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천 배다리 지역 생활·역사문화를 반영하는 에코뮤지엄 계획 : Eco-museum Planning of Baedari in Incheon Based on Local Living and Historical Cultu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희은

Advisor
조경진
Major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에코뮤지엄에코뮤지엄 계획생활·역사 문화지역 자원 분석지역 커뮤니티인천 배다리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 2013. 2. 조경진.
Abstract
최근 많은 우려 속에서도 '마을 만들기'는 전면철거 및 건설 위주의 도시개발 방식에 커다란 화두를 던져주며, 우리 도시개발 방향에 전환점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또한 우리 도시의 창조적 발전을 위한 인식의 전환은 각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우선 지역의 역사자원의 범위 확대를 통하여 다양한 지역의 자원을 보존하려는 시도를 찾아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지역 자원의 맹목적 보존보다는 창의적인 의미의 재해석을 통한 활용방안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때문에 해당 지역이 갖는 본질적이며 무형적인 가치에 대한 논의가 필수적 과정이 되어가고 있다. 또한 지역 개발에 있어 '소통'의 의의가 재조명 받고 있다.
최근의 이러한 변화 속에서 지역의 무형적 자원의 가치 및 지역생활 문화를 반영한 주민참여형 지역 계획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그 방법으로서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도입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지로는 근대역사와 서민의 삶 속에서 큰 의미를 갖고 있는 배다리 지역을 선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에코뮤지엄 개념을 바탕으로 배다리 지역 재생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계획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 생활·역사문화를 재조명하여 그 가치를 발굴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현재 배다리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시민단체들의 여러 활동들이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며, 지역의 발전방향을 논의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에코뮤지엄 개념은 1960년대 프랑스에서 유래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지역계획의 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에코뮤지엄은 역사, 문화 등을 아우르는 유·무형의 지역자원 보존, 자원이 갖는 컨텍스트의 중요성 강조, 지역주민의 주체적인 참여, 조성과정의 중시 등을 특징으로 하는 개념이다. 이는 현대도시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개념연구와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배다리 지역에 적용하기 위한 에코뮤지엄의 개념과 계획체계를 정립하였다.
위의 개념을 적용하여 계획하고자 하는 배다리 지역은 개항기와 산업화시기를 거치며 한국인의 삶터, 서민의 삶터로서의 많은 유·무형의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현재도 지역민들의 삶이 이어지는 역사의 연장선상에 위치해 있어 지역의 생생한 생활문화 자원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그 동안 도시재정비촉진지구 지정과 산업도로 건설로 인해 많은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에도 지역 문화 보존 방식에 대하여 많은 의견대립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소이다.
따라서 대상지의 생활·역사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대상지의 자원을 발굴·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자원, 생활문화자원, 인적자원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자원 분석에 있어 기존의 문헌에 존재하지 않지만 생활사적 가치를 지니는 자원을 발굴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도출하였다.
첫째, 배다리 지역에는 지역민의 생활상을 반영하는 20~30년대, 50~60년대 지어진 건축물이 존재하며, 이는 근대 건축물과 함께 지역에서 보존하고 관리해나가야 하는 자원이다. 또한 지역민의 삶이 이어지고 있는 지역이기에 현재의 삶과 분리되지 않는 보존방식은 필수적이다. 둘째, 지역민의 생활을 기반으로 형성된 동네텃밭, 공동 작업의 행태, 저층주거지 및 골목길 경관은 지역의 독특한 지역성 및 생활상이 재현된 것으로 향후 계획에 적극적으로 반영해나가야 하는 자원이다. 셋째, 문화단체의 활동을 기반으로 형성된 마을벽화, 역사건축물의 활용행태, 산업도로의 새로운 생태계, 지역축제는 지역의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자원이다. 따라서 이들과의 협력 및 네트워크 형성은 에코뮤지엄 조성 시 필수적이다. 넷째, 지역 방문객의 활동을 통해 형성된 기록과 공유의 행태, 지식의 네트워크 등은 지역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향후 계획 시 지역방문객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적극 활용해야 하는 자원이다.
위와 같은 대상지 분석과 대상지 자원분석을 통해 배다리 에코뮤지엄의 비전, 목표, 전략을 수립하였다. 배다리 에코뮤지엄을 통해 역사적 층위가 계속적으로 쌓여가며 진화해 나가는 에코뮤지엄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며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의 생활과 자원의 연계를 통해 자원의 역사적 층위를 지속적으로 축적해나간다. 둘째, 방문객과 지역주민이 함께 지역 생활·역사문화의 가치를 공유한다. 셋째,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선순환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와 같은 비전과 목표아래 배다리 에코뮤지엄 계획을 제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다리 에코뮤지엄은 지역리더, 지역주민, 문화단체 및 NPO대표, 전문가, 공무원 등의 지역과 관계있는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여야 하며, 그 조직은 운영위원회, 시설관리위원회, 지역주민위원회로 구성한다. 둘째, 에코뮤지엄의 시설은 코어시설, 일반시설, 관람루트로 나누어 설치하며, 앞선 자원분석을 통해 도출한 가시적·비가시적 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세부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셋째, 에코뮤지엄을 지속적으로 관리·운영하기 위하여 단계적 계획은 필수적이며, 점차 진화하는 배다리 에코뮤지엄을 만들어나가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한 기금마련의 방안, 홍보 및 이벤트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배다리 지역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공동체 문화를 바탕으로 지역을 지켜내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의 자원을 새롭게 발굴하고 지역주민과의 만남을 통해 지역을 연구해나가는 과정을 거쳤으며, 지역의 가치를 재조명해나가고자 하였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는 배다리 지역을 계획함에 있어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또한 지역을 역사문화마을로 조성하고자 하는 시민단체에게 하나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Community Design'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way of urban development replacing the construction-oriented way. Also, there are paradigm shifts to develop cities more creatively. Above all, there is an effort to conserve various regional resources by expanding the scope of historical resources. In addition, using creative ways for the conserv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the unconditional conservation. On this account, considering the fundamental and intangible value of the resources and understanding the true meaning of 'communication' has come to the fore in the regional planning process.
In these latest shifts, this study pursues a community involved regional plan based on local living culture and intangible value of resources with a concept of Eco-museum. Baedari in Incheon is the site for the stud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lan which is able to be a way to regenerate the town of Baedari and to discover the value of the local living culture. Additionally,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systematic plan for the community organizations which have been working for Baedari.
The concept of Eco-museum originated in France in 1960s and it has been globally used for the regional planning. The Eco-museum focuses on the conserv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regional resources, residents' participations, and the context of the resources. These features show that the Eco-museum has a possibility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cities.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s a redefined concept and planning system of the Eco-museum, which will be applied to domestic area,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on the theory and case studies.
The site for this study, Baedari town, has lots of tangible and intangible regional resources. These living cultural resources reflect the life of Koreans, especially that of the working class since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industrialization era. However, Baedari had suffered from conflicts on the redevelopment plan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industrial road. Even today, there are many conflicts unresolved about the conservation of the local culture and resources.
Therefore, prior to planning, this study discovered and analyzed the resources to redefine the local living and historical value of this place. Three significant categories of the local resources were found: historical resources, living cultural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uildings in Baedari show the architectural style of 1920~30's and 1950~60's. These should be conserved and maintained by the local community. Furthermore, the way of conservation that does not separate the current life of the residents from the historical resources is essential. Second, the living cultural resources reflecting the lifestyle of the residents such as community gardens, the behavior of group working, and the landscape of the low-rise residential area and alleys should be applied to the Baedari Eco-museum plan. Third, the resources that the local cultural organization has created through their activities including the wall paintings, the usage of the historical buildings, the new ecosystem of the industrial road construction site, and local festivals have improved the local environment and enhanced the local value. Thus, constructing a network with the local cultural organizations is an essential process. Fourth, the resources from the visitors' activities like the behaviors of recording and sharing and the knowledge network enhance awareness of the area and should be made full use to encourage visitors' particip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Baedari and the local resources mentioned above, this study established a vision, objectives, and strategies of the Baedari Eco-museum. The vision of the Baedari Eco-museum is 'evolving Eco-museum' that adds historical layers continuously. The objectives are as follows: accumulating historical layers on the resources by linking the residents' lives and regional resources, sharing the value of the living·historical culture with the residents and visitors, establishing the virtuous system for the sustainable Eco-museum.
Under such a vision and goals, this study proposes a detailed plan for the Baedari Eco-museum. First, community leaders, residents, representatives of the cultural organizations or NPO, experts, and public officials who are associated with Baedari should participate in the planning and managing of the Baedari Eco-museum. The organization should compose of a steering committee, a facilities committee, and a residents committee. Second, Eco-museum should consist of a core museum, satellite museums, and tour routes. Each facility will have its own programs based on the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derived from the research. Third, a phased plan is essential to organize and manage the Eco-museum sustainably. For the sustainability, the way of fund raising, promoting, and holding events are suggested.
As mentioned above, the town of Baedari has the important historical value of Korea and there has been much effort to preserve the value using the communal culture. Accordingly, this study discovered new local living resources,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residents' opinions, and tried to shed new light on the value of Baedari.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a future regional planning of Baedari and also present a way to the local community which has been trying to preserve the value of the reg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96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