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협력적 디자인의 관점에서 본 도시공간의 일시적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for Temporary Use of Urban Space Focused on Collaborative Design : The Case of Bogwang-dong, Yongsan-gu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경진-
dc.contributor.author조현지-
dc.date.accessioned2017-07-19T07:03:10Z-
dc.date.available2017-07-19T07:03:10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00000001050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9698-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 2013. 2. 조경진.-
dc.description.abstract도시에 대한 관점은 기존의 일방적인 계획이 실제 도시의 일생상활을 담는 것과는 유리되어 있다는 비판을 통해 점차 변화하고 있다. 그러한 변화의 한편에서 일시적 공간 활용(Temporary uses)은 다양한 주체들의 협력을 통해 상위 계획이 관리하지 못하는 시간의 틈, 혹은 공간의 틈새를 매워 나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배경으로 도시공간의 일시적 활용 방안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일시적 공간 활용의 특성이 여러 주체의 협력 과정에 기인한다고 보고 협력적 디자인의 관점에서 일시적 공간 활용을 바라보았다. 최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일시적 공간 활용의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협력적 디자인으로서 일시적 공간 활용의 고려사항과 의의를 도출하고, 이후 고려사항을 통해 실제 대상지인 용산구 보광동을 중심으로 대안적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위해 우선 일시적 공간 활용의 성공적인 국내외 사례 8개를 협력 과정 분석과 공간적 분석의 두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해 낸 일시적 공간 활용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시적 공간 활용은 이용되지 않는 공간을 재발견함으로써 도시의 활력을 증진시킨다.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도시공간들은 낙후되어 주변 지역의 안전과 활력까지 위협한다. 일시적 공간 활용은 이러한 비어있는 공간을 시민의 활동을 담는 장소로 변화시키며 도시의 활력과 다양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둘째, 일시적 공간 활용은 협력을 통해 도시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부분의 대도시들은 예전과 같은 신속한 개발이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지만 도시민들의 욕구는 더욱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일시적 공간 활용에는 시민이 실제 공간 활용의 주체로 참여함으로써 도시 현장의 변화와 시민의 요구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저비용으로 시민의 즉각적인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셋째, 일시적 공간 활용은 비공식적인 대안문화를 증진시켜 다양한 삶의 방식을 육성한다. 일시적 공간 활용은 기존의 용도 내에 포함되기 어려운 도시농업 등의 다양한 행위가 일어날 수 있는 삶의 실험실과 같다. 이는 획일화 되어있는 도시의 생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 주며 삶의 방식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고려사항에 따라 대상지인 용산구 보광동 지역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일시적 공간의 안정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공간 활용의 주체를 육성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각 주체간의 협력은 일시적 공간 활용에 필수적이며 특히 성공적인 사례의 경우 공간 활용의 주체가 성장하고 협력 체제가 강화되는 과정이 존재한다. 이러한 긴밀한 협력 체제가 구성되었을 경우 일시적 공간 활용은 공간을 이동하거나 확장,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더 많은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둘째, 협의 과정을 수월하게 돕기 위한 지원 방안이 중요하다. 모든 일시적 공간 활용을 공공의 지원 체제 안에 포함시킬 수는 없지만 자발적인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시민이 직접 도시공간의 활발한 이용을 이끌어 냈을 때 공간의 본래 의미인 사회적 접촉이 증진 될 수 있으며 다양한 행위를 통한 활력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가치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
셋째, 국내에서도 도시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저비용으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일시적 공간 활용의 장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보광동과 같은 재개발 예정지역의 쇠퇴는 국내 개발 문화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개발 과정에 대한 고려 없이 보존 혹은 개발의 두 측면만을 놓고 관의 결정에만 의존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역이 늘어나고 있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개발 과정을 관리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일시적 공간은 이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일시적 공간 활용은 새롭게 등장한 개념이지만 최근 도시설계, 조경분야에서 다루어지는 많은 논의들과 맥락을 함께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도시 이용자를 위한 도시공간, 시민을 주체로 한 도시공간의 조성 및 운영 관리, 도시 유휴공간의 재조명 등의 논의들이 그러하다. 그렇기 때문에 일시적 공간 활용에 대한 연구는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본 연구는 일시적 공간 활용의 개념을 새롭게 조명하고 국내외 사례를 수집하여 이후 일시적 공간 활용에 대한 다양한 논의의 기초적인 자료를 구성하는 것도 하나의 의의로 삼는다. 특히 현재와 같이 개발 속도가 저하되는 상황에서 이에 따라 이용되지 않는 공간이 늘어나는 현상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 보았을 때, 이를 활용하기 위한 창의적인 방법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증대될 것이라 예상하며 본 연구가 그를 위한 하나의 예시가 되길 바란다. 이후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하였거나 미흡하게 언급된 다양한 측면의 일시적 공간 활용에 대한 연구를 기대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내용
1.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연구의 내용과 흐름
제3절 선행연구 동향
제2장 현대 도시 환경의 변화와 일시적 공간 활용
제1절 도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
1. 도시재생 개념의 부각
2. 다양한 주체의 참여와 계획 과정의 중요성
제2절 도시공간의 협력적 디자인
1. 도시공간의 새로운 접근
2. 협력적 디자인의 역할
제3절 일시적 공간 활용의 이해
1. 일시적 공간 활용의 개념과 범위
2. 현대 도시공간의 일시적 활용과 특징
제3장 국내외 일시적 공간 활용의 사례 분석
제1절 사례분석의 틀
1. 사례 대상 선정
2. 사례분석 기준 설정
제2절 자생적인 일시적 공간 활용
1. [지역 공동체 활용] 수원시, 대안공간 눈
2. [지역 공동체 활용] 서울시, 여성환경연대
3. [창작 공동체의 상업화 대응] 서울시, 자립음악생산조합
4. [무대로서의 도시] 샌프란시스코, 리바(Rebar)
5. 소결
제3절 계획적 접근의 일시적 공간 활용
1. 런던, 뱅크사이드 어반 포레스트 (Bankside Urban Forest)
2. 타이페이, 타이페이 뷰티풀 플랜(Taipei BeautifulPlan)
3. 런던, 메이킹 스페이스 인 달스톤(Making Space in Dalston)
4. 로잔, 로잔 자뎅 2009(Lausanne Jadins 2009)
5. 소결
제4절 소결: 협력적 디자인으로서 일시적 공간 활용의 과정과 고려사항
1. 가능성 찾기
2. 가능성 성장
3. 일시적 공간 활용 구체화
제4장 협력적 디자인으로서 용산구 보광동의 일시적 공간 활용
제1절 대상지 이해
1. 이태원 문화권의 이해
2. 보광동 대상지의 이해
제2절 가능성 찾기: 이태원 문화권역 확대와 보광동의 변화
1. 공간 발굴 : 보광동의 공공공간과 유휴공간
2. 인적 자원 발굴 : 보광동 사회 구성원의 변화
제3절 가능성 성장 : 보광동의 문화주체 육성 과정
1. 지역과 관계 맺기 과정
2. 지속적인 관계 맺기 방법
제4절 일시적 공간 활용 구체화 : 보광동의 가능성
1. 보광동의 일시적 공간 활용 가능성
2. 일시적 공간 활용 프로그램
제5절 종합 : 보광동의 일시적 공간 활용 가능성 모색
제5장 결론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0681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일시적 공간 활용-
dc.subject도시공간-
dc.subject유휴공간-
dc.subject공공공간-
dc.subject협력적 디자인-
dc.subject.ddc712-
dc.title협력적 디자인의 관점에서 본 도시공간의 일시적 활용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for Temporary Use of Urban Space Focused on Collaborative Design : The Case of Bogwang-dong, Yongsan-gu-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yunji Cho-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69-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ate.awarded2013-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