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네덜란드의 한국 전쟁 참전에 대한 연구 : A Research on the Involvement of the Netherlands in the Korean War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태균-
dc.contributor.author닐스-
dc.date.accessioned2017-07-19T04:11:08Z-
dc.date.available2017-07-19T04:11:08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313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904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한국학 전공, 2016. 2. 박태균.-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네덜란드가 한국 전쟁에 참전한 요인과 2 차 세계대전 이전
외교정책의 중심이었던 중립주의 및 2 차 세계대전 이후 대서양향
외교정책이 한국 전쟁 발발 시에 어떻게 공전했는지 논의한다. 네덜란드의
한국 전쟁 참전에 대한 기존연구는 한국에 파견된 병사들의 경험을 서술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에일란드스가 제시한 네덜란드의 한국전쟁
참전의 네 요인 중심으로 분석했다: ㄱ) 네덜란드가 국제법질서 전통적
지지자였던 요인, ㄴ) 네덜란드가 유럽 지역에 미국의 경제적 원조와 안보
보증이 필요했던 용인, ㄷ) 네덜란드가 다른 NATO 회원국가에게 연대감을
ii
표현하고자 했던 요인, ㄹ) 네덜란드가 아시아 지역에 국익을 보존하려고
하였던 요인이 있었다. 위 요인의 타당성 및 한계점이 네덜란드
외교통상부의 1 차 자료를 통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에 대한
네덜란드의 의존성이 네덜란드의 한국전쟁 파병의 주요 요인이라는 점을
밝혔다. 미국은 한반도에서의 악화된 군사 정세로 인하여 네덜란드에 구축함
파견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알렸고 이에 압력을 행사했다. 따라서
네덜란드 정부는 손익분석을 바탕으로 결정을 냈다. 그 결과는 경제적 재활
미국의 지원과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 미국의 안보 보증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네덜란드가 미국 압력에 굴할 수밖에 없었다는 판단이였다. 이
측면에서 네덜란드가 뉴기니를 보존하고자 하는 의도는 네덜란드 정부
고려의 구체적인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결국에는 네덜란드는
한반도에 파병할 결정으로 인해 공산권을 향한 회유정책을 포기하게 되었다.
대서양향 접근과 중립주의 접근이 당시 네덜란드 외교정책에
공존하는 것은 이 점과 큰 연관이 있다. 기존연구는 이 사실을 지금까지
간과했다. 네덜란드는 냉전 시작으로 현성된 양극 세계질서의
구조(framework) 내에 중립주의의 전통을 유지하려 했다. 국제법질서의
보호자로써 현실주의적 정치에 자유주의 접근을 순진하게 시행하고 싶었다.
미국 외교정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유지하였는데 대서양향 구조에서
정책을 취해야 했다. 위에서 설명한 국익을 보존하기 위해 미국의 지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러므로 연루 (entrapment)에 대한 네덜란드 정부의
우려가 진실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iii
더욱이 중국 문제에 대한 네덜란드 외교정책과 미국 외교정책 간의
논쟁점은 흥미로운 사실을 드러냈다. 유엔군이 38 도선을 건너간 것은
대체로 중국이 한국 전쟁에 개입한 이유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유엔군이 38 도선을 넘어 간 사실보다 다른 여러 요인에 대한 우려가 최후의
축진제였다고 주장 할 수 있는 것을 나타냈다. 대만 해협으로 7 함대의
파견은 최근에 건국된 불안정한 국가의 생존을 도전하는 도발에 확고히
반응하는 중국에게도 큰 위협이었다. 중국 문제에 대해 급진 야망을 가진
맥아더는 유엔군과 미국 극동군의사령이 되어 중국의 우려를 심화시켰다.
이해의 충돌(conflict of interest)이 없는 유엔군 사령부가 있고 7 함대가
대만 해협에 없었으며 북한 침략을 막는 의도를 분명히 밝혔다면 38 도선을
건너가는 것이 가능했을 수도 있다.
필자는 본 연구가 중국 개입에 대한 점을 드러낸 것처럼 무력 정치의
냉전시기에 소약국 정책에 대한 연구가 흥미로운 점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제시로 본 연구를 끝내고자 한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말해서 , 한국 전쟁 때
소약국 정치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강대국의 참전에 집중하는 기존연구의
흥미로운 보탬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구는 사람들이 잊혀진 전쟁을
기억하게 해 줄 수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has answered the questions why the Netherlands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and how the seemingly contradictory approach of colonial neutrality
and the Atlantic approach coexisted in Dutch foreign policy at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Most available existing literature about the Dutch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gives a depiction of the experiences of the Dutch soldiers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checked the four reasons suggested by M. Elands: 1) The
Netherlands was a traditional supporter of the international legal order, 2) The
Netherlands needed to secure the continuation of US economic support and the
security guarantee in Europe, 3) The Netherlands felt the need to express solidarity
- 85 -
to the other NATO members, 4) The Netherlands wanted to secure its national
interest in Asia. The validity of these reasons was checked by using mainly primary
sources of the Dutch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is paper has indicated the
validity and limits of Elands four reasons and showed that dependence on America
was the main reason for the Dutch governments decision to dispatch troops to Korea.
American pressure after a worsened military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made
clear to the Dutch government that dispatching a destroyer wouldnt suffice.
Accordingly, the Dutch government made a decision based on a cost-benefit analysis.
The result was that the Netherlands had no choice but to give in to American
pressure, because it needed American support for its economic recovery and
European and Asian security. The desire to preserve Netherlands New Guinea as a
part of the Dutch kingdom was a very specific motivation in this regard. With the
decision to send troops to the Korean peninsula the Netherlands had to depart from
its policy of engagement with the communist bloc in order to secure its remaining
interests in Asia.
The coexistence of the Atlantic oriented approach and the old neutralist
approach strongly relates to this point. This is a context that existing literature has
thus far overlooked. The Netherlands still tried to maintain its tradition of neutralit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bipolar world order that had come into being with the
start of the Cold War. It was critical towards US policy, but had to work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tlantic approach, because it needed American support to secure
its interests mentioned above. In this sense the Dutch fear of entrapment became
reality.
- 86 -
Moreover, the way the NL foreign policy clashed with the US foreign policy
approach towards CH has brought to light an interesting point. The crossing of the
38th parallel is often regarded as the cause of Chinese intervention in the Korean War.
This paper has showed, however, that it can be argued that although it was the
crossing of the 38th parallel that drove the CH to an intervention, it was more likely a
last push after an accumulation of other threats. The dispatch of the 7th fleet to the
TW strait was an equally big provocation towards the newly founded PRC that
would react fiercely to any provocations, because such provocations were likely to
challenge the chance of survival of the new and fragile state. The fact that
MacArthur who had far going aspirations with regards to CH was the commander of
both the UNC and US Far East Command made CH fears even more severe. A
commander in chief of the UNC without a possible conflict of interest and an
absence of the 7th fleet in the TW strait might have made a well-thought out crossing
of the 38th parallel specifically aimed at stopping NK aggression possible without
giving the CH reason to intervene.
The author would like to finish with the suggestion that research of small
power policy in the power politics era of the Cold War can bring to light interesting
points, such as this paper has done with regards to the Chinese intervention.
Research about small power politics during the Korean War specifically could be a
great addition to the existing discourse on the Korean War that has mainly focused
on the participation of the big powers. It could help people remember the forgotten
wa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기존연구와 한계 4
3. 방법론과 자료 10

II. 2 차 세계대전 직후 네덜란드 외교정책 14
1. 2 차 세계대전 후 네덜란드의 대서양 외교 14
2. 네덜란드의 식민지 정책 21

III. 네덜란드의 한국 전쟁 참전 결정과정 31
1. 전쟁 초기 네덜란드 정부의 태도 31
2. 에베르트센 구축함의 파견과 중국 문제 36
3. 전투부대 파병 여부에 대한 논란 40
4. 의용병사 모집에 대한 논의 46
5. 38 도선 이북으로의 북진 결정을 둘러싼 네덜란드 정부의 입장 50

IV. 한국 전쟁 참전 결정과정에 대한 재고찰 58

V. 결론 70

VI. 참고문헌 73

VII 부록 81

VIII. Abstract 84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5270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한국 전쟁-
dc.subject네덜란드-
dc.subject참전-
dc.subject중립정책-
dc.subject대서양정책-
dc.subject.ddc327-
dc.title네덜란드의 한국 전쟁 참전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Research on the Involvement of the Netherlands in the Korean War-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97-
dc.contributor.affiliation국제대학원 국제학과-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