP and support for election instead of on community development.
Overall, both sources pointed out to two decisive limitations of the NRM:
1. Dong-A Ilbo is the most influential newspaper among the intellects and hence, severe criticism from this media illustrates the lack of support from scholars for NRM.
2. U.S. Embassy criticism of the NRM signifies that possibility of receiving U.S. aids for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is low.
Undoubtedly, NRM was merely a tool for the military administration to control and supervise the public. However, they failed to mobilize the people into their ideal citizen image. Nevertheless, it was also a golden opportunity for people to access and experience a Western sense of modernity. Furthermore, military administrations to make this project a success is worth complimenting.
In order to be able to implement NRM effectively in developing countries, they not only require political and financial support but also proper planning is also essential for this purpose. This includes capable and proactive leaders from both urban and rural areas in order to gain an insight to the public opinion. Last but not least, support from an ally which could provide substantial financial assistance, such as the U.S., is also an issue which should not be taken lightl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 론 1
1. 논문의 목적 1
2. 기존 연구 검토 4
3. 논문의 범위와 방법론 7

2. 재건국민운동의 전개과정 12
1. 재건국민운동의 시작 12
2. 재건국민운동의 경과와 실패 15

3. 재건국민운동의 실패 원인에 대한 언론의 분석: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39
1. 동아일보로 보는 재건국민운동을 둘러싼 문제 40
2. 동아일보로 보는 재건국민운동의 실패원인 분석 53

4. 재건국민운동의 실패원인에 대한 주한미국대사관의 전문 분석 66
1. 재건국민운동에 대한 주한미국대사관 전문들 67
2. 주한미국대사관 전문 분석 83

5. 결 론 90

참고문헌 97

Abstract 104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1908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재건국민운동-
dc.subject지역개발-
dc.subject동아일보-
dc.subject전문-
dc.subject5․16 군사 쿠데타-
dc.subject군정-
dc.subject민주공화당-
dc.subjectNRM-
dc.subjectTelegrams-
dc.subject.ddc327-
dc.title再建國民運動의 실패원인에 대한 연구: 동아일보 및 주한미국대사관 電文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Causes of Failure of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Based on Dong-A Ilbo and Telegrams of U.S Embassy to South-Korea-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HEAV BUNTHENG-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 108-
dc.contributor.affiliation국제대학원 국제학과-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